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23-06-27 21:32
[잡담] 미국 반도체 전략의 핵심 파트너가 바로 인도임
 글쓴이 : 강남토박이
조회 : 2,458  

8c3f7833bd5120c8aafbeb789a643e90_KBdW8kst3OWQJYuPT8oZvtgNOLK.jpg



이번의 미국-인도 정상회담에서 주목할 게 인도에 단순히 반도체 후공정 제조 시설만 건설하는 게 아니라 첨부에도 나왔듯 체계적인 반도체 전공정 엔지니어 육성 프로그램을 구축하겠다는 것임. 이는 크게 두 가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함.

1. 미국은 앞으로 인도에서 반도체 엔지니어를 수급하겠다는 것이고,
2. 인도에서 레거시 공정 반도체를 생산하게 해서 중국의 반도체 굴기의 싹을 잘라 버리겠다

라는 것임.

우선 1번부터 설명하면 지금 미국이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는 인도에서 주로 수급하고 있어서 인력 부족 문제가 별로 없음. 인도가 자국의 거지같은 인프라 환경 때문에 2차 산업 제조업을 건너 뛰고 3차 서비스 산업에 집중하는 전략을 펼쳤기에 인도공과대학(IIT) 등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육성 시스템은 잘 짜여져 있거든.

그런데 반도체 엔지니어는 상황이 완전히 다름. 지금 미국이 심각한 반도체 엔지니어 부족을 겪고 있는데, 반도체 FAB을 엄청 짓는 것도 있지만 그 전까지는 반도체 엔지니어를 주로 중국에서 수급해 왔었는데 국가안보 문제로 더 이상 중국인들을 뽑지 않고 있기 때문임. 이 때문에 반도체 엔지니어 부족 문제가 훨씬 더 심각해지는 상황임.

그래서 이제는 새로운 반도체 엔지니어 수급처가 필요하고, 그래서 선택된 게 인도임. 당장 지금만 바라보는 게 아니라 향후 10년 이상을 바라보고 소프트웨어 엔지니어처럼 인도에 체계적인 반도체 엔지니어 육성 시스템을 구축하겠다는 것임. 영어에 능통한 엔지니어를 저렴한 비용에 대규모로 양성할 수 있는 지역은 사실상 인도밖에 없음. 이처럼 칩스 법과 'Chip made in America'의 성공을 위해 상당히 미국은 치밀하게 준비를 하고 있음.

그리고 두 번째로 지금 중국이 반도체 선단공정 진입을 차단 당하자 집중하고 있는 게 28나노급 이상 레거시 공정 육성임. 이대로 가면 10년 안에 중국이 레거시 공정 반도체 생산의 거의 절반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예측되며, 이는 안보신기술센터(CSET)에서도 지적하듯 현재의 2차전지 핵심원료처럼 미국에 심각한 경제안보 리스크가 되리라는 우려가 많음.

그렇다고 해서 레거시 반도체에서 중국산을 규제하거나, 혹은 서방 선진국에서 생산하는 건 수지 타산이 안 맞음. 레거시 공정은 선단공정과는 달리 제조원가에서 감가비보다는 인건비 비중이 훨씬 더 높고, 따라서 중국산을 규제하거나 선진국에서 생산하는 건 경제적인 비용 문제가 너무 크기 때문임. 그래서 떠오른 대안이 인도임. 인도 인건비는 중국보다 훨씬 더 싸거든. 적절한 제조업 인프라만 갖춰지면 중국보다 훨씬 더 저렴하게 레거시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는 나라가 인도임.

