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1-07-27 13:31
[전기/전자] 이제 반도체 공정의 이름 체계을 바꾸어야 함.
 글쓴이 : 이름없는자
조회 : 1,087  

과거에는 예를 들어 65  nm 라고 하면 
이건 최소 선 폭이나 minimum feature size 라는 
물리적 크기를 기준으로 XX nm 라는 
명칭을 사용해서 뻥카를 사용하기가 어려웠고 
대체로 그 선폭으로 어느정도 집적밀도에 
비례하기 때문에 회사에 상관없이 
기술력 우열을 가리는 비교 지표로 사용할 수 있었음.

그런데 요즘 들어 미세화가 고도화되고 TR 구조가 다양화되며 
TSMC 나 삼성 같은 회사들이 물리적 실체가 없는 요상한 마케팅용 숫자를 
들고나와 소비자를 혼란시키는 사기를 치고 있음.
지금 TSMC 가 7 나노나 5 나노 니 하는 칩들은 
옛날 식 기준으로 하면 다 10 나노가 넘는 칩들임. 

그런데도 마치 상대방 회사보다 더 기술력이 우수하다고 착각하게 
소비자들을 오도하는  마케팅을  위해 7 나노 5나노 공정이라고 
거짓말 하는 이런 비전문가들을 고의로 혼란시키는 지랄 들을 하고 있음.

물론 반도체 설계 전문가들은 절대로 속지 않겠지만 
경제지 기자들나 투자자들, 일반인들은 삼성 5 나노 가 
TSMC 5 나노와 같은 수준의 공정이라고 착각하는 사람들이 많고 
네이버 경제기사 댓글이나 이 게시판에도 많이 보임. 
이거 마치 통신사들이 그 몇분의 1의 속도도 안나오는 ISP 인터넷 서비스 을
무슨 기가 인터넷이나 10 G 넷이니 하며 이름을 붙여서 팔아 먹는 거나 같음. 

그러니 앞으로 그런 장난치지 못하도록 반도체 공정을 이름 붙일때 
제곱미터당 트랜지스터 수나 SRAM 셀 숫자로 표기하도록 해야함.
보통 새로운 미세공정을 개발할 때 제일 먼저 만들어 보는게 
링오실레이터 아니면 SRAM 셀을 만들며 공정을 개발하니  
이건 공정개발이 끝나면 바로 SRAM 셀 의 면적이 나오고 
바로 밀도를 계산할 수 있음. 

이것도 물론 조작이나 과장의 위험이 없는 건 아니지만 
최소한 물리적 실체는 있는 것이니 지금 몇 나노 운운 하는 
뻘카 들 보다는 나음.  SRAM 셀 수는 CPU 침에서 제일 면적을 많이 차지하는 
캐시 사이즈 등에도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파라미터니 
훨씬 실제적으로 비교가능한 집적도를 반영할 수 있음.
또 셀수 * 6 하면 트랜지스터 밀도로 환산도 어느정도 가능함.
또 보조지표로 논리회로의 대표인 full-adder 의 면적도 사용할 수 있음. 

그리고 지금 3 나노 2 나노 아래로 내려가면 앞으로는 1.4 나노 1 나노 0.7 나노
나 소숫점 수자를 써야 하는 문제가 있고 옹그스트름을 쓴다고해도
몇세대 후에는 다시 0.7 옹그스트름 이런 식으로 소숫점을 피할 수 없음.
나중에는 0.07 공정 이런 식으로는 계속할 수는 없는 것임.  
제곱 mm 당 SRAM 셀 숫자로 하면 제곱미터 당 몇 십만개  
( 예를 들어 230k) 로 나타낼 수 있고
더 진보된 공정일 수록 숫자가 커지니 비교하기도 좋음.

다만 이렇게 하면 그 공정의 진짜 집적도나 공정 실력이 그대로 숫자로 
드러나기 때문에 1위 업체는 좋지만 2, 3 위 업체에게는 
자기들 공정이 다른 업체보다 열등하다는 게 바로 드러나니 
그런 파라미터 공개나 사용을 꺼려한다는게 문제임.
1위 업체도 2,3 위 업체가 차기공정 개발목표를 설정하는데 도움을 주게 됨.
그래서 고객사에게만 NDA 비밀서약을 하고 알려줌.

