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구)잡담게시판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24-05-19 01:09
AI 를 배채워줄 소형모듈원전(SMR)
 글쓴이 : archwave
조회 : 1,507  

"전기 없인 챗GPT도 없다"…전력·에너지株로 번진 AI 열풍 (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51238831 )

2030 년에 AI 가 소비할 전력양이 무려 1110.3 TWh 가 될거라네요.
( 2024 년 예상치는 87.9 TWh )

AI 를 학습시키고 운영하는데 필수인 데이타센터가 글로벌 전력 소비량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24 년 2.3 % 이던 것이 2033 년 10.8 % 로 증가한답니다.
( 데이타센터가 전세계에 골고루 퍼질리도 없으니 어떤 국가는 절반이 데이타센터 전력소비일수도.. )

입지 환경이 나빠서 재생에너지에 불리한 한국만이 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신재생에너지로 전력 수요를 감당할 수 없다는 것이 중론이고,
올해 탄소배출권과 신재생에너지 관련 ETF 수익률이 마이너스 20 %
원자력 관련 ETF 는 3 개월 수익률 플러스 29.9 % ( 한국 얘기가 아님 )

탈원전무새들 말대로라면 갈수록 탄소배출권 사느라 혈안들이 되서 가격이 올라가야 할텐데 왜 반대인거지 ?

돈은 거짓말 못 하죠.

----------------------

AI 데이터센터에 적합한 전력공급원으로 여겨지는 소형모듈원전(SMR) 이 뜨는 중.

SMR 은 보통 30~300MW 짜리 소형 원전을 말합니다.

세계 IT 기업들이 일본으로 가는 이유 (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commu08&wr_id=1831078 )

위 글에서 말한 150 MW 의 전력 소비하는 대규모 데이타센터와 SMR 은 찰떡궁합이죠.

----------------------

러시아가 70MW SMR 을 운영중이고, 중국은 200MW SMR 을 운영중입니다.

2035 년에 전세계에서 운영되는 SMR 의 발전 용량 합계는 21 GW 예상
( 현재 한국의 원자력 발전소 발전 용량 총합계가 24.65 GW 인 것과 비슷한 수준 )

빠른 시일내에 설치될 SMR 으로 눈에 띄는 것은
GE 히타치 원자력의 BWRX-300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 300MW (0.3GW) 용량

폴란드에서 BWRX-300 을 24 기 도입한다네요. ( https://www.world-nuclear-news.org/Articles/Six-SMR-power-plants-approved-in-Poland )

참고로 폴란드가 한국에서 도입하게 되는 1400MW(1.4GW) 는 소형이 아니라 기존 한국에서 쓰는 것과 같은 대형이고 위와는 별도로 추진되는 것임.


G7 정상회담에서 미국과 일본, 한국, 아랍에미리트의 "다국적 민관 파트너"가 루마니아에 NuScale Power Corporation VOYGR 소형 모듈형 원자로(SMR) 플랜트 건설을 추진한다네요. --- 여기에 쓰는 SMR 은 77MW (0.077GW) 짜리 ( https://world-nuclear-news.org/Articles/NuScale-s-Romanian-SMR-plan-gets-USD275-million-bo )

뭐 찾으면 이런저런 뉴스 더 나올거 같은데 귀차니즘이 몰려와서 생략.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archwave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원형 24-05-19 02:12
   
원전 위에서 산다면 아무말 안하겠는데 그럴 사람들이 있긴 하나?

원전에서 못산다면 방폐장 위에서 살면 됨.

지하에는 방폐장 위에는 지지하는 자들을 위한 복합 아파트 단지. 좋잖아!
     
archwave 24-05-19 02:43
   
Mitsubishi Heavy, 2030년대까지 '트럭에 원자로' 건설 목표 ( http://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military&wr_id=828021 ) --- 이 글도 읽어보세요. 외딴지역용 원자로입니다.

원자력잠수함 같은 경우 원자로와 함께 몇 달을 갇혀서 살죠.

SMR 정도라면 원자로와 같이 못 살 이유도 없죠.
달토끼 24-05-19 03:01
   
데이터센터는 일본보단 미국 아이슬란드 이쪽 아닌가?
일본이 수주양도 많지도않고 더욱이 전력때문에 하는건 아닐텐데??? 미국 각기업이 재생에너지 투자가 얼마나큰데 원전타령이지? Ai데이터센터와 원전은 솔직히 1도 상관없어보임
특히 미국빅테크 ai데이터센터는 미국에서 건설중이거나
운용중인걸로 알고있는데 거기다 빅테크쪽은 재생에너지에 투자하고있는데..
     
archwave 24-05-19 03:52
   
세상이 미국과 유럽으로만 이뤄진건 아니니까요.
그 전에는 데이타 유통량이 적어서 전세계 커버 가능했을지 모르지만, AI 시대에는 전력 사용량만 늘어나는 것이 아니죠.