미국-인도 정상회담에서 반도체 분야 협력에 단순 후공정 투자뿐만 아니라 전공정 인프라에 대한 투자가 같이 포함된 게 이 때문이라고 생각함. 이처럼 미국은 자국 반도체 산업의 부활과 중국 반도체의 싹을 말려버리기 위한 핵심 파트너로 인도를 선택했고, 장기적으로 반도체 산업에서 인도의 위상이 매우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함. 그리고 메모리 반도체도 비용이 중요하니만큼 삼전, 하닉도 지금 중국에서처럼 장기적으로 인도에 메모리 FAB을 세울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생각함. 엔지니어 수급뿐만 아니라 앞으로 인도가 중국을 대신할 IT 전자기기 제조 공장이 될 테니 메모리 수요도 급증할 수밖에 없거든. 그리고 이런 상황에서 중국 반도체가 살아날 방법은 없다고 생각함. 미국의 반도체 전략이 너무나도 치밀하고 정교하기 때문임.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노원남자 23-06-27 21:42
   
저건 그냥 호랑이 키우는짓같은데..인도도 성장좀하면 미국말 더럽게 안들을체급인데
     
나이희 23-06-28 05:58
   
미국이 원래 오판의 역사 잘 만들잖아요
중국도 미국이 키워준 오판의 역사인데, 자기 발등에 자기가 도끼질 하고있는 상황을 만든거죠
덕분에 그 피해는 중국 주변국들도 덩달아 피해를 입고있지만.
중국같은 안하무인에 거만하고 오만한애들은 힘을 키워주면 안되는데 미국이 너무 키워줬죠.
     
진실게임 23-06-28 08:27
   
선물을 주고 댓가로 충성을 요구하는 게 아니죠.
미국은 그런 1:1 플레이를 할 이유가 없어요.
인도가 맘에 들게 행동한다고 해서 계속 인도에게만 떡을 주지도 않을 겁니다.

미국 대 세계의 관점이죠.
생태계를 조성해서 그 안에서 서로 경쟁하게 하면 되는 겁니다.
특정한 누구를 중요시 하는 게 아니라
미국이 우위에 서서 생태계를 조절할 수 있는 위치를 잡고 있는 그 것만 중요하죠.
놀구먹자 23-06-28 09:08
   
투자내용만 보면 백프로 반도체 관련 투자가 아닌데.
인도가 중국을 대체할 대안으로 부상하는거는 어제 오늘일도 아니고 투자내용 어디에 반도체 관련이 있는데.
물론 마이크론 있지만 그건 소위 말하는 칩을 만드는게 아니라 완제품 칩 조립해서 SSD 제품 만드는거 아님?
SMT쪽 같은데. pcb 기판 조립해서 우리가 보는 램 모듈이나 SSD 만드는거 아녀?
이건 그냥 생산단가 싼쪽으로 건너간거잖아. 이게 무슨 반도체 전략 핵심 파트너냐.
그나마 BGA 쪽 있는데 이것도 결국 패키징 부분이잖아.
물론 요즘 삼성 덕에 패키징의 중요성이 부각되고는 있지만 니가 주장하는 바와는 거리가 먼 것인데.
게다가 이건 필리핀에도 베트남에도 태국에도 있는데 그럼 얘들도 미국 반도체 전략 핵심 파트너냐?
인텔 팹 필리핀에도 있는데 얘들도 미국 반도체 핵심 전략 파트너네?

여기에 어플라이드 있긴 하지만 얘네들 공장 세우는거 보단 니 말대로 교육시켜서 필드에서 써먹겟다는 거 아녀? 현장 엔지니어들. 물론 이것도 투자긴 하지만 이건 어디가나 다 하는 거임.

하여간 침소봉대 하는 꼴은....
이런 식으로 사실관계를 호도하려드니.....
현시창 23-06-29 06:52
   
인도는 엔지니어 인력이 전무합니다. 기반도 전무하고. 거기다 반도체 생산라인은 막대한 물, 전기, 인프라 기반 시설이 필요함. 단순한 제철소조차 기반시설 공급을 못하는 게 인도인데, 그보다 더 인프라 기반이 중요한 반도체 라인을 깐다? 퍽이나...

인도는 세계에서 가장 물부족이 심한 국가. 맑은 물을 대량으로 필요로 하는 반도체 라인을 세울 수가 없습니다.
대만조차 물 부족 문제로 반도체 라인이 심심하면 서고 있는데, 그에 필요한 수자원 인프라는 커녕 맑은 물 자체를 구하기 난망한 인도에서 무슨 수로 반도체 라인을 굴릴까요?

