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3-03-22 15:25
임진왜란 이전 조선의 다층 건축물의 존재를 알 수 있는 기록들.
 글쓴이 : 굿잡스
조회 : 2,672  

 


종서를 불러들여 보고 말하기를, “내가 풍질(風疾)을 얻은 까닭을 경은 반드시 알지 못할 것이다. 저번에 경
 
복궁에 있을 적에 그때가 바로 한창 더운 여름철이었는데, 한낮이 되어 잠시 2층에 올라가서 창문 앞에
 
누워 잠깐 잠이 들었더니..."
 
-조선왕조실록 세종 13년(1431년)-

 
임진왜란 이전의 경복궁에 관해서 근정전이 단층이었다고 생각하시는 분이 있는데 임진왜란 이전
 
의 근정전을 그린 그림입니다. 2층이었음을 알 수 있죠.근정전 앞에 좌우 협문도 2층이며...사정
 
전, 강녕전, 교태전모두 2층입니다.
 
 
(5월 3일) 술시(戌時) 조선의 도읍 동대문으로 진입, 거기서 황성(皇城)의 모습을 바라보니 옥루금전(玉
 
樓■x殿) 늘어선 기와집, 널따란 성벽들의 조형미는 극치에 달하고 수천만 헌(軒)과 늘어선 대문
 
들, 보귀로운 모습은 이루 말로 다할 길이 없다. 그런데도 막아 싸우려는 병사들은 보이지 않고 대문은
 
굳게 닫혀 있어 온통 적막하였다. (중략) 내리(內裏) 안으로 들어가 보니 궁전은 텅 비었고 사대문은 제멋대
 
로 열려있었다. 그제야 전각을 자세히 살펴보니 궁궐은 구름위에 솟아있고 누대는 찬란한 빛을 발하
 
여 그 아름다운 모습은 진궁(秦宮)의 장려함을 방불케 하더라. (중략) 후궁(後宮)에는 화장품 향기
 
가 감돌고 산호의 대상(臺上)에는 화려한 거울이 덧없이 남아있다. 난 향기는 전각 밖까지 풍기고
 
사람 살던 자취도 그렇거니와 하염없는 구슬로 장식한 침상들이 고스란히 남아있었다. 건물마다 문
 
이 열려 있고 궁문을 지키는 자 없으니 어디를 보아도 처량하기 짝이 없다. 그토록 용맹한 고니시도 천자(天
 
子)의 옥좌(玉座)에 절을 하고 신성하고 고아한 분위기에 휩싸여 두 눈에 눈물이 괴니 소오스시마, 아리마,
 
오무라도 따라 눈물을 흘리었다. -에도시대의 문헌 "조선정벌기 (朝鮮征伐記)"에서- 
 
 


대개 성곽을 쌓을 때 높은 산을 베고 있다. 가끔 언덕이나 산기슭을 나와,
또한 구불구불 둘러 있는 것이 보인다. 큰 것이 날아갈 듯 치첩이 솟아 있고,
작은 것도 우뚝하게 표관이 웅장하다.

환취(황해도 봉산군에 있는 누각)는 날아갈 듯 아름답고, 총수(산 이름)는 구름이 이어졌다.
보산(관<關> 이름)에는 서기가 날아오르고, 금암(관<關> 이름)에는 시내가 통과한다.

[개성은] 봄바람에 술집 깃발이 나부끼고, 달밤에 음악소리 들린다.
그 민물(民物)은 풍성하여 실로 다른 고을에 비길 것이 아니고,
풍기(風氣)는 밀집하니 또한 서경(평양)에 견줄 바가 아니다.

[서울은] 트인 길과 통한 거리는 바르고 곧아서 구부러짐이 없고,
잘라낸 듯한 처마에 우뚝 빛나는 집이다.
모든 집은 높은 담이 있어서 바람과 불을 막고,
방마다 북쪽 창을 뚫어 더위를 피한다.

[서울에는] 종고라는 다락이 있다. 성 안의 네거리에 있는데 매우 높고 크다.
 
서울 안에 우뚝 솟았고, 길가에 높고 높도다.

시끌벅적 수레와 말 소리가 울리고,  끝없이 어룡 유희가 나온다.

식기는 금, 은, 동, 자를 섞어서 쓰고, 품물(品物)은 바다와 육지의 진기한 것이 고루 많다.

