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0-04-18 01:24
[기타경제] 日1인당GDP 韓에 추월 현황 (IMF 최신)
 글쓴이 : 스크레치
조회 : 4,700  

IMF 기준으로는 매번 역전 예상치만 공개할수밖에 없었는데 (OECD기준으로는 이미 역전시켰으나) 

이제 드디어 IMF기준으로도 올해 공식적으로 대한민국이 일본의 1인당GDP(PPP기준)를 역전시켰습니다. 


2020년은 어쨌든 여러모로 의미있는 한해가 되는듯 








<대한민국 vs 일본 1인당 국민소득(PPP기준) 현황> (2020년) (IMF. 2020년 4월 최신 기준) 




1. 대한민국 (4만 4567 달러)

2. 일본 (4만 3103 달러) 





<대한민국 vs 일본 GDP(PPP기준) 현황> (2020년) (IMF. 2020년 4월 최신판 기준)



* 인구 (대한민국 통계청, UN 기준) 




1. 대한민국 (2조 3077억 1800만 달러) (인구 - 5178만 579명)

2. 일본 (5조 4514억 5200만 달러) (인구 - 1억 2647만 6461명)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솔로윙픽시 20-04-18 01:37
   
그야 일본을 넘으면 기분은 좋겠지만 PPP로 비교하는 건 그만두시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PPP만 갖고 비교하면 대만은 한국, 일본, 독일을 다 넘는 강대국이 됩니다.
     
Coollord 20-04-18 02:56
   
ppp가 높으면 강대국이라고 누가 그럽디까?

경제 규모가 커야 강대국이지...

룩셈부르크가 미국보다 2배이상 ppp가 높은데 미국보다 룩셈부르크가 강대국입니까?
          
솔로윙픽시 20-04-18 03:08
   
왜 나한테 그러는데요?
발제글이 ppp로 일본과 비교하고 있어서 님과 같은 말을 하는 거잖습니까?
대만의 ppp가 높다고 해서 강대국이 아니라고... 이걸 굳이 설명해야 합니까?
               
할게없음 20-04-18 03:16
   
PPP는 강대국을 판가름하는 자료가 아니라 국민들의 생활 수준을 판단하는 자료에요. 우리나라가 일본보다 강대국이냐 아니냐가 아니라 국민들이 생활 수준이 일본보다 낫냐 안낫냐 알아보는 자료라 이겁니다
                    
솔로윙픽시 20-04-18 03:34
   
이미 알고 있는 얘기 잘 들었습니다.
또 같은 얘기 반복하실 분 있으면 댓글 다세요
                         
할게없음 20-04-18 22:43
   
PPP와 강대국을 같이 언급하신 분이 누구더라? 선진국과 강대국을 헷갈리셨나?
     
할게없음 20-04-18 03:15
   
우리나라나 대만이나 그만큼 경제력에 비해 화폐가치가 과소평가 되어 있고 그 때문에 생활수준이 저평가 되어 있다 이 말입니다. 우리나라 대만이 가진 지정학적 리스크가 크기 때문이죠. 거기다 두 나라 모두 수출에 중점을 둔 나라들이라 굳이 저환율 정책을 필 이유가 없는 것도 일조하구요. 그러다보니 GDP도 생활 수준에 비해 낮고, 생활 수준도 자연스레 저평가 된거죠. 까놓고 보면 상당한 수준인데 말이죠. 여튼 우리나라나 대만처럼 이런저런 대외적 요인에 크게 흔들릴 수 밖에 없는 나라들의 생활 수준을 정확히 평가 해주는 것이 PPP에요. 이걸 맹신해서도 안되지만 의미가 없는 것도 아니에요. 물론 PPP는 재화의 수준을 고려하지 않는 단점이 있죠. 그래서 비슷한 수준의 국가를 비교할 때 쓰면 되는거에요.
          
Banff 20-04-18 09:42
   
첨듣는 이론인데.  화폐가치가 저평가된게 아니라 서비스 업종 임금이 낮다는 얘기에요. 부자들에겐 PPP가 높으면 살수있는게 더 많지만, 일반노동자들은 그 반대에요.  PPP / 명목 비율이 높은 나라일수록 그나라 노동력 저가착취가 심하다는 얘기죠. 물론 다행이지만 한국은 이 비율이 점점 낮아지고는 있습니다.  봉급생활자들이라면 PPP 얘기는 자제하는게 자신과 비슷한 계층들의 사람들을 위하는 길입니다.
               
