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방송/연예 게시판
 
작성일 : 14-04-04 10:35
[잡담] 신대철이 페이스북에 쓴 울나라 음악시장 문제점
 글쓴이 : 쁘힝
조회 : 2,218  

-이 글은 꽤 깁니다. 
이 글을 개시 하는것도 부담스럽습니다.
끈기를 갖고 특히 음악하는 분들은 꼭 읽어 주세요.

어느날 음악하는 후배가 찾아왔다.
이런저런 얘기도 하고 소주도 한잔 기울였다.
그 친구 대뜸 이렇게 묻는다.
"그런데 정말 어떻게 해야돼요?"

그가 하는 말인즉슨 왜 아무리 노력해도 
성과가 없느냐 하는 것이다.
그 말엔 명성과 유명세에도 불구하고 
경제적인 해결이 어렵다는 뜻이 포함되어 있다.
허나 나라고 해도 뾰족한 해결책이 없다.
나도 별반 다르지 않기 때문에..

구조적인 문제가 있다.
그 얘기를 하고싶다.
(한국의 음반산업사..그 파탄의 변)
태초에 레코드사와 가수만 있었다.
물론 당시에는 인세를 떼먹거나 그 개념조차 없던 시절.
그래도 대박이 있으라! 하면 척 하고 나타났다.
구조가 간단했다.
대략 80년대 중 후반 까지는 갑과 을 만 있었다.
지구,오아시스,서라벌,... 다 생각은 안 나지만 
전통적으로 굳건히 자리잡고 있던 음반사들. 
이런 회사들은 원스톱으로 모든걸 해결했다.
저마다 커다란 스튜디오를 보유하고 
케스팅,녹음,제작,디자인,유통,메니지먼트까지.

그러다가 90년대 접어 들면서 본격 적으로 
기획사 들이 생겨나기 시작했다.
선배 레코드 회사를 롤모델로 생각하며..
우리나라 음반업계엔 '마이킹' 이란것이 있다.
원래 화류계 용어다. 쉽게 말해 선불금을 뜻 한다.
더 쉽게 말하면 빚이다.
만약 내가 음반을 만들고 싶은데 자본이 없다.
그래도 훌륭한 가수와 좋은 곡이 있다면..
큰 레코드사를 찾아간다.
"이번에 음반 내려하는데 마이킹 1억만 주세염"
그러면 음반사에서 검토해보고 1억을 내 준다.
내 기억에 90년대 초 중반엔 시디 1장당 
7~800원에 리쿱하는 조건이었다.
그러면 대략 14~5만장 정도 팔리면 변제가 되고
그 이후의 판매 수익은 순익으로 남는다.
대박이 있으라! 하니 있었다.

이런 형태로 대박난 메니저나 제작자 들이 
회사를 차리기 시작했고 대박을 꿈꾸는 후발주자들도
뛰어들기 시작했던 것이다. 바로 기획사 혹은 제작사.
60년대 후반부터 90년대 중반 까지가 음반업계의 
호황기였다. 특히 90년대 초 중반은 황금기 였다.
2~30만 정도는 흔했고 100만 이상도 심심치 않게 나왔다.
SM 같은 90년대의 수혜자 들이 나오기 시작했다.
도레미 같은 마이너 음반사가 메이저로 등극했다.
그러면서 갑,을,병 구조가 만들어지기 시작했다.

음반사-갑
기획사-을
가수-병
기존의 대형 음반사들은 유통과 제작비 마이킹을..
기획사들은 케스팅,제작,홍보를..
그래도 대형음반사들은 노난 장사였다.
그러나 97년. IMF가 도래하며 모든것이 변했다.
그 이후의 고속 인터넷망과 함께 MP3출현!
기존의 음반사는 개 망하기 시작하며
소리바다 시대가 열렸다.

이때부터 음악은 돈내고 듣는 것이 아니었다.
아! 돈내고 듣는 것도 있었다.
휴대폰이 보급되며 새로운 활로가 열렸는데
컬러링,벨소리 가 그것이다.
그러나 기존의 음반사 기획사 음악가들 조차
세상이 어떻게 뒤바뀔지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

SK 텔레콤이 2002년 부터 이 기술을 도입하며 컬러링 이라 하더라.
얼마 지나지 않아 오프라인 시장을 넘어서기 시작했다.
결국 컬러링,벨소리가 음반시장을 잠식하며 비극은 시작된다.
그러나 끝이 아니다.
스마트폰이 나오며 모든걸 폰 하나로 해결하는 시대가 되었다.
결국은 음악과 아무 관련없던 망사업자가 슈퍼 갑으로 등극한다.
오프라인:온라인 = 1:9

로엔(멜론), CJ E&M, KT뮤직(올레뮤직), 네오이즈(벅스)
소리바다 가 음원시장의 94%를 점유하고있다.
그중 로엔(멜론)이 54%의 압도적인 점유.
우리나라의 대중음악산업의 도식은 이렇다.

