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04-21 23:56
[기타경제] g7국가가 되기위한 조건
 글쓴이 : 폭군
조회 : 2,401  

G7(G8) 창설 배경과 과정

  • 창설배경

    • G7(G8)은 1970년대 국제사회가 세계경제의 위기를 대처하는 과정에서 출범
    • 세계경제는 브레턴우즈 체제 붕괴, 1973년 1차 석유파동을 겪으면서, 통화가치 팽창, 저성장으로 인한 스태그플레이션, 경기후퇴, 보호무역주의 대두 등 어려운 상황에 직면
      • 브레턴우즈 체제(Bretton Woods system)
        • 국제적인 통화제도 협정으로 1944년 미국 뉴햄프셔주 브레턴우즈에서 탄생
        • 주요내용: 미국 달러화를 기축통화로 하는 금환본위제도, 고정환율 제도 등
        • 미국의 국제수지 적자로 인해 일부국가들이 금태환을 요구하였고, 1971년 닉슨 대통령에 의한 금태환 정지선언으로 체제붕괴
    • 이에 따라,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등은 새로운 경제질서 수립방안 모색
  • 창설과정

    • Library Group/G5
      1. 1. 1971년 미국의 금태환 중지 선언이후 스미스소니언 합의를 도출하는 과정에서 미국 George Schultz 미국 재무장관이 영국, 프랑스, 독일, 일본 재무장관에게 백악관 도서관에서 만나자고 제의
      2. 2. 1973년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재무장관은 백악관 도서관에서 Library Group 결성하여, 세계금융 이슈 논의
        • Library group은 당시 세계경제의 4% 이상을 차지하는 국가로 구성 (이탈리아는 4%를 상회하나 좌파성향의 정부로 인하여 배제)
      3. 3. 1975년 일본의 참여로 G5 재무장관 체제 형성
    • G6
      1. 1. G5 초창기 당시 각국 재무부 장관이었던 프랑스 D'Estaing 대통령과 독일 Schmidt 총리가 국가원수로 승격함에 따라 G5 재무장관회의를 정상회담급으로 격상 추진
      2. 2. 1975년 프랑스 랑부이예(Rambouillet)에서 개최된 회의에 이탈리아 참여로 최초의 G6 정상회의 개최
        • G6 회원국 자격요건
          • 자유민주주의
          • 안정적이며 높은 경제발전도(일인당 GDP 최소 $ 11,000)
          • 세계 경제운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규모(세계 총GDP의 4%)
    • G7
      1. 1. 캐나다는 1975년 첫 G6 정상회의부터 참여를 희망하였으나, 세계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약 2.3%)이 상대적으로 작아, 참여에 실패
      2. 2. 1976년 푸에르토리코 회의시 미국의 강력한 희망에 의하여 캐나다가 참여하여 G7 정상회의로 확대
    • G8
      1. 1. 냉전 종식이후 구소련은 G7에 참여를 희망
        • G7 국가들도 핵통제 등
      2. 2. 미국은 1992년 뮌헨정상회의를 러시아가 참여하는 G8 정상회의로 제안, 이후 러시아는 초청국지위로 G7 정상회의에 참여
      3. 3. 1998년 러시아가 버밍엄 회의에서 정식회원이 됨으로써 현재의 G8 체제 완성
        • EC 집행위원장은 1978년부터 참여
    • G7 국가들은 우크라이나 사태에 대한 제재 조치의 일환으로 러시아의 G8 국가로서의 자격 잠정 정지


73년기준으로 11000불 이상이었으니

지금 기준으로 자격조건을 달자면

1인당 gdp 30000불 이상은 되야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캐나다는 자격조건(gdp 4%이상)이 안됬는데도 미국의 요구로 참여했군요

러시아도 마찬가지로 미국의 제안으로 참여했구요

결국 미국의 의중이 중요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김쌍큼 20-04-22 00:31
   
