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5-03-10 00:29
[기타] 좀 멍청한 질문일수있으나 임진왜란때 말이에요
 글쓴이 : Assa
조회 : 2,237  

여진족은 그때 누르하치가 건주여진을 1589년에 통합하고 큰세력이 되잖아요? 근데 조선이 침략당했을때 여진은 그냥 힘을 꾸준히 기른것일까여?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피즈 15-03-10 02:47
   
원래 200년 동안 우리가 여진족을 10번 토벌하여 수장과 핵심 세력을 없애 나라가 생기는 걸 막았었습니다. 이것이 쉬운 이유가 여진족은 원래 성을 쌓지 않았기 때문인데, 임진왜란 중에 성을 쌓고 나라를 만들었다더군요.
아르카나 15-03-10 03:40
   
임진왜란때 북방병력은 동원 안했어요 누르하치가 도와주겠다 해도 거절했구요

확실히 이시기엔 여진이 문제가 되었구요

임진왜란 후에 신하들의 반대를 무릅쓰고 여진부락을 토벌했구요

이후 누르하치가 여진을 통일하고 나선 뭐..
     
없습니다 15-03-10 14:59
   
북방병력이 정예군인데 동원 안할리가 있나요. 부산함락 소식을 들은 조정에서 긴급 남하 명령을 내렸지만, 일본군의 진격이 너무 빨라서 도착하기 전에 한양이 함락되었죠.

임진왜란 초기 상황을 보면 신립의 탄금대 전투 이후 무저항상태로 진군하던 일본군이 임진강에서 조선군과 충돌하는데 이 조선군이 바로 평안도 군사들이었습니다. 제대로 싸우지도 못하고 무너진 남방군사들과 달리 이들은 초전에서 일본군 선봉을 격파하고 임진강을 건너 도강전투를 시도하는 등 비교적 제대로 싸웠었죠. 그리고 패배당하고도 분산되지 않고 후방에서 다시 집결해서 개성, 평양까지 축차후퇴하며 전선을 유지했습니다.

함경도 군사들 역시 남하하다가 일본군과 격돌해서 패배한후 의주쪽으로 가서 합류하게 되죠
아르카나 15-03-10 03:42
   
여진사람이 만명모이면 천하가 감당할수 없다는 말이 있듯 일단 모이면 감당못하나 여진이 부족단위라

통일이 안되고 명이나 조선이나 토벌+회유로 못뭉치게 막았으나 누르하치 이후론 뭐,,
Centurion 15-03-10 14:02
   
심심해서 찾아봤는데요.

본래 여진이 건주여진 5부족, 해서여진 4부족, 야인여진 4부족으로 나뉘어지는데.
누르하치는 건주좌위에 해당하는 건주여진 5개 부족 중 하나를 이끌었지요.

누르하치의 할아버지 교탕가,  아버지 타쿠시는 명나라 요동총병 이성량에게 잘협력했으나,
교탕가의 사위인 아타이를 설득하러 갔다가, 명군에게 살해당해 당시 이성량의 볼모였던 누르하치가
분노하게 되는 원인이 되었다 합니다.

그리하여 훗날 1583년 무렵에 군대를 일으켜 몇년사이 건주위 여진을 통일하고,
1589년 무렵에 명나라의 도독첨사 관직을, 1595년에 명나라 용호장군의 칭호를 받게 되는데요.
1593년 해서여진의 예허 부족이 주도하는 여진 몽골 9개부족 연합군 3만의 공격을 받고, 이를 물리치고,
1599년 해서여진의 하다를 멸망시키고, 1607년 후이파, 1613년 우라를 병합해 여진 대부분을 통일한 뒤..
1616년 칸의 지위에 올라 후금을 개국한 후, 1618년 명을 공격하기 시작.. 1619년 사르후 전투..
1626년 영원성 전투에서 부상당채 사망했다고 합니다.

즉, 1592년 임진왜란 발발 무렵까지는 아직 여진의 1/3 정도 세력을 가진 수준이었고..
이 때까진 명나라 요동총병 이성량에게  발톱을 숨기고, 명나라에 충성하는 척하며 뇌물도 바치고 그랬다고 합니다.
그러다 이성량이 1591년 뇌물혐의로 해임되는데, 이후로도 요동총병들에게 계속 뇌물바치고 싹싹하게 군 모양입니다. 그러면서 해서여진의 반격을 물리치고, 나머지 여진을 통일하는데 힘을 기울였고..
이러한 움직임은 명나라의 이이제이 전략에 어긋나는 것이었죠.

이성량은 같은 명나라 장수들은 여진족에 내분을 조장해 서로 치고 싸우게 만들었고,
실제로 그런씩으로 흘러갔는데, 누르하치는 자신의 세력규합이 명나라에 위협적으로 안비춰지도록
애를 많이 썼다고 합니다.

