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이슈 게시판
 
작성일 : 14-03-29 12:03
경찰의 일생생활은 어떨까? 여가 불만족 41.2%
 글쓴이 : 다컴
조회 : 303  

경찰공무원 10명 중 4명은 여가활동을 제대로 누리지 못하며, 여가활동에 만족한다는 응답은 10명 중 1명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능률협회컨설팅이 지난해 경찰 내부 통합포털 시스템을 통해 전국 경찰관 2만688명을 상대로 설문조사한 ‘경찰복지 실태조사 및 기본계획 연구’에 따르면 여가활동에 대한 만족 수준은 ‘불만족’이 41.2%로 ‘만족’ 10.9%에 비해 월등히 높았다. 만족스럽지 못하다는 응답자들은 ‘경제적 부담(45.1%)’과 ‘시간 부족(33.9%)’을 주된 원인으로 꼽았다.

경찰공무원은 평소 자기계발을 위해 주로 ‘운동(58.5%ㆍ중복응답)’이나 ‘취미활동 개발(26.5%ㆍ중복응답)’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과 보내는 시간은 ‘다소 부족하다’는 응답이 31.6%로 가장 많았다. 특히 계급별로 총경의 80.8%, 소속기관별로는 경찰청이 65.6%가 부족하다고 응답했다.

한편 배우자의 경찰관으로 근무 지지는 ‘원한다’가 89.6%로 ‘원하지 않는다’ 10.4%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원하지 않는 이유로는 ‘근무의 불규칙성 때문에(야간근무 등)’이 48.3%로 가장 많았다. ‘업무강도에 비해 보수가 낮기 때문에’이란 응답이 29.3%로 뒤를 이었다.

하지만 연령별로는 연령이 높아질수록 배우자의 지지도는 높아지는 모습을 보였다. 20대의 배우자 지지도는 85.5%, 30대 85.1%, 40대 91.0%, 50대 이상 91.9%로 집계됐다.

퇴직 후 생활을 위한 진로개발 및 관리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86.8%가 공감하고 있으나, 응답자의 65.5%는 퇴직 후 계획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퇴직 후 가장 큰 걱정거리로는 ‘생계비, 자녀교육비 등 경제적 문제’ 68.5%, ‘본인의 건강 문제’ 15.0%, ‘갑작스런 공백시간의 활용 문제’ 8.9% 등을 꼽았다.

퇴직 후 생활을 위한 중점 준비 분야는 ‘특별히 준비하는 것 없음’이 33.3%로 높게 나타났으며, 퇴직을 대비해 현재 준비된 항목에 대해 72.3%가 ‘공무원연금’이라고 응답했다.

이에 연구진은 “퇴직 후 계획 미보유자의 비율이 전체의 65.6%를 차지하고 있어 경찰공무원을 위한 체계적인 퇴직지원 프로그램이 마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흠..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