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4-12 19:09
[과학/기술] 표준연 연구진, 50년 플라즈마 난제 풀었다
 글쓴이 : 진구와삼숙
조회 : 2,691  

http://news.nate.com/view/20180412n23858?mid=n0602

표준연 연구진, 50년 플라즈마 난제 풀었다



반도체 품질저하 원인 '이력현상'

반도체 품질저하 원인 '이력현상'
이효창 선임연구원 등 최초입증

국내 연구진이 50여 년 동안 학계에서 풀지 못한 '플라즈마 히스테리시스' 문제를 해결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반도체측정장비팀 이효창 선임연구원은 반도체나 디스플레이 공정에 품질을 저하하는 고질적인 문제였던 플라즈마 히스테리시스의 원인을 밝혀내고 제어하는 데 성공했다고 12일 밝혔다.

플라즈마는 전자, 이온, 중성기체로 구성된 이온화된 기체를 말한다. 고체, 액체, 기체 이외의 '제4의 물질상태'로 불리며 핵융합에서부터 환경, 항공우주, 바이오, 의학 등 다양한 산업에서 사용된다. 특히 최근에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소자의 증착·식각·세정 등 가공 공정 전반에 활용되고 있다.

히스테리시스(이력현상)는 어떤 물리량이 그때의 물리 조건만으로 결정되지 않고 이전에 물질이 지나온 과정에 의존하는 현상이다. 이 현상이 플라즈마 공정 과정에 발생하면 소자 성능과 수율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치지만, 지금까지 이에 대한 원인조차 밝혀지지 않아 원하는 결과가 나올 때까지 시행착오를 반복하는 방법이 최선이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수많은 이론적·실험적 연구들이 시도됐지만, 원인을 밝혀내지 못해 플라즈마 물리학계의 난제로 남아있었다.

연구팀은 정밀 측정법을 이용해 히스테리시스의 원인이 플라즈마 내 전자에너지 분포에 의한 차이라는 사실을 최초로 입증했다.

또 특정 비활성 기체를 주입하거나 생산장비의 외부 조건을 변경하는 방법을 고안해 최적화된 공정에서 안정적으로 플라즈마를 사용할 수 있는 독자적인 제어기술을 개발했다.

이효창 선임연구원은 "우리나라는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강국이지만 수십억원이 넘는 고부가가치의 첨단장비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며 "국산화에 이바지할 수 있는 차세대 공정 장비 핵심기술을 통해 소자기술에만 집중된 국내 반도체 산업의 불균형을 해소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응용물리분야 국제학술지 '어플라이드 피직스 리뷰'에 게재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호갱 18-04-12 19:12
   
노벨상 받는거 아님?
스크레치 18-04-12 19:39
   
연구진분들은 언제나 응원합니다.
귀요미지훈 18-04-12 21:53
   
와우~!!!!!!!!!!!!!!!!!!!!!!
nigma 18-04-12 22:37
   
관련 지식이 없어 잘 모르겠습니다만 어쩌면 우리보다 후발주자들에게 더 도움이 되는 것인지도 모르겠네요.
좋은비 18-04-13 15:39
   
정말 노벨상감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공정쪽으로 경험과 노하우가 있어야된다고 하던 기술적 난제를 직접적으로 제어하고 기계를 만들었다는거에 대해

서 높히 평가되지만 만약에 짱게국에 저기술이 노출되는날에는 우리에게는 재앙이 오지 않나 싶네요

기술을 잘 관리 해야겠네요

그리고 우리나라 업체가 특허를 사서 우리기업에게만 팔면 되지만 현실은 ㅜㅜ
잔잔한파도 18-04-14 04:30
   
좋은 소식이네요.
멀리뛰기 21-01-02 13:56
   
[과학/기술] 표준연 연구진, 50년 플라즈마 난제 풀었다 잘 봤습니다.
멀리뛰기 21-01-08 14:06
   
[과학/기술] 표준연 연구진, 50년 플라즈마 난제 풀었다 좋은글~
 
 
Total 29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4 [과학/기술] 신흥국에 불고 있는 블록체인 혁명 (3) 공노비 06-10 1504
73 [과학/기술] 낸드플래시 新기술 경쟁…"올해 QLC 시대 열린다" (6) 공노비 06-10 2131
72 [과학/기술] KAIST, 대용량에 폭발 위험 없는 2차전지 개발 (10) 진구와삼숙 06-06 2116
71 [과학/기술] 삼성전자 `32GB 노트북 D램 모듈` 업계 첫 양산 (2) 보면짖는개 05-30 2388
70 [과학/기술] 전자피부 시대…최대 18.8배 늘어나는 전극 개발 (3) 진구와삼숙 05-30 1249
69 [과학/기술] DGIST, 1000배 빠른 빅데이터처리 기술 개발 (4) 진구와삼숙 05-29 2460
68 [과학/기술] 고온초전도 비밀 풀어줄 '홀스타인 폴라론' 입자 … (3) 진구와삼숙 05-29 2022
67 [과학/기술] 손상된 망막 대체에 활용 가능 '인공 광수용체' … (4) 진구와삼숙 05-28 1360
66 [과학/기술] 삼성 AI 연구센터, 영국, 캐나다, 러시아에 신설…1천명 … (7) 귀요미지훈 05-25 2632
65 [과학/기술] 분자 수준 물질 비추는 '나노등대' 개발 (3) 진구와삼숙 05-22 2060
64 [과학/기술] 2022년까지 5대 신산업에 160조 투자 (11) 귀요미지훈 05-16 2708
63 [과학/기술] 정밀도 10배 높인 '자기베어링 스마트 롤러' 개발 (2) 귀요미지훈 05-16 1997
62 [과학/기술] 인공지능 기술 개발 5년간 2조 2천억 원 투입 (3) 귀요미지훈 05-16 1291
61 [과학/기술] 3D 프린터로 만든 의료기기…본격 상용화 (2) 귀요미지훈 05-10 2041
60 [과학/기술] 차세대 발광소자 '양자점' 발광 세기 7배 향상 (4) 진구와삼숙 05-03 2578
59 [과학/기술] KIST 주도 공동개발 리튬금속이온전지, LIB 중심 전지시장… (2) 진구와삼숙 04-23 1769
58 [과학/기술] 꿈의 소재 그래핀, 구리 전선 대체하나…韓 연구진, 출력… (4) 진구와삼숙 04-16 2674
57 [과학/기술] 국내 연구진 혈당측정 오차 줄인 바이오센서 개발 (2) 진구와삼숙 04-15 1767
56 [과학/기술] 표준연 연구진, 50년 플라즈마 난제 풀었다 (8) 진구와삼숙 04-12 2692
55 [과학/기술] "행동 않고 말로만 4차 산업혁명 외치는, 세계 500대 기업 … (7) 답없는나라 04-09 1852
54 [과학/기술] 中, 2020년엔 '빅데이터 대국'…한국은 도입 저조 (6) 답없는나라 04-09 1698
53 [과학/기술] 포항산과연, 기존 강판보다 20배 내구성 가진 도금강판 … (10) 진구와삼숙 04-07 2041
52 [과학/기술] KIST, 미세먼지와의 전쟁…"1~2년 내 공장 미세먼지 99%까지… (5) 진구와삼숙 04-02 2272
51 [과학/기술] [4차산업혁명 시작 '블록체인']글로벌 표준화...정… (3) 답없는나라 03-28 1417
50 [과학/기술] 글로벌 신약개발 감소세, 한국은 쑥쑥...면역항암제 임상… (4) 답없는나라 03-23 1871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