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5-07-10 15:23
한국 말라리아 위험 지역...
 글쓴이 : 슈프림
조회 : 1,694  



한국 말라리아 위험 지역


경기도 북부지역

강원도 북부지역

인천 북부지역


왜 휴전선 인근지역에 

말라리아가 많을까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내일을위해 15-07-10 15:24
   
북한모기들 넘어와요.
슈프림 15-07-10 15:26
   
말라리아는 아열대 질병 아닌가요...근데 왜 북쪽에만 많은지..???
공갈탄 15-07-10 15:29
   
진행자) 북한의 말라리아 실태는 어떻습니까?

기자) 세계보건기구가 발표한 ‘2012 세계 말라리아 보고서'에 따르면, 2011년에 북한에서 말라리아 감염이 확인된 환자는 1만6천760 명입니다. WHO는 북한이 말라리아 ‘퇴치 전 단계’에 있는 것으로 분류하고 있는데요. 북한에서는 말라리아가 1970년대에 없어졌다가 1998년 2천 명의 환자가 발생하면서 다시 확산됐습니다. 이후 2001년 14만4천 명으로 최고치에 달한 뒤 지금까지 전반적으로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진행자) 한반도에서는 5월부터 본격적인 말라리아 유행 시기가 시작되죠?

기자) 예. 말라리아의 감염 원인인 모기가 5월부터 본격적으로 출현하는데요. WHO는 북한에서 5월부터 11월 사이에 말라리아 환자가 발생한다고 설명했습니다. 모기가 활동하지 않는 겨울철에는 말라리아 감염이 거의 발생하지 않습니다.
     
진행자) 북한에서 말라리아가 가장 많이 발생하는 지역은 어디인가요?

기자) 황해남북도와 강원도가 위험도가 가장 높은 지역으로 분류돼 있는데요, 북한 인구의 62%가 말라리아 발생 위험이 있는 지역에서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WHO에 따르면 북한 북부 지역은 날씨가 너무 추워서 모기가 살아 남을 수 없고, 따라서 말라리아가 발생하지 않고 있습니다.

진행자) 그러니까, 북한에서 말라리아 발병 위험이 높은 곳이 주로 한국과 인접한 지역들이네요?

기자) 그렇습니다. 바로 이 때문에 말라리아가 국경을 넘어 한국으로까지 번지고 있는 실정인데요. 한국에서는 지난 해 500 명의 말라리아 감염 환자가 확인됐습니다. 그동안 북한과 인접한 경기도가 2001년부터 북한에 말라리아 방역물자를 지원해 왔는데요. 하지만 남북관계 경색으로 지난 해에는 북한이 여러 가지 이유를 들어 물자 수령을 거부했다고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밝혔습니다.
..............................................................................................................................
기사 일부를 발췌함
     
슈프림 15-07-10 15:35
   
북한 방역 체계가 나쁜건가요...여튼 한반도도 아열대로 접어드는거 같네요...;
주한 15-07-10 15:52
   
그래서 제가 사는 지역에는 헌혈도 안받아요.
바로가기 15-07-10 15:58
   
철원에서 군생활 했는데 때만 되면 말라리아약 먹었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