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새 잡담게시판으로 가기
(구)잡담게시판 [1] [2] [3] [4] [5] [6]
HOME > 커뮤니티 > 잡담 게시판
 
작성일 : 20-05-07 08:01
트럼프 요구 방위비 연간 13억달러…작년대비 49% 인상
 글쓴이 : 별명11
조회 : 2,072  

한미 실무팀 합의했던 13%의 4배… 한국정부, 추가 양보 없다는 입장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한국에 요구하고 있는 방위비 분담금 규모가 연간 13억 달러 규모인 것으로 알려졌다. 2019년 한국 측 분담금 대비 49%를 인상하라는 것이다. 한미 양측 협상 실무팀이 잠정 합의했던 13%의 4배에 가까운 인상률이어서 최종 타결까지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한미 양측은 추가 협상 일정도 잡지 못하고 있다.

4일(현지 시간) 한미 방위비분담금특별협정(SMA) 협상에 정통한 워싱턴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미국 측은 연간 13억 달러 선을 요구하고 있다. 환율 변동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이는 제10차 협정에서 합의했던 1조389억 원의 절반 가까운 금액을 추가로 부담하라는 것이다. 이 소식통은 “13억 달러는 미국 측이 적용한 환율 계산으로는 전년 대비 49% 증액이 된다”고 설명했다.

미국 측은 3월 말 트럼프 대통령이 13% 인상안을 거부한 이후 13억 달러를 사실상 최종 금액으로 수정 제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트럼프 행정부의 한 당국자는 이에 대해 “우리는 (분담금 요구 액수를) 50억 달러에서 13억 달러까지 상당히 많이(considerably) 낮췄다”며 “미국은 유연성을 보여 왔다”고 주장했다.

협상 교착이 길어지는 상황에서 미 행정부 고위당국자들의 압박 발언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백악관 브리핑에서 “부자 나라 한국이 더 부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로이터통신과의 인터뷰에서는 “한국이 돈을 더 내기로 했다”며 특유의 과장된 화법으로 증액을 압박했다.

마크 내퍼 국무부 동아태 부차관보는 4일 워싱턴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가 주최한 한반도 이슈 관련 화상 세미나에서 “우리는 지금까지 매우 유연했다고 생각하며, 이제 한국 쪽에서도 일정한 유연성을 보여주기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방위비 분담금 협상이 포괄적으로 타결된다면 한국 국회에서 비준동의안이 빨리 처리될 수 있기를 희망한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한국 정부는 추가 양보는 없다는 태도다. 한 관계자는 “미국이 초기에 제시한 총액에서 잠정 합의까지 상당 부분을 낮춘 것은 맞지만, 우리 입장은 명확하다”고 말했다. 협상에 정통한 다른 소식통은 “잠정 합의 이후로 한미 간에 유의미하게 주고받은 협상안은 없는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 작년 8.2% 올렸는데 올해는 49%?… 방위비 협상 첩첩산중 ▼



‘13% 대 49%.’


한국과 미국이 9개월째 방위비분담금협정(SMA) 협상을 이어가고 있지만 양측이 제시한 분담금 인상률은 여전히 4배 가까이 차이가 난다. 극적 타결 가능성이 제기됐던 잠정 합의안이 3월 말 파기된 후 처음으로 구체적인 윤곽이 드러난 미국 측의 요구안은 한미 양측이 좁혀야 할 간극이 아직도 상당함을 여실히 보여 준다.

4일(현지 시간) 워싱턴 외교 소식통에 따르면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한국 측의 연간 분담금 규모를 2019년 대비 49% 늘릴 것을 요구하고 있다. 지난해 한국의 분담금은 1조389억 원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계산해 보면 미국 측은 1190원 선의 원-달러 환율을 적용해 내부적으로 13억 달러(약 1조5470억 원) 규모의 분담금을 산정한 것으로 보인다. 이를 그대로 수용한다면 한국의 분담금은 지난해보다 5080억 원가량 늘어나며 분담금 인상률은 지난해 8.2%보다 6배가량 높아진다.

미 정부 당국자들은 최근 “미국 측은 협상에서 ‘상당한 유연성(significant flexibility)’을 발휘해 왔다”며 한국의 양보를 촉구하는 발언을 계속하고 있다. 미 정부의 한 당국자는 “우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당초 요구했던) 50억 달러에서 점차 금액을 줄이며 13억 달러까지 요구 수준을 낮췄다”며 한국에 ‘유연성’을 요구했다.

