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애니 게시판
 
작성일 : 15-09-29 17:51
[잡담] 한국 만화 나 독자 가 지향 해야 할점 .
 글쓴이 : 축빠에용
조회 : 2,602  

한국 만화 애니 산업이 발전하지 못하는 가장 큰이유는 . 

!! 사회 인식 임..!! 
 
만화 자체를 아직 까지도 어린애 들만 보는 불량 도서 취급하는 인식이 여전함..
그나 마 지금은 만화를 보고 성장해 오던 세대들이 성인이 되었기 때문에 인식이 많이 변해서 향후는 기대됨..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인식 을 뜯어고치는게 가장 큰 선결 과제임..   

더군다나 이걸 정부 내에 정치권 에 서 조장하고 있음  아직 까지도 토끼눈 뜨고 잡아먹을 생각 만 가지고 있음. 규제 만 늘리고있음 거기다  여성부도 한몫 하고 있음....... 게임 산업까지 동반 망하고있음. 
답이 없음. 창조경제 가 가장 필요한 분야에 이러고 있으니.. 담 대통령에 기대해봄. 

!! 창작자 저작권 문제.. 만화가들 아직도 배고픔..... 
 
   만화 쪽은 아직도 저작권에 불감증 가진사람이 많음.. 나조차도 어릴때는 만화책 직접 사서 봤는데 지금     사서 보지는 않고 웹툰 정도 몇천원 지불하고 보는편으로 바뀜.... 
  만화책 으로 나오는 것도 제한 적이고 유통경로가 많이 사라짐. 이 부분은 그나마 웹툰이 생겨나면서 
  새로운 기회가 된건 사실임... 
  기존 만화가들 이 거의 대부분 웹툰으로 넘어와서 활동을 이어가고 있음 그나마 다행이라고 생각함. 
  네이버 웹툰에도 유명한 만화가 분들이 넘어와서 너무 좋음.  거기서 작품연제도 하고 나중에 유료전환
  해서 보다 많은 수익을 챙겨 갔으면 좋겠음. 
 웹툰의 발달로 인해서 선순환 구조가 생긴건 절대적으로 환영할 만한 일이 되었음. 

애니메이션 화는 또다른 제작비 문제이기 때문에 쉽지 않다고 봄...  

세계적으로 봐도 지금 제대로 만화나 애니메이션 산업이 제대로 기능 하고 있는 나라는 미국 일본 빼고는 
나는 한국이라고 봄.. 

한국 만화 인구는 더 늘어나고 웹툰으로 인해서 광범위하게 소비되고 있기 때문에 엄청난 부가가치가
창출되기 시작했다고 봄... 

애니메이션 쪽은 내수문제 와 제작비 문제가 있기 때문에 난관이 많을 것으로 보이며 당분간은 쉽지 않을듯 

 실질적으로 제대로 성인 애니메이션 만드는 나라도 지구상에 미국 일본 빼고는 없음.... 

내수와 +제작비환수+컨텐츠  가 전부 제대로 기능하는 나라가  별로 없기 때문임.. 우리나라는 제작비 환수 가 안되니 영화산업에 비해서 애니메이션쪽은 벽에 막혀있는 상황.

이런 부분은 정부에서 정책적으로 애니메이션 제작자 쪽에 지원을 좀 해주거나 방송국에서  애니메이션 제작에 힘을 실어주는 부분 밖에없음. 예전엔 의무 쿼터제도 있었는데 지금은 지상파에 애니메이션 한두개 있을까 말까니.. 아쉬운점이 많음. 


결론은.!!

만화에 대한 사회 인식 개선....  많이 나아졌지만 아직도 갈길은 먼.. 

그리고 이미 출판 만화 시장은 망했다고 보기때문에.. 웹툰 의 더욱 고도화된 산업화 전략. 과 창작자들에 
대한 권리 확보..  

스타 만화가가 많이 늘어나야됨.. 

마지막으로 최소한 유료 웹툰은 우리가 결제해서 보는 습관을 기릅시다. 얼마 안하니깐. ㅋ

유료웹툰 아니 더라도 많이 봐주면 됨.. 어차피 네이버 는 거기서 광고료 책정해서 작가들에게 돈지불해 주는 구조 이니까 무료 웹툰도 열심히 봐주세요.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하림치퀸 15-09-29 19:27
   
한국 만화를 염려하기전에 세계 시장의 추세를 함 살펴봐야할듯. 일본도 요즘 오타쿠 만화만 만드는것 같고. 한국만화의 문제라고 하기가 좀 그런게 요즘 세계적dmfh 만화시장의 퇴보하고 있짆아요. 한국은 그 흐름을 거부할수 없는것일 뿐이고. 오히려 웹툰 시장을 개척함으로써 시장의 수명을 더 연장시켰다고 봐야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사회인식은 이미 문제가 안됨...
     