할게없음 20-04-18 22:42
   
PPP가 무엇인지 자체를 모르시는 것 같은데 먼저 보고 오시는게 낫겠습니다. GDP와 GDP PPP의 차이를 알고 오세요
                    
Banff 20-04-19 11:10
   
비교할땐 그냥 GDP라 안하고 명목 nominal GDP라 하는겁니다. 고교시절 배운 순진한 이론과 현실이론은 많이달라요.  PPP/nominal 비율 높은 국가의 공통점부터 공부하고 오세요.  그리고 국가주의자들은 국가 정권찬양용으로  쓰면서 노동시장에서는 어떻게 악용되고있는지는 경총뉴스만 몇개봐도 쉽게 알수있으까.  그동안 경게에 여러번 얘기를 했어도 이해를 못하는 뉴비들이 있으니. ㅉㅉ.
     
킹크림슨 20-04-18 11:49
   
'PPP만 갖고 비교하면 대만은 한국, 일본, 독일을 다 넘는 강대국이 됩니다.'

'윙픽시' 님이 강대국이라 써서 'Coollord'님이 수정해주셨는데 뭘 왜그러냐고  왜 다시 묻습니까?

아시는 분이 왜그렇게 쓰셨나요?
          
솔로윙픽시 20-04-18 12:28
   
저게 시비거는 거지 수정해 주는 겁니까? ㅡㅡ;
그리고 크림님은 왜 사람 아디를 뚝 뗍니까? 솔로를 떼면 그냥 요정인데...
글로벌셀러 20-04-18 03:31
   
ppp 기준이란 건 국민실생활과 상당히 근접한 구매력 관련 통계입니다.
이 통계에서 뒤지고 있다가 처음으로 역전했다는 것 하나만으로도 의미를 부여할만하죠.
트집 잡고 말 것도 없네요.
     
솔로윙픽시 20-04-18 03:51
   
여기에 의미를 부여할 거라면 PPP로 브루나이나 카타르를 앞설 날은 대체 언제 올지 학수고대해야겠군요.
위증즐가 20-04-18 05:24
   
PPP라는 것이 각국의 상황, 특히 서비스(용역)상품의 질을 고려하지 못하는 점 때문에 맹점이 큽니다.
선진국과 후진국의 서비스상품은 가격차에 비례해 품질의 차가 존재하기 때문이죠

그러나 한국과 일본이라면 오히려 PPP에 의한 보정보다 더 큰 보정이 있어야 합니다.
대중교통,통신,영화 등등 한국보다 서비스질은 떨어지는데 오히려 물가는 더 비싼 것들 투성이니깐요

이것의 결정판적인 예가 바로 이번 코로나사태에서 양국 국민들이 받는 의료행정서비스의 질의 차이입니다.
한국인은 선진국들도 부러워할만한 양질의 서비스를 제공받았지만 일본인은 거의 제3세계 수준으로 방치되었죠
dirns 20-04-18 06:00
   
과유불급..
ppp 자뻑질도 한두번이지..적당히 합시다.
정말로 실질 국민소득으로 왜나라 넘어섰다면... 신문,TV등 매스컴에서 먼전 난리났겠죠.

상식적으로 1인당 국민소득 말할때 사용되는 지표가 명목gdp란건 대부분 알고 있는 사실일건데..
굳이..여러 조건이 걸려있어 잘 통용되지도 않는 구매력지수만 떼어와서 일본을 넘네 마네 하는 자극적인 제목 달고 주기적으로 올리시는 이유를 모르겠네요.

굳이 그렇게도 저 나라와 비교하려면 차라리 ppp뿐만 아니라 GDP,GNP,GNI,GDI..등등등..여러 경제 지표자료로 가져와서 객관적으로라도 비교해 주시던지..

저런 자극적인 타이틀이 주기적으로 올라오니 괜시리 오해하시는 분들도 계시고 게시판 분란만 일어나잖습니까..;;
     
Wombat 20-04-18 09:27
   
동의함
하지만 일단 ppp로 볼수있는건 일본내의 삶이질이 그다지 좋지않다는건 확실
투완나YTC 20-04-18 13:37
   
저는 스크레치님이 자료 갱신해서 매번 올려주는 거 정말 고생하신다고 생각하는데

고만 올려라고 하시는 분들은 좀 보기 그렇네요

보기 불편하시면 안 보시면 그만 아닌가

이런 자료들 하나 하나가 좋은 자료 아닌가요

올린 사람 힘빠지게 태클은 좀 ;;;
     
이아루 20-04-18 15:40
   
별루 인정 되지도 안는 지표 가지고 자위할 정도로 자부심 표시할 위치는 지났잖아요.