그 외의 지역용으로 데이터센터 짓는다면 전력 여유가 풍부한 국가중에서 골라야 할거고 결국 일본이 될 수밖에요.

한국 입장에선 들어온다 해도 말려야 할 판. 데이터센터 들어와봐야 한국에 뭐 떨어지는거 별로 없고 공장 특히 반도체 공장 돌려야 할 아까운 발전용량을 왕창 뜯어갈텐데요.
          
놀구먹자 24-05-19 10:04
   
일본이 전력 여유가 넘치는 국가 였나요?
SMR 몇개 깐다고 일본에 간다?
다른 이유로 가는거죠.
대만은 어렵고 여건상으로는 중국이 가장 좋지만 가면 안되고 우리나라는 재생 에너지량이
부족해 추후 RE100 생각하면 갈수가 없고 남는게 일본이라서 가는거 같은데.

그리고 SMR 이라고 폐기물이 안나온다고 생각하시나요.
SMR 자체가 나중에 하나의 거대한 핵 폐기물이 될텐데. 
게다가 지금 실험적으로 SMR 깐다고 테라파워나 뉴스케일이 사업 진행 한다고 하지만
이게 결코 쉽지 않은 일이라는건 현재의 상황만 봐도 알수 있지 않나요?
뉴스케일 CFPP 사업 중단 같은 상황만 봐도 현재 그 장애물이 아주 많은 거로 아는데.
SMR 하나로 모든걸 확정지어 판단하는 오류를 범하고 있지 않나요?

file:///C:/Users/seain/Downloads/%EB%AF%B8%EA%B5%AD%20%EC%9B%90%EC%9E%90%EB%A0%A5%EC%A0%95%EC%B1%85%20%EB%8F%99%ED%96%A5%20%EC%8B%9C%EB%A6%AC%EC%A6%88(24-01)_%EB%AF%B8%EA%B5%AD%20SMR%20%EC%82%B0%EC%97%85%20%EB%8F%99%ED%96%A5%EA%B3%BC%20%EC%A0%84%EB%A7%9D.pdf
archwave 24-05-19 03:05
   
[특집] 전 세계 데이터센터 1만1천곳 전력난 문제없나 ( https://www.e2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308024 )

"2030년까지 미국 전력소비량 4분의 1 소비할수도"

원전은 장기대책으로 삼고 있고 ( 건설에 오래 걸리니 )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는 단기대책으로 삼고 있는 형편이죠.

태양광 발전하기 좋은 지역에서 데이타센터 짓는 그런 식은 단기 대책인 셈이고,
워낙 앞으로 전력 사용량이 폭증하기 때문에 장기 대책으로는 원자력으로 가야 한다 그런겁니다.
     
달토끼 24-05-19 03:27
   
뭐 원전의 효율성이나 그런걸부정하고 싶진않음
근데 지금 빅테크가 ai관련 전력확충은 재생+핵융합투자
중간단계로 SMR에 일부투자 이건데 결론이 이상하심...
          
archwave 24-05-19 03:35
   
그건 AI 폭발 이전 얘기같은데요.

AI 로 인해 예전 생각보다 훨씬 더 빠른 전력 수요 급증이 될거 같으니
더 이상 핵융합 결과를 기다릴 수 없다. 그러니 원자력으로 간다는거죠.

애초에 핵융합투자는 초장기대책이었죠. 수십년 걸려도 실현될지 불투명한 것이었으니까요.
그에 반해 원자력은 각종 규제가 걸림돌이고 건설 자체는 예측 가능한 시기에 결과물이 나오죠. 건설 시간도 오래 걸리는데 규제 돌파가 더 시간 잡아먹을테니 장기대책이 되는 셈.
               