날자꾼 15-09-29 21:35
   
저는 퇴보라기 보다도, 오히려 일본과 미국쪽 만화시장이 다른나라랑 비교해 볼때 비정상적으로 큰게 아닌가 생각이 듭니다. 이런 생각을 하게 된 것은 최근 일인데, 국내 만화시장이 의외로 별로 크지 않은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관성의법칙 15-09-29 19:43
   
자꾸 발전 못한다고 하는 글들이 많은데.. 예전에 비해 다양성이 떨어졌다뿐이지
성장은 꾸준히 하고 있는듯... 여기 애니게시판 사람들이 생각하는 애니는
원피스나 나루토, 아니면 매니아틱한 오덕만화들이 전부겠지만.... 사실 아동용 애니는 점점 크게 성장하고 있지않음?
아마 앞으로도 한국 애니는 일본이랑 다르게 그런쪽으로 발전할듯...
그리고 그게 실제로 미래를 위해 더 좋다고 봅니다.
미국 애니영화만 보더라도 요즘 일본처럼 그림그려서 영화로 나오는 경우는 없죠...
     
날자꾼 15-09-29 21:41
   
스토리 텔링 문제는 일단 접어두고, 작화문제만 봤을때, 선이 많이 들어간 고퀄리티의 작가주의 작품들이 죽을 쓰는 것은 예전부터 그러더군요. 오히려 둘리나, 맹꽁이 서당 같은 명랑만화체가 생각보다 비교적 수명이 긴데 개인적으로 이런 분위기에 좀 불만이 있습니다. 어찌됐든, 만화야 상업성이 크게 반영되니, 사람들이 좋아해야만 살아남을 수 있겠죠. 그래도 고유성씨나, 김형배, 임석남 같은 사람들이 그런 분위기를 꾸준히 이어가며, 그 뿌리를 토대로 많은 후배들이 양성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좀 많이 아쉽네요.
날자꾼 15-09-29 21:56
   
사회인식에 대해서 말씀을 하셨는데.....  만화계에 종사하고 계시는 분들이 후배들에게 중요시하며 강조하는 것이 있는데 바로 상업성입니다. 이것은 작품이 나오는 사회의 대중들의 기호에 얼마나 잘 맞느냐가 무엇보다 중요한 것인데요, 물론, 드물게 명작반열에 속한 것은 대중의 기호를 이끌어 가는 작품들도 있습니다. 그러나 상대적으로 그런 불후의 명작은 좀 처럼 나오기 힘들다로 볼때, 힘이 약한 만화시장을 봤을때 좀더 힘을 키울때까지 숨고르는 시간을 좀 길게 가졌으면 좋지 않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듭니다.
 하지만, 90년대 중반이후 일본문화 개방이후, 급속하게 들어오는 일본만화들과 경쟁하기 위해서 좀 무리하게 여러가지를 시도한 면이 있지 않았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
 그때도 그렇고 지금도 마찬가지지만, 만화시장도 좀 더 스스로 클때까지 영화처럼 스크린 쿼터제 같은 자문화 보호책이 필요하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듭니다.  그런 목소리를 낼 수 있었을지는.. 좀 의문이긴 하지만, 과거는 그렇더라도 지금은 그런 목소리를 조금 낼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최근 인터넷에 떠도는 선정적인 웹툰 광고들을 볼때 이렇게 가다가는 또 언제 철퇴맞을지 좀 걱정되기도 하더군요. 어떤 사람들은 작가들 또는 만화업 관련자들 스스로 자정작용을 할 수 있다고도 이야기 하는데, 별로 믿음은 가지 않더군요.
Iimagine 15-09-29 22:40
   
어린이용으로는 매우 발전이 좋은데....청소년층을 위한 애니는....(쥬륵)
darkfonronier 15-09-29 22:52
   
그 인식을 심어준게 다름아닌 대한민국 정부입니다.
     
japenis 15-10-01 11:02
   
정부가 그런다고 노인세대도 아닌 젊은층의 귀에 들어오기나 할까요?

어차피 정부하는 소리 대부분 신경도 안씁니다. 재밌으면 보고 재미없고 유치하면 안보는

것뿐이죠.
맘비 15-09-29 22:52
   
청소년에대한 교육적 애니는 교육에 대한 목적이 과할수록 졸작이 나오는듯 합니다.
마왕등극 15-09-30 00:32
   
글세요... 우리나라 만화 중 돈 내고 볼만큼 재미있는 건 세 손가락으로 뽑을 정도였던거 같군요.(일찌감치 포기해서 최근은 어떤지 모르지만요.)

이래저래 규제도 심해서 왠만한 건 그리지도 못하고,

우리나라는 무협지가 비정상적으로 발달해서 다른 쪽으로는 거의 없죠.(그런 의미로 프리스트가 한 획을 긋긴 했죠.)

그래도 가장 큰 문제는 재미가 없다는 거. 그저 단발성 개그 코드로만 밀고 있고...