당장 몇년만 지나면 gdp 역전 될건데 저런지표 끌어와서 국뽕할 할요 없다고 봐요.

일본 방송의 남미 인원 수배해 택시 국뽕같은건 좋은 현상이 아니죠
          
달구지2 20-04-18 19:17
   
여기 가생이가 기본적으로 해외반응보고 즐기는 국뽕사이트에요.
보기 싫으면 안 오면 되요.
          
vetmaster 20-04-18 19:44
   
국뽕 사이트에서
주모 불러다 국뽕주좀 먹겠다는데
뭐가 그리 심사가 꼬이나
요금후납 20-04-18 23:10
   
보기 싫은 사람 안보면 되고 보고 싶은 사람 보면 됨.
자료 모아 글올린 사람은 남을 위해 자신의 시간을 써가며 희생한 것임.
이게 고맙고 감사한 일임.
제발 지랄은 그만하길 바람.
미니조아 20-04-19 23:08
   
아휴... 고구마 먹은 것 같아... 그것도 아주 솔로스럽게...
멀리뛰기 21-01-12 09:00
   
[기타경제] 日1인당GDP 韓에 추월 현황 (IMF 최신) 감사합니다.
 
 
Total 3,52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79 [기타경제] IMF 韓금융위기급 충격도 버틸 수 있다 (7) 스크레치 04-24 6855
978 [기타경제] 부산에서 런던까지..남북철도연결 재시동 (6) 스크레치 04-24 3451
977 [기타경제] 코로나19 위기에도 한국 자동차 판매량이 증가한 이유는? (2) 스크레치 04-24 3086
976 [기타경제] "한국산 보내달라" 중국산 진단키트 산 나라들, 창고 쌓… (7) 스크레치 04-24 3488
975 [기타경제] 中 석유거인 "코로나19로 中 블랙스완 몰려들 것" (6) 일반시민 04-24 4194
974 [기타경제] "中탈출 글로벌기업 잡아라".. '세계 공장' 넘보는… (8) 스크레치 04-23 4738
973 [기타경제] 토요타, 5월 Jap공장 생산 절반 축소. 부품사 경영 악화 (6) 굿잡스 04-23 2580
972 [기타경제] 달라진 韓 브랜드파워...미국서 태극기 마스크 등장 (6) 스크레치 04-23 5655
971 [기타경제] 32,032,000,000,000,000원…중국에 날아든 코로나 배상금 청구… (12) 땡말벌11 04-23 2469
970 [기타경제] 베트남 수출 25% 맡는데도 '문전박대'..포스트 코… (7) greatwallof.. 04-23 4383
969 [기타경제] 韓,영국 국민소득 추월 (IMF최신) (62) 스크레치 04-22 7965
968 [기타경제] 산유국의 저주가 시작됐다..유가 폭락에 산유국 경제 … (22) 스크레치 04-22 4112
967 [기타경제] IOC “올림픽 연기비용 3조원, 일본이 부담” (3) 땡말벌11 04-22 1338
966 [기타경제] 韓에 역전당한 일본 1인당GDP (IMF최신) (3) 스크레치 04-22 3012
965 [기타경제] 2019년 일본과의 gdp격차가 더 벌어졌습니다 (9) 폭군 04-22 2171
964 [기타경제] 코로나 터지기전 imf는 2024년에 한국이 4422만원을 달성할… (1) 폭군 04-22 3446
963 [기타경제] Jap 3월 수출 11.7% 감소…3년7개월 만에 최대낙폭 (17) 굿잡스 04-22 2105
962 [기타경제] g7국가가 되기위한 조건 (5) 폭군 04-21 2401
961 [기타경제] 베트남, 삼성 살리기 안간힘 (33) 스크레치 04-21 9514
960 [기타경제] 작년 한류 수출액 14조9천억 22.4%↑..관광·소비재 호조 (4) 스크레치 04-21 2231
959 [기타경제] 불매운동후 日브랜드 관심도 급락...아사히맥주, 78% 급감 (8) 스크레치 04-21 3877
958 [기타경제] 주요개도국 1인당GDP 현황 (2020년) (IMF최신) (5) 스크레치 04-21 2391
957 [기타경제] 수젠텍, 스페인·러시아 등 300억 규모 신속진단키트 공급 (2) MR100 04-21 2314
956 [기타경제] "우리 선진국이야? 놀라는 한국, '국가열등감'에 … (8) 스크레치 04-21 4291
955 [기타경제] "코로나 이후 한국은 '첨단제품 세계공장'이 된다 (4) 일반시민 04-20 3063
 <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