삼성   3 나노 = 1.7 M Tr/mm2 (2022년 양산 예정)
TSMC  5 나노  = 1.73 M Tr/mm2 (2020년 양산)
인텔   인텔 4 (구 명칭 7 나노) = 1.8 M Tr/mm2 (2023 양산 예정)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16,53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경제게시판 분리 운영 가생이 01-01 300189
13930 [전기/전자] 삼성SDS-보쉬 'AI 기반' 주차 솔루션 공동 개발 (2) 스크레치 07-30 1748
13929 [전기/전자] 중국 반도체 업체 소개 이름없는자 07-30 1776
13928 [전기/전자] 中 반도체굴기는 꿈이었나 (15) 스크레치 07-30 5043
13927 [과학/기술] 한화솔루션 OLED 日 의존도 끌어 내린다…핵심 기술 국산… (3) 스크레치 07-30 3537
13926 [전기/전자] LG화학 "세계 최초 배터리 4대 소재 기술 보유" (1) 스크레치 07-30 1837
13925 [기타경제] 이민 문제 골머리 앓는 미국, 한국에 'SOS' 친 이유… (6) 스크레치 07-30 3979
13924 [잡담] 삼성전자 상반기 R&D에 10조8200억원 집행 (1) 강남토박이 07-30 1107
13923 [전기/전자] 삼성전자 "200단 이상 8세대 V낸드 라인업 확대 준비 중" (5) 스크레치 07-30 2880
13922 [전기/전자] 삼성 통신장비시장 세계 4위 전망 (4) 스크레치 07-30 2395
13921 [자동차] 현대차 인도 현지 신사옥 완공…시장 점유율 1위 노린다 (4) 스크레치 07-30 1961
13920 [전기/전자] LG전자 “올레드TV시장 점유율 70% 차지, 전장은 하반기 흑… (2) 스크레치 07-30 1165
13919 [전기/전자] 이미지센서 시장 현황 (4) 강남토박이 07-29 2956
13918 [자동차] 테슬라, SW 기능 옵션을 월 22만원에 제공하는 BM을 선보여 (8) 셀시노스 07-29 1648
13917 [기타경제] 신라면 日최강라면 톱10…수입 브랜드 '유일' (4) 스크레치 07-29 2871
13916 [전기/전자] 화웨이 휴대폰 중국에서도 기타로 밀려나. (1) 없습니다 07-29 1878
13915 [기타경제] 日의원 韓후쿠시마산 우려에 "모욕적..어른 대접을 너무 … (26) 스크레치 07-29 5800
13914 [전기/전자] 구글도 인정한 LG CNS AI 기술력..'머신러닝 전문' … (3) 스크레치 07-29 3166
13913 [자동차] 현대차 AX1 9월15일 양산 돌입..연간 7만대 생산 목표 (2) 스크레치 07-29 1980
13912 [자동차] 서울시, 하반기 전기차 보조금 200만 원으로 축소 (6) 스크레치 07-29 1229
13911 [잡담] 삼성전자 2분기 실적 (12) 강남토박이 07-29 2223
13910 [기타경제] "中日 더는 위협 안된다"..한국조선해양 또 '잭팟'… (3) 스크레치 07-29 3321
13909 [전기/전자] [단독]현대차-LG엔솔 印尼 합작사 설립.."전기차 15만대 배… (1) 스크레치 07-29 1409
13908 [전기/전자] SK하이닉스 3년만에 '분기 매출 10조' 재돌파.. 영… (2) 스크레치 07-29 1157
13907 [전기/전자] 中 '자국기업 때리기'에..인도 IT기업으로 돈 몰린… (3) 스크레치 07-29 1842
13906 [자동차] 현대차 미주 점유율 11년만 최고치...전기차 격전지서 위… (2) 스크레치 07-29 1173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