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9-06-15 22:36
무예도보통지
 글쓴이 : 야구아제
조회 : 729  

정조의 명령으로 편찬한 본격 무예서.

동북아 무술을 집대성하고 검술, 창술, 다양한 병장기 술과 권법도 포함된 당대 최고의 무예 정리 교본.

군에서 국가의 체계로 전수되던 이 무술이 결국 우리 무술의 근대적 본산이 아닐까요?

구한말 구조선군이 해체되고 정예군이 이 무술을 민간에 전파한 것들이 태권도나 여러 기타 무술들의 원류는 아닐까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열심히 살겠습니다.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바야바라밀 19-06-15 22:37
   
아닌것 같은데요?
     
야구아제 19-06-15 22:38
   
그런가요?
셀틱 19-06-15 22:40
   
무예도보통지에 실린 기술과 현대 무술과 억지로 이으려고 하는 시도는 18기 논쟁에서 끝내는 걸로...
     
야구아제 19-06-15 22:46
   
그런데 무예도보통지에 권법을 보면 매우 체계적인 그림과 동작상을 통해 체계적인 무술법이 있는데 그 보법과 타격 방식에서 현대 우리 무술과의 비교를 통해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고 이를 통해 우리 무술의 원류를 찾을 수 있는 중요한 공적 자료가 되지는 않을까요?
          
incombat 19-06-16 00:20
   
많은 무술가들이 무예도보통지의 무술을 복원하기 위해 노력했고, 이것이 바로 그것이다 주장하는 분들도 있으나 실제로 사용한 사람들에게서 내려 온 것이 아니라서 실전성이며 무술로서의 가치는 의문입니다.

보면 투로를 그려 논 것이라서 좀 그렇죠.
미월령 19-06-15 23:29
   
우리 전통무예중에 수박이란 게 있음, 수박희나 수벽등으로도 불려져 왔는데, 이 무예는 고구려 군에서 개발된 것으로 전쟁에서 무기를 잃거나 했을 때 맨손으로 싸우기 위해 수련했음. 이 수박은 삼국시대 때 백제와 신라에서도 익혔음.
그런것이 세월이 흐르면서 씨름이나, 택견 등으로 불리고 있어요.
그리고 중국사서에 보면 고려인은 발차기의 명수이다라는 대목도 나옴.
     
incombat 19-06-16 00:17
   
수박은 맨손 무술의 보편 명칭에 가깝다고 합니다.
그래서 특정 유파와 연결같은 고리를 찾을 수 없습니다.

고려의 무신 이의민이 수박을 잘 했다는 기록은 있으나 그것도 정확히 어떤 건지 모르는데 고구려, 신라, 백제라뇨.

씨름은 씨름이고, 택견은 택견입니다. 수박과 어떤 연관성이 있는지 자료가 없는 것으로 압니다.
incombat 19-06-16 00:03
   
이 무예서는 정조의 아버지 사도세자의 기여가 큰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도세자가 정신병이 있었는지 아니면 반대파에 몰려서 왕가의 안녕을 위해 정신병 명목으로 죽임을 당했는지 알기는 힘드나 무술에 어느 정도 재능은 있었던 것 갈습니다.

태권도와 무예도보통지와는 아무런 관련이 없습니다.

태권도는 그 기원이 오키나와에서 일본으로 거기에서 다시 한국으로 온 것이 명확합니다. 스승, 제자 관계가 확실하기 때문에 화랑이니 장삼봉이 끼어들 여지는 없습니다. 이미 확실한 연구서가 존재하고 일본과의 연관성을 부정하려는 시도들 때문에 그 기원이 불분명해진 것 뿐입니다. 불분명해진 것도 아닙니다. 태권도 명칭을 정하고 태권도 협회의 수장을 지냈던 사람의 책에 명확하게 기술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발차기 기술은 우리 것이 좀 섞였죠. 그러나 무예도보통지 무술은 중국 무술, 일본 무술이죠. 본국검만 우리 것이라고 합니다. 그것도 우리 걸 바로 기록한 것이 아니라 중국쪽에서 조선 검술을 실어 논 것을 다시 옮겨 기술한 것입니다.

다른 여러 무술은 절반 정도가 합기도에서 유래했다고 하고, 유도나 검도는 일본에서 온 것이 명확합니다.

택견과 씨름 정도가 다른 나라와 구별되죠. 수박은 재창조에 가깝고, 그 기원이 되는 것도 없습니다.

중국 무술들도 고대에서부터 내려왔다고 포장이 되었으나 알고보면 청나라 300년 시기 안쪽에 거의 다 창조된 것으로 고증이 되었습니다.
     
야구아제 19-06-16 00:12
   
검도도 통지에 따르면 왜검과 본국검을 구분하고 중국검도 구분하여 우리검법이 있음을 보여줍니다.

실제로 우리 검법은 일본 검법과 다르죠.
          
incombat 19-06-16 00:24
   
그러니까 그 검법은 중국검은 중국검사가 시범을 보인 것을 그렸고, 왜검도 귀순한 왜인을 그렸는지 아니면 우리 무사가 얻은 걸 그렸는지 하여간 분명한 연관성은 있는 것으로 압니다.

반면에 본국검은 할 줄 아는 사람이 없고, 중국쪽에 있는 자료를 가져 온 것입니다. 실제 정조인지 어느 임금인지 이를 안타까워 했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지금 사람들이 한다는 본국검법은 최근 복원된 것들입니다. 조선시대부터 내려오는 것이 아닙니다.
incombat 19-06-16 00:12
   
유도는 천산진양류 유술을 가노지고로가 살법을 없애고 스포츠화 한 것입니다.
검도는 북진일도류라고 합니다.
주짓수는 가노지고로의 제자 시로가 스승과 어긋난 후 유도가 아닌 원래의 유술을 브라질에서 가르친 것이 유술의 일본 발음을 브라질식으로 읽다가 만들어진 명칭이라고 합니다.
회전무술 합기도에서,
특공무술 합기도에서,
한풀 합기도에서 유래했다고 합니다.
합기도는 일본에서 온 것은 확실한데 현재 일본쪽과 기법이 많이 달라졌습니다.
초대 합기도 종주가 합기도가 한국쪽에서 간 것이니까 그 기원을 찾아달라고 부탁했다는 말이 있습니다.
합기도는 대동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