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1-11-14 18:36
[일본] 에도시대 도시생활에 대해 이 게시판분들이 제일 잘 알것같아서 질문드립니다…
 글쓴이 : 가마굽기
조회 : 1,131  

1600년대 후반 일본은 4㎞마다 이정표가 서 있어 여행 거리를 즉시 알 수 있었고(데지마 주재 독일인 의사 캠퍼, '江戶參府旅行日記') 이미 1653년에 상수도가 완공돼 에도 시민은 수돗물을 마실 수 있었다.(오이시 마나부, '일본 근세도시 에도의 기능과 성격', 도시인문학연구 1호

있단 일본에서는 백성이 여행 금지라 이정표는 아닐것같은데 이글의 일본의 상수도가 과연 올바른 정보인지 여쭈어 봄니다.  그리고 저는 조선이 일본보다 나은점도 있고 일본이 조선보다 나은점이 있다고 생각하는데…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쉿뜨 21-11-14 21:29
   
동아시아 3국의 도량형이 약간 다르지만

4km면 10리. 일본은 1리.
역참은 천년전에도 있던거라 딱히 특별한것이 없죠. 이정표가 있다해서 특별히 이상한것이 아니라는 말;;

그리고 m법은 프랑스대혁명 이후에 혁명정부가 체택한  도량형. 아마 의미를 가져오면서 편의상 4km라 한것일테지만… 원문이 그렇다면 거짓말이라는 뜻.


당시 데지마에서 구역 벗어나는 일은 불가능했고, 아주 특별한 경우에만 나올 수 있었는데, 그 상황에서 민가에 수돗물이 나오는지 알았을리 없지만;


대충 해석해 보면
당시 에도성은 조선의 서울같은 계획도시 였죠. 산을 하나 깍아서 앞바다를 매립하여 앞마당을 축조했을 정도로 공을 들였고, 거대한 해자에 성을 둘러싸고 물길이 있어 꽤나 물을 수급하기 좋은 환경이었던 것은 맞습니다.

전근대시대에도 상하수 개념은 있으나 수돗물이 나올정도의 시대는 전혀 아니었고요. 상수도 보다는 하수도 개념이 컷고, 관개수로로 인한 상하수도는 동양에서는 드문 개념이 아닙니다.

일본이 아무리 시대에 떨어졌다고 하나 그정도로 모를 정도로 등신들은 아니니까요.

하지만
민가에 수돗물이 공급 될 정도의 상하수도 개념이 되려면, 적어도 도시권의 세금이 지방의 세금보다 월등해야 합니다.

도시권의 인구가 세금이 월등하더라도 상수도를 도입하기 쉽지 않은데, 에도막부가 그정도로 능력이 있었다면;; 망하지도 않았을 겁니다.

상수도 하려면 역사적으로 3가지 방법뿐인데
1. 지하화 2. 석회암수로(로마) 3. 터널 혹은 구멍(중동)
에도에는 어느것도 포함되지 않습니다.

그렇다고 근대적 공법인 콘크리트나 주철공사를 하진 않았을테니까

상수도가 있어 수돗물을 먹었다면, 관동대지진의 그러한 조선인 학살사건의 소문은 없었겠죠.
 
 
Total 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