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21-02-02 13:30
아래 삼각형 수학문제 풀이법(?)
 글쓴이 : 정봉이
조회 : 379  

상변 꼭지점에서 오른쪽 변의 길이를 알고 있기때문에
꼭지점을 중심으로 원을 그려서 
그 원의 한점을 오른쪽 삼각형의 꼭지점으로 정합니다.

그런다음 오른쪽 꼭지점에서 똑같이 원을 그려서 왼쪽 아래 꼭지점을 구합니다.

이런식으로 하면 모든 꼭지점의 위치나 변의 길이가 나옵니다.

이 문제는 꼭지점값이나 변의 길이가 정해진게 아니고 조건에 따라 값이 변하는 문제

수학적 증명은 가능해도 특정값이 정해져 있지 않는 문제

처음 오른쪽하단의 꼭지점을 어디로 특정했는냐에 따라 값이 모두 달라짐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감방친구 21-02-02 13:33
   
우와, 저 그렇게 했어유 ㄷㄷㄷㄷㄷ
가로수길 21-02-02 13:40
   
under constraint로 문제자체가 안됩니다. 무한개의 경우수가 나와요
치즈랑 21-02-02 13:41
   
도대체 뭔 소리를 하는겁니까....ㅇ.ㅇ 짜증나...이런 수학이라니..
스포메니아 21-02-02 13:48
   
자 하나만 주세요, 바로 풀어 드립니다 ;;;
     
유기화학 21-02-02 13:52
   
수학장인
홀로장군 21-02-02 14:09
   
문제에 삼각형이라 특정하지 않았죠
상변 꼭지점에서  알고있는  두 변의 길이를 합친 곳 까지 갈 수 있죠
삼각형이 아니고  일직선 일 수 도 있다는 겁니다

그러니까 꼭지점에서 알고 있는 두 변의 길이를 합친 길이가 반지름인 원의 모든 내면의 특정지점 일 수도 있는거고
그 특정지점에서 꼭지점 까지의 길이가 모르는 변의 길이이죠

값이 달라지긴 하지만
모르는 꼭지점은 두 변을 합친 반지름의 원 안에 있는  특정 지점인 거고
모르는 변의 길이도 두 변을 합친 거 보다 클 수는 없는 거죠
도나201 21-02-02 14:44
   
삼각형일경우

단순하네요.
위치를 아는 위치점과. 밑변의 직각으로 연결후에
밑변의 직각점의 길이만 알면  모든게 해결되네요.

바로 피타고라스 정리에 의해서 해결됨.

삼각형의 특성상.
두변의 길이를 알면 꼭지점은 자연히 나옴.
이미 길이를 알았다라는 것은 기준점이 있었다라는 것이고,

밑변의 양끝단의 위치를 모른다라는 것은 거짓말임.
즉 한변의 길이를 안다라는 것은 밑변우측의 위치가 정해 졌다라는 것임.
아니면 한변의 길이를 잘못쟀다라는 것이고,

어차피  두기준선없이 한변의 길이가 나올수가 없음.
즉, 문제자체가 거짓말의 오류인 문제임.
여기서 각각의 오류가 나오게 되어 있음.

즉, 이문제는 자체오류임.
길이의 정의를 무시한 이야기임.

길이는  두지점을 연결한 선의 기준척도에 의해서 산정한 치수.
hell로 21-02-02 19:52
   
문제의 답은..
미지 점 1은 기지의 두변 중 기지 점에 연결된 변의 길이를 반지름으로 하는 원 위에 위치하고
미지 점 2는 (두 기지 점의 길이 차이에 무한히 근접한 곳에서부터) 기지의 두변의 합에 무한히 근접하는 반지름을 가지는 원 안에 위치하게 됩니다.
그리고 미지 변의 길이는 0보다 크고 두 변의 합보다 작은 범위 안에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