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7-23 14:11
[기타경제] 연준, 양적완화 축소 본격 논의?!
 글쓴이 : 귀요미지훈
조회 : 1,097  




7시간 전 쯤에 나온 뉴스인데

미국 연준이 다음 주 정례미팅에서 

팬데믹 이후 경기부양을 위해 시행하고 있는

매월 국채 800억 달러치 + 모기지론 400억 달러치를 매입함으로써

매월 시중에 1200억 달러를 공급하고 있는 것에 대해

이를 어떻게 축소(일명 '테이퍼링')해 나갈지 논의에 착수할 예정이라고 하네요.



연준 의장 말로는 2가지에 초점을 둘 예정이라고 합니다.

1. 언제부터 시행할 것인가?

2. 어느 정도의 속도로 시행할 것인가? (얼마나 빨리 유동성 공급을 줄여갈 것인가?)



다음 주 미팅 이후의 미팅은 

연준 인사들 뿐만 아니라 세계 각국의 고위 경제관료들, 경제학자들도 참석하는

매년 8월에 열리는 '잭슨홀 미팅'인데

다음 주 미팅에서 정리한 후 8월 잭슨홀 미팅에서 발표하려는 계획 아닌가 싶기도 합니다.



월스트리트저널 보도에 따르면

일부 인사들이 내년 10월경에 이 테이퍼링을 끝내는 것으로 논의를 했기에 

(테이퍼링이 끝난 후인) 내년 말쯤 기준금리를 올리지 않겠나 예측하고 있네요.



보통 테이퍼링 기간은 약 1년 정도이니

월스트리트저널 보도 내용이 맞다면 

7월(28~29일) 테이퍼링 방안 확정

8월 잭슨홀 미팅에서 발표

10월 테이퍼링 시작

2022년 10월 테이퍼링 완료

2022년 말 기준금리 인상

대략 이런 스케쥴이 나올 수 있겠네요.





팬데믹이 다시 기승을 부리고 있고

언제 사태가 진정될 지 알 수 없어

언제까지 저금리를 계속 유지해야 할지 기약이 없는 처지인

다른 여러 국가들의 중앙은행 입장에선

마음이 몹시 다급해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 

눈 앞에 닥치고 있는 듯 합니다.




개인투자자 분들도 대부분 지켜보고 계시겠지만

2분기 중국의 실적이 예상보다 낮은데다

3분기 이후엔 작년대비 기저효과도 거의 소멸될 것으로 보이는데

미국의 테이퍼링 시작과 맞물려 

3분기부터 국내 자산시장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본격화되지 않을까 싶기도 합니다.

자산시장의 움직임은 물론 해외투자에도 더욱 신경을 쓰셔야 할 듯 싶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귀요미지훈 21-07-23 14:11
   
킹크림슨 21-07-23 16:25
   
잘 봤습니다.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
     
귀요미지훈 21-07-23 17:20
   
댓글 감사합니다
부분모델 21-07-24 13:47
   
잘 봤어유 ㅎ
     
귀요미지훈 21-07-24 17:47
   
댓글 고마워유~
할게없음 21-07-25 00:09
   
이번에 주택가격지수 보니까 계속 불나고 있더라고요 이제 돈을 그만 풀 때가 된 거 같은데
 
 
Total 16,51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298192
13886 [기타경제] '韓건설사 시공' 세계최장 현수교 터키 차나칼레… (7) 스크레치 07-27 2109
13885 [전기/전자] 반도체 공정 몇 나노 운운 하는게 단지 마케팅 인 증거. (3) 이름없는자 07-27 1065
13884 [전기/전자] 中빼면 LG엔솔 세계1위 전기차 배터리 점유율 35.5%..韓 톱3… (8) 스크레치 07-27 1581
13883 [기타경제] 韓라면 신바람 사상최대 수출액 또 새로 썼다 (1) 스크레치 07-27 993
13882 [기타경제] 대박 난 풀무원 '두부면' 세계로 간다 (1) 스크레치 07-27 1370
13881 [전기/전자] '코리안 D램' 상반기 수출 3년만에 최고..100억달러… (2) 스크레치 07-27 1062
13880 [기타경제] 2분기 성장률 0.7%..코로나 소비충격 축소 年4% '청신호… 꼬마와팻맨 07-27 1110
13879 [전기/전자] TSMC 회장 "일본 생산비용 매우 비싸다..여러 번 시찰 (8) 꼬마와팻맨 07-27 3002
13878 [전기/전자] 인텔, 반도체 공정 명칭에서 '나노미터' 뺀다 (4) Architect 07-27 1722
13877 [기타경제] 롯데 日서 BTS 앞세워 '껌 왕국' 부활 모색 (6) 스크레치 07-26 5086
13876 [전기/전자] 가전은 LG 매출 터졌다..세계 1위 등극 '대기록' (4) 스크레치 07-26 3618
13875 [금융] 현대 인류의 가장 획기적인 발명품? (10) 밤샘근무 07-26 3252
13874 [전기/전자] 中 반도체강국은 일장춘몽인가 (11) 스크레치 07-26 5143
13873 [전기/전자] "압도적 세계 1위"…삼성 TV, '장기집권' 승부수 띄… (4) 유랑선비 07-25 5212
13872 [전기/전자] [단독] 17년간 지켜온 디스플레이 세계 1위, 중국에 뺏겼… (27) 유랑선비 07-25 5558
13871 [기타경제] 손정의는 경고했다..日 재계 "올림픽 개최는 자.살 임무" (10) 스크레치 07-25 8253
13870 [자동차] 美 2026년부터 미국산 EV에만 세제혜택 부여. 현대차, 현지… (6) 스크레치 07-25 4481
13869 [기타경제] 美상륙에 성공한 K의약품..1년새 처방점유율 크게 확대 (1) 스크레치 07-25 3064
13868 [기타경제] 신조선가 7년만에 최고치…회복세 시동 (1) 스크레치 07-25 1343
13867 [자동차] 신형 아반떼 누적 판매 40만대 눈앞..고성능 N으로 판매 … 꼬마와팻맨 07-25 1105
13866 [기타경제] 혹독한 '10년 불황' 버텼다..중형조선 구조조정 속… 꼬마와팻맨 07-25 1505
13865 [전기/전자] 전자업계, 이번주 2분기 실적 발표.."호조세 이어간다" 꼬마와팻맨 07-25 672
13864 [금융] 국가신용평가 선방한 한국..기세 몰아 최대 15억불 외평… (2) 꼬마와팻맨 07-25 1526
13863 [기타경제] 韓에 역전당한 이탈리아 1인당GNI 역대현황 (세계은행. 7… (13) 스크레치 07-24 5554
13862 [전기/전자] 반도체만 걸리면 中로남불..'인텔 놓칠라' 속타는… (7) 스크레치 07-24 5711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