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구)잡담게시판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21-02-04 09:50
미얀마 쿠데타 간단정리
 글쓴이 : 아나콩
조회 : 1,760  

미얀마는 여러민족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민족들은 군부의 영향력이 커서 각각 군부가 통제하고 관리 합니다.

그중에 제일 큰 민족이 버마족인데, 미얀마 전체의 절반이상 입니다.
그런데 민주주의를 한다고 하면서 투표를 해서 권력의 일부분이 아웅산 수지가 이끄는 정당으로 넘어갑니다. 
잘 정착하면 모든 군부의 힘이 약해지고 국민들의 힘이 강해지겠지만, 
지금 당장은 버마족군부만 힘이 약해지니 버마족 군부는 짜증이 납니다.

미얀마에는 로힝냐 라는 민족이 있는데, 
이들은 영국이 미얀마를 식민통치하면서 인도주변에서 데려온 외모와 종교가 다른 민족입니다.
로힝냐족은 이슬람종교이기에 불교의나라 미얀마의 스님들도 이들을 싫어합니다.

로힝냐족은 영국의 하수인으로 미얀마족을 관리하면서 토지를 수탈하고 미얀마인들을 억압합니다.
이렇게 로힝냐족들은 미얀마인들을 착취하면서 잘살게되고, 
미얀마 독립당시에는 영국의 무기를 지원받아 강력한 힘을 가지고 미얀마군과 대립하면서 독립을 하려고 합니다.
그 땅이 미얀마 국토중 토지가 비옥한 알짜배기 지역들 대부분입니다.

시간이 흐르고 로힝냐족의 힘이 약해졌으나, 외부에서 와서 미얀마인들을 착취하던 앞잡이라는 과거는 그대로이기에 미얀마인들의 냉대를 받습니다. 
그러므로 민주주의 정부라는 아웅산 수지도 이문제를 잘못 건드리면 국민들의 외면을 받을게 확실합니다.

아웅산 수지가 이끄는 정당은 민주주의라는 이름으로 외국과 버마계국민의 지지를 받고있으나,
다민족 국가의 특성상 각 소수민족들은 자신들의 민족입장을 대변하는 군부의 힘을 강력하게 지원해 줍니다.

민주주의 정부가 군벌과는 별도로 군대를 구성하면,
각 소수민족 군벌들과의 트러블로 독립하겠다고 나오는 소수민족들이 나올것이고,
그냥 군벌을 인정해 버리면 시작부터 반쪽짜리 민주주의도 안되는 상황.

더 큰문제는 미얀마는 군사적으로 중국과 인도, 동아시아가 접하는 요충지대인데다가 인도양을 접하는 전략적 산업적 요충지이고, 많은 자원이 있는 풍요로운 땅이기에, 주변 강대국들의 이해관계가 아주 복잡합니다.
완전한 민주주의를 이루면 국가발전의 엄청난 잠재력이 되지만, 주변국들의 방해요소가 매우큽니다.

군부는 권력에서 밀려나는것을 원하지 않고, 국민들은 아직 민주주의에 대한 의지가 작습니다.
우리나라가 영향력을 행사할수있는 범위는 거의 없고, 
미국이나 강대국들의 간섭이 생기면 내전으로 번질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안타깝지만 민주주의를 원한다면,
그들 국민들이 피를 흘리더라도 외국의 간섭없이 스스로 쟁취해야만 내전없이 해결할수 있는 문제 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엉?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오늘비와 21-02-04 09:52
   
간단하게 정리해주실 분? ㅇㅅㅇㅋ

잘봤어욤
flowerday 21-02-04 09:55
   
잘봤습니다.
달보드레 21-02-04 09:57
   
2008년도에 민변에서 미얀마 민주주의 인권 보고서에 보면 헌법이 아웅산수찌가 날고 기어도 군부 억제 못했음!

일부 인용하면

먼저 통치구조의 관점에서 2008 미얀마 헌법을 살펴보면, 가장 두드러지는 특징은 군 최
고사령관의 권한이 지나치게 강하다는 점이다. 미얀마 헌법상 군 최고사령관은 국가기관의
구성에 관하여 막강한 권한을 지니고 있다. 군 최고사령관은 연방의회(상‧하원 포함), 도의
회, 주의회 의원 정수의 1/4을 지명할 수 있고, 대통령이 세 개 부처(국방부, 내무부, 국경
부)의 장‧차관을 임명할 때 그 후보자를 군 최고사령관이 결정하며, 대통령이 위 세 개 부
처 이외의 부처에 군인을 장‧차관으로 임명하려면 군 최고사령관과 협의하여야 한다.

그냥 대통령은 허수아비고 최고사령관이 상왕임!
헤낭로디 21-02-04 10:06
   
한마디로 개노답상황이라는것이네요
안녕하냐 21-02-04 10:14
   
영국의 식민통치에서 소수 민족에게 힘을 주고 통치 하게끔해서 민족간 분열로
통치함 인도와 파키스탄을 보면 잘 나오죠 결국 독립하면 분쟁하고 싸우고...답없게
만듦
잊을만하면 21-02-04 10:14
   
확실한 것은 헌법상 문제가 없다는 겁니다. 쿠데다란 얘기도 솔직히 틀린 말이고요.
그렇기에 외국이 이문제로 딴지 거는 것은 내정간섭이란 얘기죠.
우리가 보기에 쿠데타지만 미얀마 법이 그런것을 어쩌겠어요.
민주주의를 원한다면 싸워야 하며 헌법부터 고쳐야 하는 아주 긴 여정입니다.
야시사자 21-02-04 10:33
   
글을 요약하면 한마디로.

군부가 코너로 몰리니 쿠데타를 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