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20-07-12 11:17
참새가 없어지면 어떻게 되는지 중국이 잘 보여줬죠.
 글쓴이 : kwindK
조회 : 1,528  

https://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3&oid=001&aid=0009319039



결론은 참새는 많을수록 좋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치즈랑 20-07-12 11:22
   
참새 귀여운데...
퀄리티 20-07-12 11:23
   
균형을 이루는게 가장 좋습니다
근데 인간이 친환경농약을 발전해가고 있어서 밸런스를 어느정도 무시할수는 있겠죠
물망초 20-07-12 11:23
   
참새 예전에는 농사 망치는 새였습니다
허수아비 화약총 이런거 참새 때문입니다
     
치즈랑 20-07-12 11:31
   
쬐만한 참새가 먹으면 얼마나 먹는다고...
          
물망초 20-07-12 11:36
   
ㅋㅋㅋ
도시에서 살아서 그런가요?
참새가 앉으면 수백마리씩 앉아서
쌀 까먹습니다
               
샤루루 20-07-12 12:07
   
전체적으로 보면 참새가 쌀 먹는량 적은데요?
쌀생산에 비해 참새가 아무리 많이 먹어도 0.001프로나 먹을까요?
그리고 참새 주식은 쌀도 아닙니다. 쌀만 먹으면 참새 옛날에 멸종함
벼수확하는 곳에 참새가 많은 이유는 벌레를 잡기 위합니다.
쌀보다 벌레를 더 좋아하고 더 영양가가 높거든요
논에 있는 벌레들의 주식은 벼 입니다.

그리고 시골에 사시면 아시겠지만 쌀생산에 영향은 날씨+병충해가 제일 문제입니다.
또 쌀생산양은 날씨+병충해라는 변수를 빼면 단위 면적당 계속 증가 했습니다.
항해사1 20-07-12 11:26
   
뭐든지 적당해야 합니다.
Wombat 20-07-12 11:28
   
자연은 항상 균형을 맞춰왔습니다
그런데 인간이 그 균형을 언제나 무너트렸죠
그리곤 그탓을 참새같은것에 전가하는 겁니다
가증스러운 존재가 인간이죠
안선개양 20-07-12 11:30
   
모기랑 바퀴벌레도 필요한 존재려나
     
치즈랑 20-07-12 11:32
   
모기는 좀...
     
무영각 20-07-12 11:50
   
모기도 필요함 육지의 플랑크톤.  바킈는  없어도 될듯
내추럴 20-07-12 11:36
   
별다른 환경적 변수가 없다고 가정을 하고
하위 개체수가 갑자기 증가하는 것은 먹이사슬 중간이 끊어졌다는 것입니다.
왜 끊어졌을까요?
인간이 천적들을 쫓아내거나 없앴거든요.

반대로 개체수가 갑자기 감소한다는 것은 또다른 천적이 등장했을 확률이 높습니다.
경험상 그 새로운 천적이 인간일 확률은 더욱 높아 집니다.
결국 자연을 위협하는 존재의 공통은 인간입니다..
Cakia 20-07-12 11:45
   
중국..
참새가 사라진거?
뭐든 다  잡아먹으니..    참새마져도 씨를 말리는거가?
도나201 20-07-12 12:08
   
우선 참새는 토착종입니다.
이게 중요하죠. 
그러나 서식지 환경에 굉장히 민감한 녀석들이기도 합니다.

뭐 해충구제등등 벼낱알먹는다고 해서 ....농약의 무분별한 상황때문에 많이 죽기도 했고 .
번식에 영향을 끼친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가장 순기능은......
독일인가?  어디서 실험을 했는데
어느 일정지역 숲을 두군데 설정해서 한군데는 모든 조류를 없애고
한쪽은 그냥 놔두었는데 .

숲의 성장속도 및 저항력이 급격히 떨어졌다라는 결국 숲자체가. 스산하게 변한다고 합니다.

반면 참새나 기타 조류가 있는 숲은 나무들이 빽빽해도 숲이 건강하다고.
가끔 딱다구리과 새가 .....해조라고 해서 기피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알고보니 숲은 중심가에 조류를 /끌어들이는 효과를 낸다고 합니다.
무엇이좋다 나쁘다라는 문제는 항상 이렇게 상관관계가 있다고 합니다.

특히 숲이라는 것은 하천에 멀먼 멀수록 스산해지는 ......뱀. 해충이 득시글. 하는 효과를 낸다고 합니다.

이게 조류의 활동영역에서 벗어나면 그렇게 된다고 .

현재 조류는 대부분 하천을 중심으로 많은 먹이활동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숲의 중심부위일수록 조류의 활동영역에서 벗어나고 있습니다.

그러한 숲의 진출을 돕는게 딱다구리라는 것이죠.  살수 있는 집을 지어주니......ㅡ.ㅡ.

번식환경을 만들어주어서 활동기반을 만들어주는 것이죠.

참새는 우선은 곡식을 주식으로 한다고 하지만,
실제로.....닭을 풀어서 키우는 지역에서는  야생닭도 그렇고
그런 숲들은 엄청나게 건강한 숲으로 자라난다고 합니다.
     
케이비 20-07-12 12:30
   
딱다구리 만화영화 다시 보고 싶네요.
가마솥 20-07-12 12:59
   
모택동이 참새 잡으라고 지시 했다가 중국인들 4천만명이 굶어 죽음
코리아 20-07-12 13:08
   
어린시절 시골 큰집에 가면 닭장 앞에 참새잡이용 큰 바구니 설치해 긴장하며 기다리던 기억이 나네요.
큰어머니가 만들어 주신 참새고기 정말 맛있었는데...
중화참 20-07-12 14:05
   
포장마차에서 술안주로 팔았었죠...수가 감소하자 병아리를 참새로 속여서 팔아 뉴스에 나왔던게 기억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