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19-06-28 11:12
복지와 최저임금 제도등은 과잉생산 능력때문.
 글쓴이 : 모래니
조회 : 214  

영국의 산업화이후에
공장은 항상 조금더 조금더 자동화에 집중하고 있었고

가급적이면 생산량과, 고용하는 노동자를 줄이던가 아니면, 생산량을 늘리는 방향으로
계속 진행해왔죠.
이게 한번도 중간에 멈춘적은 없어요.

이렇기때문에 노동자숫자는 남게 됬고, 그들은 어찌됬던 돈을 벌어야했기에
터무니 없이 낮은 임금에 일을 하기도 했죠.

그러니, 소득이 없거나 낮은 부류가 "소비"를 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므로
전체 세계 경기는 "과잉 생산"으로인해 잉여품을 어찌할수 없는 구조가 됬네요.
이게 얼마전 이야기가 아니라 100년전 이야기에요.

따라서 국가는 이를 방지해야할 필요를 느꼈고
그 결과가 바로 복지와 최저 임금 제도임.
최저임금 제도때문에 공장의 자동화와 고용 노동자를 줄이는게 아니에요.

기업은 항상 비용을 줄이기위해 노력했고, 그 결과 공장의 자동화와 고용 노동자수를 계속 
줄여왔음. 그리고, 몇년전 알파고 사건으로 이게 가속화 될수 있다는 걸 보인거죠.
즉, 제조업뿐 아니라 전방위적으로 발생할수 있다는걸 보였죠. 알파고가.

따라서, 국가는 소비를 일정 수준 "강제로 늘릴수 있는" 방법을 항상 찾고 있죠.
국가 채무를 늘려서, 통화량을 늘린다던지.
복지를 확대한다던지, 최저 임금을 올린다던지.
물론, 이걸 전적으로 확하고 올릴순 없죠. 사회가 받아들일수 있는 한도가 있으니까.

그러나, 방향성은 명확합니다.
기업은 언제라도 생산량을 늘릴 수 있어요. 소비만 늘어난다면.
이게 문제의 핵심 포인트죠. "기업은 언제라도 생산량을 늘릴 수 있다"
그래서, 소비를 늘리는 정책으로 국가가 나아가야 하는겁니다.

이건 전 세계가 마찬가지에요.
앞으로 보다 자동화가 진행 될텐데 뭘 어쩌려구 그러는지 모르겠네요.
이건 최저 임금과 전혀 상관 없이 진행되요.
자동화가 계속 진행되므로 최저임금을 올리고, 근로시간에 제한을 두는거에요.
최저임금을 올리고, 근로시간에 제한을 둬서 자동화가 진행되는게 아니에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Is this sand?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세상속의나 19-06-28 12:00
   
님아 그런데 자동화도 안 이뤄지고 있으니 문제지요.
우선 산업 동향을 살펴보세요. 자동화가 이뤄지려면 설비투자가 활발해야 하는데,
설비투자도 국내에서 이뤄지는게 미비합니다. 5월달에 전월 비 마이너스 13%라고 떠 있지요.
그리고 님이 말씀하신 소득증대는 당연히 이뤄져야합니다. 그리고 영원히 제조업 따먹기도 할수 없어요.
중요한것은 제조업에서 떨어져 나온 인원들을 다른 곳으로 수용할 수 있는 포용정책이 없다는 거에요.
서비스 산업으로 이동이라든지 말입니다. 
포용정책은 없는데 단지 임금만 확 올리니 문제가 되는 겁니다.
최저임금을 너무 쉽게 보시는 것 같은데, 보통 제조업에서는 최저임금에 얼마간 상여금이라든지 보너스를 주는 중소기업들이 대부분입니다.
그러니 최저임금이 오르게 되면 쉽게 설명하자면 다 오릅니다. 원자재, 부자재, 반대로 납품 단가는 내리라고 하지요. 원청업체도 임금 상향이 있으니까 말이죠. 자 그럼 그것만 오릅니까??
회사부담 4대보험, 퇴직금도 퇴직하는 사람이 있으면 영향을 받겠지요. 그리고 긴급물량 뜨면 잔업이니 특근 야근등을 해야하는데 수당이 기본에 1.5~2배입니다. 2017년 기준으로 2019년도 1인당 20~30이라면 특근 야근 잔업 기타 4대 보험비 등등 합치면 최소 50 이상이 날아가는겁니다. 그러니 기업들이 죽는 소리를 하는거구요. 
10인이하 영세 업체 같으면 1년 이익 그래봤자 억단위로 남기면 많이 남기는데, 1인당 50이면 1년이면 600이구요, 10명이면 6000이 날아갑니다. 이게 적지 않다고 생각하면 참으로 생각이 잘못된겁니다. 그러니 투자여력이 떨어지고 구매 여력이 떨어지는 겁니다. 소득주의가 지금 문제가 되는 부분이 있다면 아무리 공약이라도 지지층을 설득하여 바른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 겁니다. 천천히 나아가고 고쳐 나가야 할 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