그래도 뽀록날 가능성이 높았지만, 천운인지.. 임진왜란이 터져 명나라가 조선에 신경쓰느라..
사실상 만주지역에 대해 신경쓸 틈이 없는 사이.. 나머지 해서여진 등의 반격을 물리치고, 그들을 흡수합병해..
여진통일을 이뤄낸 것이죠.

이성량도 1601년 복직되어 돌아오긴 했지만, (그 와중에 이성량 자식들이 요동총병을 지냈더군요)
누르하치의 세력이 너무 커져서 1606년 6보를 철폐시키고, 민간인들을 이주시켰는데,
조정의 반감을 사서 1608년 다시 파면당했다고 합니다.

결론적으로 요약하자면, 누르하치는 명나라의 감시와 견제를 뇌물과 거짓충성으로 무마시키며..
건주여진을 일단 통일했고, 그 뒤로 임진왜란이 터진 이후엔 해서여진과 몽골 등의 반격을 받았지만,
이를 물리치고 해서여진을 장악했고, 그렇게 어느새 세력을 키운뒤론 이제 명나라가 손을 쓸 수 없는 단계까지
성장했다고 볼 수 있겠죠..
없습니다 15-03-10 15:14
   
누르하치가 건주여진을 통합하였지만, 여진족은 그외에도 야인여진, 해서여진이 더 있었죠. 임진왜란시기를 포함하여 1610년대까지 누르하치는 이 야인여진과 해서여진, 특히 해서여진을 정복하는데 전념하게 됩니다.
 
 
Total 15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24 [중국] [펌] 중국 네티즌의 역사인식. (15) Centurion 05-03 4160
123 [기타] 단재 신채호의 독사신론(讀史新論) 2/3 청실홍실 04-30 2562
122 [기타] 단재 신채호의 독사신론(讀史新論) 1/3 청실홍실 04-30 2574
121 [일본] 왜인에 대한 소견.. (17) Centurion 04-10 6467
120 [기타] 고구려의 토욕혼 정벌 (2) 두부국 04-03 4252
119 [기타] 조선 후기 고지도를 통해 살펴보는 조선의 국경선 (10) Centurion 04-01 9811
118 [기타] 윤관의 여진정벌은 귀주대첩못지않은 업적일수도?(… (10) 실험가 03-21 5385
117 [기타] 후한서 동이열전 (1) Centurion 03-19 5208
116 [기타] 좀 멍청한 질문일수있으나 임진왜란때 말이에요 (6) Assa 03-10 2238
115 [기타] 고구려에서 '구句'가 빠진 사연 (광개토대왕-… (16) 열심히공부 03-05 4769
114 [기타] 임진왜란 직후 조선의 여진족 토벌!!! (3) shrekandy 02-21 8553
113 [중국] 시대별 조선 기병 활약상 (5) 국산아몬드 02-17 7455
112 [중국] 난공불락 남한산성에서의 전투 ( 일자별 전투 일지 ) (8) 국산아몬드 02-17 5572
111 [중국] 중국을 끔찍이 사랑했던 청제국 (4) 굿잡스 02-15 22009
110 [기타] 예송논쟁 따위나 했으니 조선이 망했지... (4) shrekandy 02-11 2698
109 [통일] 한일등 각종 지표. (24) 굿잡스 02-04 6572
108 [일본] 일본 근현대화 성공의 ENDING (53) 굿잡스 02-02 3275
107 [일본] 왜 일본만 근대화에 성공했을까? (41) 딸기색문어 02-02 4076
106 [기타] [펌] 조선과 명의 외교 득실. (22) 정헌대부 01-13 5345
105 [기타] 임란 이후 조선 vs. 일본 국력/선진성 (35) shrekandy 01-12 9356
104 [통일] 고려가 한반도에 없었다라는 증거도 많습니다. (21) 만법귀일 01-07 7684
103 [일본] 김옥균과 후쿠자와 유키치 (24) free3 01-06 4739
102 [일본] 일본고대사를 한국사로 편입하자니 (140) 니르 12-23 7151
101 [기타] 서토의 건축기술이 발달 한 것은 동방문명의 영향이 … (2) kiyoke 12-22 1538
100 [일본] 고대 일본사는 한국역사로 취급해야한다 (100) shrekandy 12-22 5507
99 [통일] 말갈의 땅 연해주를 버린 청나라 (4) gagengi 12-20 9062
98 [기타] [영상첨부]동아시아 영토 변화사(오류가 심각하네요.… (16) kiyoke 12-19 2515
 1  2  3  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