경기 안의 경치로는 한강이 제일이다.
누대는 높아 구름을 막고, 물은 푸르러 거울처럼 비춘다.
나루로는 양화도가 있는데, 물산(物産)이 또한 번성하다.

활은 중국의 제도에 비하면 조금 짧다. 그러나 화살은 매우 잘 나간다.

-명(明)의 동월(董越)이 1488년의 조선을 보고 1490년에 쓴 조선부[朝鮮賦]-
 
이 나라는 풍요하여 많은 쌀과 보리가 나고, 과일로는 배, 호두, 무화과, 밤, 사과, 잣,
그리고 무진장한 꿀, 약간의 비단, 다량의 면화와 베를 생산하고 있다. 지하자원으로는
금과 은 광산은 적다고 한다. 하지만 많은 말과 소, 양질의 노새, 당나귀, 게다가 전 국토에 걸쳐
수많은 호랑이가 서식하고, 그 밖에 갖가지 다양한 동물이 있다. 그들이 만든 공작품은
정교하고 아름다워서 그들이 솜씨가 좋다는 사실을 말해 주고 있다. 사람들은 피부색이 하얗고
건강하고 대식가들이며 힘이 세다. 그들은 터키 인의 활과 같은 작은 활을 매우 잘 다루고, 
독을 바른 화살을 사용한다고 한다. 

역대의 조선 국왕들은 가장 훌륭하고 중요한 도시에 큰 궁전을 지었는데,
그곳에 수많은 가신을 거느린 관청이 있었다. 서민들의 집은 대부분 기와지붕이며,
그 밖에는 초가지붕으로 그다지 청결하지는 않다. 그렇지만 귀인과 부호들은
결이 고운 식물로 짠, 정교한 장식이 있는 극히 질 좋고 광택이 나는 돗자리를
집안에 깔고 있는데, 일본인이나 일본에 오는 포르투갈 인들은 그것을 매우 진귀하게 여겼다. 

우리는 나가사키에서 조선으로부터 들여온 몇 벌의 백의를 보았는데, 그 옷에는
더할 나위 없이 섬세하게 공을 들인 자수를 해 놓았다. 그것은 어떤 부분은 짠 것인지
아니면 실과 바늘로 꿰맨 것인지 여간한 시력이 아니고서는 구별이 불가능 할 정도였다.
이상의 내용들이 조선을 여러 차례 방문했던 사람들을 통해 관백의 궁정이
조선에 대해 입수했던 정보의 요약이다.
 
-루이스 프로이스(Luis Frois, 1532~1597년)의 일본사(Historia de Japam)-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굿잡스 13-03-22 15:26
   
고려말 조선 초는 고려 풍의 도시 건축물이 여전히 짙게 남아 있기에

조선궁이고 도시주변의 풍광이 다층 건물이

많았던 것으로 보이네요.


요즘 한옥 복원 어쩌고 하면 단층 일색에 단색 기와 색깔만 고집할 필요는 없다고 봅니다.

중간 중간에 우리 고대 목탑도 올리고 다층 구조도 만들고.
oOoMMmm 13-03-22 15:29
   
일본이 한반도에 끼친 피해를 금액으로 환산해 볼까요? 하하하
감방친구 13-03-22 15:31
   
포르투칼 선교사의 진군 일기에서 일본군이 경주를 불태우는 장면을 기록한 대목이 기억나네요 ㅠㅠ
줌마시대 13-03-22 15:37
   
죽은자식 불알 만지기....
     
굿잡스 13-03-22 15:42
   
임진왜란 이전의 경복궁에 관해서 근정전이 단층이었다고 생각하시는 분이 있는데 임진왜란 이전의 근정전을 그린
 그림입니다. 2층이었음을 알 수 있죠.근정전 앞에 좌우 협문도 2층이며...사정전, 강녕전, 교태전도 모두 2층입니다.
알럽뮤직 13-03-22 15:56
   
솔직히 저는 굿잡스님의 글이나 댓글을보면...  물론 해석이 다르거나 의견이 충돌할 수 있겠지만..
어떤면에서 굉장한 애국자라고 생각합니다. 역사에 대한 자긍심이 대단하신분...
자그네브 13-03-22 16:12
   
제 생각엔 조선시대는 왕실의 지나친 건축규제로 민간의 건축문화가 발달하지 못했던
시기라고 생각해요....아마 유교에 의한 왕실의 권위 때문이었던것 같지만요...
왕실건물중엔 지금도 2층건물 남아있죠. 덕수궁에도 석어당 보면 정말 멋진 한옥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