저런 모임은 들어가도 안들어가도 그만입니다..
행복찾기 20-04-22 08:43
   
2~3년 후에는 대한민국이 요청을 하지 않아도
G7에서 한국의 가입을 요구해오지 않을까요?
융융7845 20-04-22 12:27
   
고인물은 썩는 다고 거기 꼬라지보면 물이 별로 안좋음 글로벌 공조는 G20으로 충분한거 같고
가뜩이나 즈그들만의 밀실모임인데 일본이란 나라가 있어서 우리가 자격이 돼도 격렬하게 로비해서
못들어오게 할거같음
슬램덩크 20-04-23 11:52
   
저기에 가입 해봐야 별 쓸모 없어요.
멀리뛰기 21-01-12 09:03
   
[기타경제] g7국가가 되기위한 조건 감사합니다.
 
 
Total 3,52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79 [기타경제] IMF 韓금융위기급 충격도 버틸 수 있다 (7) 스크레치 04-24 6855
978 [기타경제] 부산에서 런던까지..남북철도연결 재시동 (6) 스크레치 04-24 3451
977 [기타경제] 코로나19 위기에도 한국 자동차 판매량이 증가한 이유는? (2) 스크레치 04-24 3086
976 [기타경제] "한국산 보내달라" 중국산 진단키트 산 나라들, 창고 쌓… (7) 스크레치 04-24 3488
975 [기타경제] 中 석유거인 "코로나19로 中 블랙스완 몰려들 것" (6) 일반시민 04-24 4194
974 [기타경제] "中탈출 글로벌기업 잡아라".. '세계 공장' 넘보는… (8) 스크레치 04-23 4738
973 [기타경제] 토요타, 5월 Jap공장 생산 절반 축소. 부품사 경영 악화 (6) 굿잡스 04-23 2580
972 [기타경제] 달라진 韓 브랜드파워...미국서 태극기 마스크 등장 (6) 스크레치 04-23 5655
971 [기타경제] 32,032,000,000,000,000원…중국에 날아든 코로나 배상금 청구… (12) 땡말벌11 04-23 2469
970 [기타경제] 베트남 수출 25% 맡는데도 '문전박대'..포스트 코… (7) greatwallof.. 04-23 4383
969 [기타경제] 韓,영국 국민소득 추월 (IMF최신) (62) 스크레치 04-22 7965
968 [기타경제] 산유국의 저주가 시작됐다..유가 폭락에 산유국 경제 … (22) 스크레치 04-22 4112
967 [기타경제] IOC “올림픽 연기비용 3조원, 일본이 부담” (3) 땡말벌11 04-22 1338
966 [기타경제] 韓에 역전당한 일본 1인당GDP (IMF최신) (3) 스크레치 04-22 3012
965 [기타경제] 2019년 일본과의 gdp격차가 더 벌어졌습니다 (9) 폭군 04-22 2171
964 [기타경제] 코로나 터지기전 imf는 2024년에 한국이 4422만원을 달성할… (1) 폭군 04-22 3446
963 [기타경제] Jap 3월 수출 11.7% 감소…3년7개월 만에 최대낙폭 (17) 굿잡스 04-22 2105
962 [기타경제] g7국가가 되기위한 조건 (5) 폭군 04-21 2402
961 [기타경제] 베트남, 삼성 살리기 안간힘 (33) 스크레치 04-21 9514
960 [기타경제] 작년 한류 수출액 14조9천억 22.4%↑..관광·소비재 호조 (4) 스크레치 04-21 2232
959 [기타경제] 불매운동후 日브랜드 관심도 급락...아사히맥주, 78% 급감 (8) 스크레치 04-21 3877
958 [기타경제] 주요개도국 1인당GDP 현황 (2020년) (IMF최신) (5) 스크레치 04-21 2391
957 [기타경제] 수젠텍, 스페인·러시아 등 300억 규모 신속진단키트 공급 (2) MR100 04-21 2314
956 [기타경제] "우리 선진국이야? 놀라는 한국, '국가열등감'에 … (8) 스크레치 04-21 4291
955 [기타경제] "코로나 이후 한국은 '첨단제품 세계공장'이 된다 (4) 일반시민 04-20 3063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