1.음원을 판매하는 서비스업체-슈퍼 갑
2.음반 유통사(직배사포함)-슈퍼 을
3.콘텐츠개발과 기획하는 제작사-병(슈퍼 병도 있다)
4.가수,저작자,실연자-정(아주 드믈게 슈퍼 정도 있다)

그래서 뭐 어떠냐고요?
음악은 더 이상 음악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단지 부가서비스로 존재할 뿐이다.
음악을 만드는 음악가는 피라미드의 최하층에 있다.
스트리밍 서비스..
이것이 우리나라 음원산업의 실체다.
3000원으로 못사는것.
맥도널드 불고기버거 3900원
스타벅스 오늘의 커피3600원
3000원 으로 살 수 있는것?
김밥천국의 누드김밥. 치즈라면.
멜론의 스트리밍 서비스!..
편의점에서 담배한갑 팔면 100원 남는다.
무제한 스트리밍 서비스로 나의 음악이 팔리면?
1원을 못번다.
"그런데 정말 어떻게 해야돼요?"
이런 얘기?.. 조심스럽다. 부담스럽다.
유명 당사자가 나서서 이런 얘기를 꺼내면 
"뭐야 밥그릇 싸움해?"

나에게 또다시 전성기가 도래할 것이란 희망따위는 없다.
하지만 동료 후배들..
아픈데 왜 아픈지를 몰라. 원인을 알아도 약이없어.. 
아무도 고쳐줄 생각이 없다.

현재 음원서비스 업체가 40%를 가져간다.
제작년에는 60%였지만 작년부터 고맙게도 
20%를 돌려줬다.
그래서 제작사 44%, 저작권자 10%, 가수6%..
스트리밍 서비스로 누군가의 노래를 들으면
작사 작곡자에게 0.2원 가수에게 0.12원이 돌아간다
ㅋㅋ 전 단위라니..
다운로드 해주면 작품자 10,7원 가수 5.4원 ..
2014년 최저시급 5210원. 
가수가 그돈을 음원팔아 벌려면 965명이 다운로드 해주거나
43416명이 스트리밍 해주면 된다.
오천만명이 한달동안 나의 음악을 들어주면 
나같은 작품자는 무려 천만원을 벌 수 있다!…
그런일은 잘 일어나지 않지만. 
이정도면 음악을 할 이유가 있을까?

이제 음반 만들겠다고 마이킹 1억 땡기면
그 빚은 갚기 어렵다.
"공연 잘해서 돈벌어!!"
옛날에도.. 80년대 인세 떼먹던 음반사 사장 왈.
"업소나가서 돈 벌면 되자너"
문제는 그것이다.
작가가 책 못팔고 싸인회로 먹고 살거나
프로야구 선수가 연봉없이 
안타 하나에 10만원씩 받는다면 하겠는가?
시급 35000원의 대학 강사도 언젠가는..
뮤지션도 언젠가는..하는 꿈이 있고 그 일을 사랑하니까..
그러나 현실을 알면 당신의 자식이 음악하겠다고 한다면 
말려야 한다.
음원서비스 업체가 20%는 더 양보해야한다.
음원권리자의 몫이다.
그래도 스트리밍 환경이라면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지만 
최소한 공정하다는 소리는 들을 수 있다.
대부분 상장사인 음원서비스업체는 주주의 이익을 
보장해야 할테니 그들은 안한다. 대안을 찾아야 한다.
생각해 봤다. 뜻을 같이하는 사람들과 토론도 해봤다.
해법이 있는가? 
딱 하나 있을것 같다.

자본으로 부터 자유로운 음원 서비스 업체가 나타나야 한다.
주식회사? NO..
협동조합? YES!
난망하긴 하지만 해야한다.
한국의 대중음악을 사랑하십니까?
지금 이대로 라면 고사합니다.
자수성가형 아티스트는 탄생하지 못합니다.
작은 규모의 음악가는 다른 직업을 찾아야 합니다.
인디? 취미로 하세요.
실용음악과? 
오디션 서바이벌 프로에서 입상하는법 가르쳐야 합니다.
아님 대형기획사 연습생 되는법을 가르치던가.
한류? 그들만의 리그 입니다.


