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4-02-02 00:16
GDP가
 글쓴이 : persice
조회 : 793  

"한나라내에서 일정기간내에 생산되는 최종재화의 가치"쯤으로 정의 되서 (그래서 경제 ㅇ,x문제 풀때 GDP는 중간 재화에 (X)"라고 했던 기억이 나는..) 중간 재화 빠지는 걸로 알고 잇는데 올해부터 GO개념으로 바뀐다고 들었든데 그럼 어떤 식으로 바뀌는 건가요? 아예 GDP개념이 없어지는 건지, 아니면 GNP처럼 현재는 사실상 사문화 되버리는 건지, 아니면 GO개념을 도입해서 GDP를 산출하게 되서 GDP의 정의만 바뀌는 건지 구체적으로 모르겠네요... 그리고 GO개념이 언제부터 들어오는건가요?(올해작성되는 통계부터인가요?)
그리고 1인당 GDP개념은 어떻게 되는 건가요? 그리고 GO개념이 들어오면 우리나라한테 불리할까요?

두서없이 질문만 해서 죄송요 ㅠ 그냥 이것저것 궁금해서요 ㅋㅋ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adfa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브라흐만 14-02-02 00:33
   
GDP개념은 94년부터인가 GNP를 대체하기 위해서 나온 개념이기도 합니다. 종래의 국민총생성으로 이해해온 GNP가 자국내의 외국기업들의 생산에 대해서는 누락시키는 일이 있었기 때문에 GNP-국외순수취요소소득으로 GDP를 정의하긴 하죠.

GDP는 최종재화=부가가치의 합의 개념이기 때문에 Gross Output과는 다른 개념입니다. 그래서 GO로 GDP를 산출하는 일은 없고 그냥 다른 지표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GDP에 관해서 이것이 국민경제의 지표가 될 수 있느냐의 여부에 관해 금융위기 이후에 많은 회의가 있었고 아직은 대안을 모색중인 것으로 압니다.

GO는 GO대로 국내에서 생산되는 매출액의 합이고 GDP는 최종재화,부가가치의 합으로서 경제를 이해하는 다른 지표정도로 보시면 됩니다.
     
persice 14-02-02 00:35
   
그럼 여전히 어쩄든 한 나라의 대략적인 경제규모를 파악하는데 있어서는 1인당 또는 총GDP개념이 여전히 쓰이고 GO는 그냥 부가적인 요소로 쓰이게 되는 건가요? 그럼 우리나라에 딱히 유리하거나 불리하거나 하는건 없겟네요..
          
브라흐만 14-02-02 00:37
   
아니요. 처음부터 대략적인 경제라고 하는 현상 자체같은건 투명하게 보이는게 아니기 때문에 GDP, 실업률, 물가, 통화량, 고용률, 자산규모, 부채 등의 여럿 지표들을 통해서 보는 겁니다. 그러니 부가가치를 알고 싶으면 GDP를 총매출을 알고 싶으면 GO를 봐야 하는 것이죠.
korean누룽지 14-02-02 00:36
   
GDP는 그냥 인구만 드럽게 많으면 높은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