달토끼 24-05-19 03:53
   
혹시 찾아봤는데 미국은 원전추가건설이 없네요
Smr추가로조금있고  미국은 전력랑증가대비를
원전으로 하지않아요 .......
세계의 ai데이터센터는 거의없어서 전력사용은 미미하고요
짜집기 꼬아서 이상한 결론 내지맙시다
아니 그냥 전세계 재생에너지 확보가 늦어지고 비용문제등등으로 원전추가계획국가도 많이 있는데 이런걸로
말해야지
 미국만할수있는 대형ai데이터 센터를 꼭 전세계가 전력이 부족한것처럼  말하고 그래서 결론이 원전이다
이게 맞아요????
이것때문에 전력이 필요
                    
달토끼 24-05-19 03:54
   
폰작성이라 엉망이네 ㅎ 이해좀
                    
archwave 24-05-19 04:51
   
2022/4/26 기사 --- 93개의 미국 원전, 어디어디에 있나...폐기물은? ( https://www.impacton.net/news/articleView.html?idxno=3909 )

2022/9/15 기사 --- 미국 노후화된 기존 원전, 수명연장 위해 노력 집중 ( https://dream.kotra.or.kr/kotranews/cms/news/actionKotraBoardDetail.do?SITE_NO=3&MENU_ID=180&CONTENTS_NO=1&bbsGbn=243&bbsSn=243&pNttSn=195853 )

2023/8/1 기사 --- 미국 원전사업 부활하나…34년 만에 새 원전 가동 시작 (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080115594250123 )

참고로 미국의 원자력 발전량은 연간 807 TWh 로서 한국의 4.6 배입니다.

그리고 SMR 은 원전 아닌가요 ?

[ 세계의 ai데이터센터는 거의없어서 전력사용은 미미하고요 ] --- 무슨 옛날 얘기를 하시는건가요 ? 위 글 첫부분만이라도 읽어보세요.

2030 년에 AI 가 소비할 전력양이 무려 1110.3 TWh 가 될거라네요.
미국의 전력 소비량의 1/4 에 달합니다.

미래에도 미미할거 같은가요 ?
엔비디아가 찍어내는 5000 만원짜리 AI 칩을 수십만개씩 입도선매하기 바쁜데요.

제가 쓴 글들과 소개한 링크 기사들만이라도 읽어보세요.
빅테크 기업 CEO 들이 괜히 난리피우는 것이 아님.
네고갱님 24-05-19 05:46
   
탈원전무새들 말대로라면 갈수록 탄소배출권 사느라 혈안들이 되서 가격이 올라가야 할텐데 왜 반대인거지 ?

실제로 탄소배출권 시장은 매년 매출이 성장하고 있는데? etf수익률이야 여타 친환경산업과 마찬가지로 보조금 깎인게 크지. 그리고 탄소배출권은 현질개념임. 실제로 제조과정에서 탄소발자국을 줄이면 탄소배출권 적게 사거나 안 사도 됨. 예를 들어 요새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재생 플라스틱 쓰는게 기본 중 기본임. 차량구매자들이 싼티 난다고 싫어하는 그 재생 플라스틱이 일반 플라스틱에 비해 탄소배출을 최대 23배 줄여줌. 거기다 eu에 상납하는 플라스틱세도 줄일 수 있음.
https://allaboutesg.net/%EC%9E%AC%ED%99%9C%EC%9A%A9-%ED%94%8C%EB%9D%BC%EC%8A%A4%ED%8B%B1-%ED%83%84%EC%86%8C%EB%B0%9C%EC%9E%90%EA%B5%AD/
https://www.kati.net/board/globalVillageReportView.do?board_seq=97037&menu_dept2=35&menu_dept3=71

울나라는 GS칼텍스도 재생 플라스틱 사업에 참여했고 탄소저감 객관성도 확보함. SK지오센트릭도 시도 중이고. 이런 기업들에서 재생 플라스틱 펠릿을 사서 그냥 기존 플라스틱 성형에 원료로 쓰면 탄소저감 달성됨. 참 쉽죠? 원랜 해외에서 사다 썼었는데 요몇년사이 투명 플라스틱 분리배출하라고 지롤 중인 이유가 이거임ㅋㅋ 무슨 색으로도 가공가능한 투명펠릿이 젤 비싸거든. 불순물 많이 섞이면 타이어나 고무다라이 색되는거지.
https://gscaltexmediahub.com/news/press/gsc-recycled-plastic-carbon-generation/
https://news.mt.co.kr/mtview.php?no=2023111713272868717

그리고 현질로도 불가능한 업계가 둘 있음. 첫번째는 탄광업 그중에서도 석탄수출하는 청정ㅋㅋ호주는 세계의 공장이자 석탄최대수입국인 한중일에 석탄 대는 일이 2030년부터 끊길 거 같으니 석탄으로 수소만들면서 탄소포집하기에 도전중임. 그 다음이 바로 철강업이고 이건 포스코가 기술적으로 선두에 서 있고 심지어 슈카에게도 광고 줘서 자랑질 잘하고 있으니 유튜브로 시청바람.
https://www.youtube.com/watch?v=V3MSHPSWVag

친환경 탈탄소 산업면에서 선진국 중 꼴찌인 울나라도 이 정도니 국제적으로는 탈탄소 기조가 어느 정도까지 진척을 보이고 있는지 알겠음? 탄소배출권 되팔렘기업 테슬라 주가만 봐도 알 수 있는걸 ㅋㅋㅋ 돈은 거짓말 못하지?