-이 글은 푸념으로 쓴 글이 아닙니다. 이글의 저작권은 저에게 있지만
마구 퍼 날라도 상관 없습니다.
https://www.facebook.com/daechul.shin.75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얼향 14-04-04 10:50
   
이런 말씀 드리자니 조심스럽지만, 음원 또한 유료 다운로드가 더욱 활성화 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그만큼 실연자에게 더욱 많은 보상이 돌아가야 되고요.
(음반이야 대부분 팬덤에 의해서 판매되는 것을 저 또한 부인하지 않으니까 논외로 칠게요..)
월정액 몇천원으로 무제한 스트리밍은 뮤지션들에게는 너무 가혹한 시스템이죠.
짤방달방 14-04-04 12:04
   
음원 중간 유통업자들부터 족쳐야 합니다
 
 
Total 182,20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2) 가생이 08-20 473902
공지 [공지] 품번 공유자 강력조치 가생이 03-13 483696
33751 [방송] Showbiz Korea 한국에서 사랑받는 외국인 스타 stabber 05-23 2330
33750 [정보] 북한여성들도 ‘별그대’ 김수현앓이중 도매니저 … (18) 암코양이 05-23 5899
33749 [정보] 中 매체 "김수현, 중국서 328억원 벌어들인다" (5) 암코양이 05-23 3260
33748 [배우] 전지현의 감춰지지 않는 우월한 미모 (1) 그녜 05-23 3981
33747 [배우] 타고난 여배우 미모 (2) 암코양이 05-23 3411
33746 [방송] 지나 백댄서 미모 화제, 걸그룹 데뷔 임박? (10) 스쿨즈건0 05-23 8286
33745 [보이그룹] INFINITE(인피니트) _ Last Romeo(라스트 로미오) & 2 other … (1) 오캐럿 05-23 2031
33744 [해외연예] 휴잭맨, WWE 존시나에 도전장 "짓밟아주겠어" (1) 암코양이 05-23 3189
33743 [MV] 빅스(VIXX) - 기적 (ETERNITY) -Teaser (1) 오캐럿 05-23 1557
33742 [방송] 윤하, 노래부르다 벨트 터지다!.. @ 140521 라디오스… 오캐럿 05-23 2244
33741 [걸그룹] 2014 상반기 걸그룹 서열+인기도순위 _ 1위~15위 (6) 사랑choo 05-23 3233
33740 [방송] 김희철 "크리스 과거 잠적 등 탈퇴징후 있었다" (3) 쁘힝 05-23 4795
33739 [걸그룹] 소녀시대 "일본으로 출국 " 김포공항 모습… (5) 스쿨즈건0 05-23 2806
33738 [배우] 어릴 때 보니 자연 미인인 듯 (13) 암코양이 05-22 4537
33737 [배우] VDL 안소희의 라이프가드 2014 여름 컬렉션 (3) SSoLEE 05-22 4197
33736 [솔로가수] 윤하의 겨울왕국OST, Do you want to build a snowman -라디… (1) 하연수 05-22 2687
33735 [방송] '굿 닥터' 미국CBS와 리메이크 협상 (6) 배리 05-22 3105
33734 [걸그룹] 크레용팝 한국 앨범 압축버전 왕이 05-22 2596
33733 [MV] 김창완밴드 - E메이져를 치면~ SSoLEE 05-22 1832
33732 [기타] 크리스 중국 영화 출연하나? 中 매체 "양측, 접촉은… (14) doysglmetp 05-22 4370
33731 [기타] [김헌식 칼럼] 한경과 크리스는 SM을 어떻게 역이용… (7) doysglmetp 05-22 3561
33730 [걸그룹] 으랏차차 이등병 "씨엘오" (1) 크리스탈과 05-22 2028
33729 [아이돌] [자생] 꾸러기 박초롱~ ^^* (8) 짭짭 05-22 5056
33728 [정보] 장만옥, 엄청난 골초? "1시간에 1갑 피운다" (4) 스쿨즈건0 05-22 4277
33727 [솔로가수] 걸그룹이었던 홍진영 과거 모습 (12) 암코양이 05-21 5937
 <  5931  5932  5933  5934  5935  5936  5937  5938  5939  59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