여기에 전력은? 한국은 이런저런 할인 조건이 많아 한전은 kwh당 122원에 공급하지만 실질적으로 전력소모가 엄청나게 큰 삼성등은 80원에 사다 쓰고 있습니다. 헌데 인도는 이미 도매 공급가가 kwh당 70~80원입니다. 전기 값이 전혀 싸지 않을 뿐더러 피크 타임 요금제는 별도라, 한국보다도 더 비싼 전기세를 내야 합니다.

반도체는 대표적인 장치 산업이고, 인건비 비중은 아주 떨어집니다. 인건비 싸서 반도체를?
말도 안 되는 소립니다.
 
 
Total 1,50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81 [잡담] 삼성전자,하닉 HBM으로 개떡상 ㄷㄷㄷ (6) 강남토박이 07-01 2575
1280 [잡담] D램 시장 역대급 떡상 ㄷㄷㄷ.jpg (1) 강남토박이 06-28 3921
1279 [잡담] 미국 반도체 전략의 핵심 파트너가 바로 인도임 (5) 강남토박이 06-27 2459
1278 [잡담] 9월 위기설 나오네. (8) 땡말벌11 06-27 3536
1277 [잡담] 삼성전자 NDR: 향후 하이엔드 메모리 운영 전략 강남토박이 06-26 1051
1276 [잡담] 삼성전자 주가 전망.jpg (2) 강남토박이 06-25 2894
1275 [잡담] AI의 미래에 대한 맥킨지 컨설팅의 최신 리포트 공유함 (2) 강남토박이 06-25 1383
1274 [잡담] 현기차 2분기 영업이익 7조 전망 (8) 강남토박이 06-23 3618
1273 [잡담] HBM 고성능 D램 반도체 개떡상 근황 ㄷㄷㄷ.JPG (5) 강남토박이 06-23 2355
1272 [잡담] 중국이 한국에 매달릴 수밖에 없는 이유 ㄷㄷㄷ (10) 강남토박이 06-22 3514
1271 [잡담] 삼성전자 사업별 영업이익, 이익률 전망 (2) 강남토박이 06-22 1420
1270 [잡담] 25년에 아이폰 인도 생산 비중이 18%까지 올라갈 것 (3) 강남토박이 06-19 2730
1269 [잡담] 역대급 메모리반도체 슈퍼사이클 ㄷㄷㄷ (4) 강남토박이 06-16 3136
1268 [잡담] 엔비디아 떡락 오피셜 ㄷㄷㄷ (4) 강남토박이 06-14 5058
1267 [잡담] 삼성전자 영업이익 전망치 계속 상향 조정중 강남토박이 06-14 1700
1266 [잡담] 나라가 진짜 망해가는중 (42) 범내려온다 06-13 5665
1265 [잡담] SK하이닉스 내년 영업이익 20조원 전망 (4) 강남토박이 06-12 2458
1264 [잡담] 중국과 경제, 외교 단절 최악 가능성 준비해야할 시기 … (9) 조지아나 06-10 3377
1263 [잡담] 카타르서 40척 발주… 조선 빅3, 잭팟 예고 (14) 흩어진낙엽 06-09 4503
1262 [잡담] JP모건: AI 서버에서 GPU 비중은 27년에 65%까지 낮아질 것 (4) 강남토박이 06-05 3636
1261 [잡담] (1부) 사우디가 모래 수출을 금지한 이유 | 북언더스탠딩 … (3) 흩어진낙엽 06-05 4512
1260 [잡담] 주요 서버 디램 제품별 가격 현황 (3) 강남토박이 06-04 2088
1259 [잡담] 외국계 기관들이 전망하는 AI와 메모리의 미래 강남토박이 06-04 1175
1258 [잡담] JP모건은 AI 시장에서 엔비디아의 독점이 깨질 것으로 봄 (4) 강남토박이 06-03 2372
1257 [잡담] 과도한 의대 쏠림. 한국의 미래는 없다 (김누리 교수) (10) 흩어진낙엽 06-02 2599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