가장 노력해야 할 사람은 작가들이라고 생각합니다. 독자들이 작가들 먹여살리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는 건 본말전도죠.

솔직히 우리나라 최초의 판타지 소설이라고 해서 밀어준다고 '바람의 마도사' 전편을 사기도 했지만, 잘 해주려고 하면 딱 거기까지더군요. 그 뒤에 묵향도 끝이 흐지부지. 이드도 끝이 흐지부지... 만화도 좀 괜찮다 싶으면 쓸데없이 늘려서 내용이 흐지부지.

어떻게든 편수 늘리려하다보니 전체적인 긴장감도 없고, 언제든 떼려쳐도 그만인 만화만 양산...

에효... 좀 임팩트 있고 재미있고 건실한 작품을 내놓으면 알아서 다 사서 볼건데...

일본 성인 만화에 길든 사람들에게 초등학생이 볼만한 수준의 만화를 내놓고 어쩌라는 건지...
     
관성의법칙 15-09-30 11:42
   
한국에 님같은 사람이 많다면 당연히 그런 쪽의 시장이 발전했겠지만.

현실은 소수니까요... 요즘 누가 만화봅니까..
japenis 15-10-01 11:00
   
노인세대 아닌 젊은층은 만화에 대해서 그렇게 인식이 나쁘지 않습니다.

문제는 재밌게 봤던 애니에 대해서 점차 유치함으로 다가오고 흥미를 잃어간다는게 문제죠.

그래서 현실직인 웹툰에 눈을 돌리게 된거라고 생각합니다. 단순히 애니에 대한 선입견이 아니라

애니특유의 비현실적, 진부함에 질리는거죠. 뭐 애니라 해봤자 일본애니가 거의 대부분이지만 말입니다.
 
 
Total 4,01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애니게시판 운영원칙 (19) 가생이 04-08 160529
1773 [잡담] 아키라 라는 만화 (8) 하림치퀸 05-15 2638
1772 [잡담] 원피스 정주행중인데요 (4) gjzehfdl 12-15 2637
1771 [잡담] 이분들이 라이온킹 티몬과품바 였네요 ㅋㅋ (1) 한국아자 04-13 2637
1770 [일본애니] 5월 극장개봉 예정 기동전사 건담 내러티브 23분 … (4) 샌디프리즈 04-21 2637
1769 [잡담] 우주세기 건담은 핵으로 움직인다고요? (6) 선괴 08-08 2635
1768 [기타] 보기만해도 기분 좋아지는 디즈니짤 (1) 짹슨맘 09-16 2632
1767 [일본애니] 극장판 마징가 Z 인피니티 (12) 또르롱 09-24 2631
1766 [일본애니] 애니갤 폭 멸망 (2) 온니디쁠 11-09 2631
1765 [기타] 어렸을때 "토마스와 친구들" 보신분들~ (6) 타마 07-24 2629
1764 [일본애니] 악당이 이기길 바라는 애니 (7) 새연이 07-10 2629
1763 [일본애니] Back Street Girls 조폭 걸스입니다 (4) 동동주 07-27 2629
1762 [잡담] 마계전생 봤습니다. (2) 에치고의용 03-27 2627
1761 [국산애니] '2020원더키디' '은비까비' 김대중 … (9) 백수 09-24 2627
1760 [신작소개] 애들은 가라~! 하이스코어 걸! (2) 물의아이 07-24 2625
1759 [일본애니] 아.. 이번 분기 애니 너무 재미나서.. (1) 하늘만치 10-30 2624
1758 [잡담] 시도니아의 기사를 보면... (2) 생마늘님 05-23 2623
1757 [잡담] 네이버에서 3일간 너의 이름은 무료로 풀렸네요. (5) 가생이만세 12-22 2623
1756 [잡담] 꼬맹이 시절땐 드래곤볼 보고 악몽 꾸었는데 저… (3) 한국아자 08-25 2623
1755 [일본애니] 개인적으로 정말 재미있게 본 만화는 (10) 온라 06-12 2622
1754 [일본애니] 요즘은 막 다른세계로 전이한 하렘애니가 인기인… (4) 천년의시 09-19 2619
1753 [일본애니] 애니메이션에 방탄소년단 음악 넣은 영상 샌디프리즈 12-06 2619
1752 [잡담] 저는 개인적으로 일본애니보단 미국애니를 선호… (22) 타마 10-10 2617
1751 [일본애니] 방패용사 성공담 5화 선행샷 (2) 또르롱 02-01 2617
1750 [OP/ED] 드래곤볼 GT OP 라이브 (2) 또르롱 02-16 2617
1749 [잡담] 혼종 애니 추천합니다. (8) 하기기 04-24 2616
1748 [잡담] 일본 애니가 예전보다 재미가 없어진 것은 (14) 모래곰 04-30 2615
1747 [잡담] 2차만화 라고 하나요? (7) 관성의법칙 03-03 2615
 <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