그러나 당초 50억 달러 증액은 근거 없이 무리하게 부풀려진 금액이었다는 점에서 전형적인 ‘협상의 기술’로 봐야 한다는 의견이 우세하다. 한국 정부 관계자는 “지금까지의 연간 증액률과 물가상승률 등을 따져 보면 지난해에도 한국으로서는 큰 폭으로 올린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은 제7차 협정(2007년) 6.6%, 8차(2009년) 2.5%, 9차(2014년) 5.8% 등 2000년대 중반 이후 지금까지 10% 미만의 인상률을 유지해 왔다.

미국 측이 13억 달러를 제시한 근거나 구체적인 항목은 알려지지 않았다. 미국은 지난해 협상 과정에서 이른바 ‘준비태세(readiness)’ 관련 항목의 신설을 요구했으나 한국 측이 “기존의 틀 안에서만 협상할 수 있다”는 원칙을 일관되게 고수하자 막판에 이 요구를 거둬들인 것으로 전해졌다. 다만 일각에서는 최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건강 이상설이 불거지자 미국 측이 첨단 정찰자산을 한반도에 집중 전개했던 상황을 거론하며 “이런 비용이 SMA 증액 요구의 근거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을 내놓고 있다.

한국은 미국 측과 잠정 합의했던 13% 이상의 추가 인상은 어렵다는 입장을 분명히 밝힌 상태다. 강경화 외교부 장관은 지난달 28일 국회에서 “그 금액이 우리로서는 가능한 최고 수준의 액수”라고 강조했다. 미국 측도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과 마크 에스퍼 국방장관까지 동의했던 13% 인상안이 트럼프 대통령에 의해 거부된 후 추가 협상의 동력을 찾지 못하는 분위기다. 트럼프 대통령이 코로나19 위기 대응과 재선 캠페인에 매달려야 하는 상황인 만큼 협상은 11월 대선 이후로 미뤄질 수 있다는 관측마저 나온다.

똥아..링크안함.

사실이면 방 빼라..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고수열강 20-05-07 08:03
   
또라이 새퀴아이가...  평택에서 나가라 시 발...
평택기지  앞으로 바이러스 성 질환 감염자 치료센터로 쓰면 딱 좋네...  경비하기도 좋을 듯...
북창 20-05-07 08:05
   
방좀 빼라~
nigma 20-05-07 08:05
   
단 1%도 납득할 것이 없다! 나가든 말든, 그냥 파토내라!
그냥하는 말이 아니고 정부는 나름 해결하려고 일정 부분 양보하여 인상안을 제시한 것이겠지만 그런 어설프고 잘못된 양보는 오히려 그 반대급부만 불러온 것이라 생각합니다.
애초에 원칙대로 합리적인 이유가 없으면 양보해선 안될 것이었습니다.
지금의 주둔비도 차고넘치고 과하다고 생각하는 바 아예 원점에서 검토하고 기존 제시한 우리측의 인상안도 철회하고 우히려 원칙대로 따져서 현 주둔비를 다시 확인 점검 따져보고 깍을 생각을 하고 그에 따라 정말로 제대로 인하된 주둔비를 제시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정부와 국방 당국자는 어설프게 끌려 갈 것이 아니라 아예 다시 해야합니다.
퀄리티 20-05-07 08:07
   
나는 지소미아만 종료하면 아무말 안하겠음
나만의선택 20-05-07 08:09
   
gorani 20-05-07 08:15
   
연간 13억 달러면 1년에 1조 5,931억 5,000만원 달라는군요...
로보트킹 20-05-07 08:22
   
그 돈으로 자체 제작 및 수입하는 게 헐씬좋겠다.
만년방문자 20-05-07 08:24
   
츌입통제하고 전기 수도 식료품 다 꾾어
용병 필요없고 주둔비 받야야지 방위비는 개소리임
방위비 받고 싶으면 최 전방으로 보내라
메추리양갱 20-05-07 08:27
   
건방진 코쟁이들 용병주제들이 견소리 그만하고
딱 1조원어치만 한반도에 남기고 다 빼면 되겠네?
1조이상 절대로 주면 안되요!!!
수호랑 20-05-07 08:31
   
결국은 30% 정도선에서 합의를 보겠네요
새콤한농약 20-05-07 08:33
   
미친놈..
일빵빵 20-05-07 08:47
   
양아치
무좀발 20-05-07 09:12
   
13% Vs 45% -----> 20% 접점
트럼프가 NATO에 요구하는 인상율....
정답 나옴..  한국의 방위분담금 인상율이  NATO에도 반영될것.
똘똘맨 20-05-07 09:13
   
프럼프 이색기도 양아치 이걸 뭐하러 공론화시켜서 여론몰이하는건지..
우방국 밀어내기일뿐인데..
달리다가 20-05-07 09:37
   
겁좀먹게 어디서 대규모 집회라도 해야 하는지~~  양키 고 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