그리고 re100무새들이 말하는 rec는 탄소배출권이 아니라 신재생에너지 공급인증서임. 울나라의 경우 4만원대에서 8만원까지 갔다가 6만원으로 거래가격이 떨어짐. 이유야 뻔하지. 첫번째 작년까지 울나라 수출경제 불황으로 rec를 요구하는 수출 자체가 줄어들었고 두번째 시설투자액이 줄어들었음. 정부의 신재생 전력공급대책이 정권교체후 180도 전환해서 국내에 시설투자를 해야할지 고민중이라는 거지. 왜냐면 신재생에너지 자체발전+ess 와 한전에서 값싼전기사서 쓰기+rec 현질 두가지 방법 중에서 기업들은 후자를 원하는데 정책은 거꾸로 가고 있고, 전자는 태양광이야 자체발전에 무리가 없지만 ess는 너무 비싸고 낮동안 초과생산해서 한전에 팔아먹은 다음 그 차액으로 rec 현질하는 방안은 마찬가지로 rec현질할 정도로 신재생발전 전체전력량이 충분할까? 하는 의구심이 신재생 관련정책을 보면 들 수 밖에 없다는 거지. 2년동안 태양광 풍력발전 보조금 깎고 원전 가즈아만 했거든. 수출주력인 기업들은 해외에 공장이 없는 것도 아닌데 국내투자하고 싶어지겠음? 피의 쉴드중인 님이나 다잇이 같은 놈들은 보고도 못본척하는 거고 ㅋㅋㅋ re100은 민간캠페인이고 국가와 상관없고 기업이나 공장은 해외로 튀어도 어쩔 수 없다는 소릴 지껄이기 전에 eu에서 신재생에 쏟아붓는 보조금하고 기업유치 세일즈 외교하는 천조국을 좀 보라고. 수요지인 미국 유럽에 공장 안 뺏길 자신 있음? 일거리 일자리도 뺏기는 게 당연한 거면 가계경제문제와 직결되는 저출산 관련도 염치가 있다면 입이라도 다물어야지?

나라지표 설비투자 동향 (올해는 반도체 중심으로 큰폭으로 는다는 전망이 있음.)
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55

심상찮은 REC 가격 하락세, 수요 정체 해결위한 정책전환 필요
https://www.e-platform.net/news/articleView.html?idxno=82945

정부, RPS 목표 비율 대폭 하향…2026년 '25→15%'로 축소
https://www.etnews.com/20230113000045

그리고 ai데이터센터 땜에 원전 급하다 염병할거면 망사용료와 인터넷 해저망 해결부터 하고 와야지 않겠음? 그러기 전엔 해외 ai기업들 데이터센터는 국내로 안 들어오고 국내수요분도 일본에서 처리하게 될거임.
셀트리온 24-05-19 12:16
   
IEA 전망보고서를 인용하여 한수원이 발표한 자료
https://www.keei.re.kr/web_keei/d_results.nsf/0/C8C4154099ED676E4925890D000B5590/$file/WNPMI221202.PDF

대충 요약하면 2022년 시각으로 2030년쯤  전세계 전력생산량이 소모량보다 4,000 Twh  많을 걸로 추정하고 계획되어 있는 신재생 발전량 증가분으로  감당 가능하다고 했음.
대충 읽어보니 AI전력소모량은 안보이는데 하긴 22년에 AI전력의 폭발적 증가를 예측하기 힘들었겠고.
그래도 1000 Twh는 감당하고도 남음
데이터센터 AI 때문에 지역 편중이 심해서 지역별로 부족사태는 발생할수도 있고
하관 24-05-19 13:18
   
원자력이 필요하면 써야지...
하지만 원자력을 피하고 싶어 하는 사람들의 마음도 당연한건데...

원자력을 주장하는 사람들은.. 원자력이 유일한 방법이고.. 그 외는 배척하려는 것 처럼 보여서 이상한거다.
다른 여러가지를 시도 하는거 좋은거 아닌가? 어떤 입지의 사람이면.. 이렇게 원자력 신앙을 갖게 되는 거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