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7-01-12 10:50
한국 가요의 르네상스
 글쓴이 : dwcow
조회 : 680  


지금은 획일화되어버린 기획사 아이돌 시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sky하늘 17-01-12 10:59
   
특히 메체가 보여주는게 온통 아이돌일색이라 식상해지고 단순해져버린.
노래 외모 스타일 심지어 음색까지 다 비슷해서 아이돌이 넘치지만 똑같은 판박이일뿐
     
쌈바클럽 17-01-12 11:12
   
근데 90년대에도 이런 얘기가 많았어요.
          
dwcow 17-01-12 11:22
   
90년대는 가수들이 지금처럼 그렇게 많지 않았고
장르도 다양했죠.
지금은 이 그룹에 저 그룹의 멤버를 끼워넣어도 티가 안날만큼
대체가능 상품들이 흘러 넘칩니다.
               
쌈바클럽 17-01-12 11:32
   
장르라기보단 유형의 다양성이 줄어든거라고 봐요.
90년대가 다양해보이는건 트롯이 대박을 자주한게 아니라고 해도 애모 네박자 처럼 전혀 다른 곡들이 히트를 했다는건데 가면갈 수록 장르를 소비하는 방식이 획일적이긴하죠.

트롯은 흥겹고 신나게...발라드는 고음. 알앤비는 화려함.
힙합은 스웩과 디스. 등등
     
쌈바클럽 17-01-12 11:24
   
영상을 봐도 80 90트랜드를 합쳐서 보니 다양했다는 평가가 가능했지 90년대에도 빌보드랑 비교하면서 비판했는데 지금은 그 90년대 트랜드에 익숙한 3 40대들과 최근의 1 20대의 소비력이 가장크게 작용하다보니 80년대 주류의 설자리가 90년대에 비해 줄어들은것이죠.

포크송을 미사리 주점으로 밀어낸게 90년대 트랜드죠. 그래서 얼마전만 해도 7080이란 말을 썼는데 요즘은 8090이란 말을 쓰는데 80의 주류와 90의 주류는 차이가 커서 8090을 다루다보면 어느쪽으로든 치우치더군요.
왈도 17-01-12 11:33
   
이거 비슷한 얘기가 요즘 애들은 버릇이 없어랑, 예전에 살기 좋았다. 거의 매번 추억 보정 발동해서 과거랑 비교해서 현재가 안 좋아 보이는 그런 류의 얘기 같군요.
     
dwcow 17-01-12 11:39
   
확실한건 지금은 음악경쟁이 아니라 상품성 경쟁 시대라는것
          
쌈바클럽 17-01-12 12:11
   
그것도 확실하다고 말하기 힘든게 90년대도 초반을 굳이 따로 설명하지 않는다면 중반 이후는 본격적인 상품 경쟁 시대의 시작이었고요. 얼굴없는 가수, 사이버가수, 영화같은 뮤직비디오, 군무와 특이한 무대의상의 그룹들, 얼굴만 반반한 비주얼 멤버들이 소속된 그룹.

이런 가수들의 등장도 있었지만 인기로 대중성이 증명되던 시대였죠. 요즘은 시스템이 정착되다 보니 독특한 경로로 가수로 데뷔하는 경우가 비교적 많이 줄기는 했죠.
말하자면 일정한 공정을 거치지 않고는 데뷔가 힘든 그런 시스템. 데뷔한 후 살아남기 힘든건 예나 지금이나 어차피 마찬가지지만...

90년대하고 요즘하고 다른건 딱 하나 밖에 없어요. 70이든 80이든 그 이전 세대와 시대적으로 한단계 더 멀어졌다는 거요. 90년대가 그나마 낫다고 하는건 새로움이 꾸준히 이전 것들을 밀어내려고 했지만 그 과정속에서 공존된 부분이 유산으로 남았다는거죠.

그래서 요즘은 오히려 신기해요. 무한도전 같은 프로그램에서 토토가 같은게 대박난다던가 예능 프로그램에서 이따금 90년대 혹은 그 이전의 유명 곡들을 제대로 다르 부르거나 잠깐씩 즐겁게 소개되고 이런걸 아무렇지도 않고 보거나 오히려 인기가 있다는 것 말이죠.

예전에도 아예 없었던건 아니지만 사실 요즘 처럼 많지도 않았고요. 애초에 주류 음악을 창출하고 힘이 되어주는 10대들 조차도 그들의 우상이 옛날 가수 노래 부르는것 자체에 대한 특별한 기대나 건의도 없었죠. 그리고 또 한가지는 계층간의 선이 너무 명확했다는 거죠.

아이돌은 함부로 음악을 논하면 안되고 갑자기 강타가 유재하를 존경한다며 유재하 노래를 리메이크 한다던가 댄스가수가 갑자기 진심으로 발라드계에 발을 들인다던가 락을 한다던가
힙합 뮤지션이 갑자기 노래 부르고 춤 추고 감성돋는 사랑얘기를 한다던가 하는것들이 일종의 불문율이고 팬들도 그런 부분에서 벗어나는걸 싫어하고 경계하던 시절이 있었죠.

그러니 락을 건드린 문희준이 괜히 개박살이 나고 힙합하다가 조금 더 대중적 노선으로 돌아선 이들이 "전 힙합 아닙니다" 라던가 힙합에 대하 왈가왈부 하면 안되는 분위기도 많았고..
락계는 힙합을 무시하고...

트랜드 주류 대중 음악은 트롯을 구식이라고 무시하고...그리고 기성 세대는 90년대 당시 히트하던 댄스곡들에 대한 폄하 의식이 있었고요.

이런 서로간희 화합의 장 보다는 경쟁과 경계의 시대가 되다보니 그 안에서 우연치 않게 공존이 가능했던 부분도 있겠죠.

왜냐하면 극단적으로 말하면 남의건 안봐주거든요. 그런데 이제와서 8090이 마치 아름다운 공전이었던것 처럼 평가되는데요. 제가 느끼기에는 그리 아름다운 공존은 아니었어요.

오히려 요즘 90(00)과 10이 훨씬 평화롭게 공존하죠. 물론 요즘 트랜드의 원류가 90년대라고 본다면 그런 공존이 어쩌면 자연스러운거지만요.

그리고 음악경쟁이라는것도 큰 틀에서 보면 상품성 경쟁이고요. 그 경쟁의 방식과 소비 방식이 시대에 따라 변화되어 왔던것이지 상품성이 없던 대중음악이 사랑받던 시대는 없었죠.
하다못해 안그럴꺼 같던 60년대 배우나 가수들도 이쁘고 잘 생겼다는 평이 아직까지 남아있는걸요.
몽실통통 17-01-12 11:59
   
솔직하게 립싱크시대
몽실통통 17-01-12 11:59
   
솔직하게 립싱크시대
서룬도 17-01-12 11:59
   
지금은 획일화되어버린 기획사 아이돌 시대

mp3, 스트리밍이 저렇게 된 원인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