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5-02-11 15:33
[기타] 예송논쟁 따위나 했으니 조선이 망했지...
 글쓴이 : shrekandy
조회 : 2,696  

흥미로운 글을 찾았습니다

아. 추가로 제목은 낚시성입니다. 내용은 사실 반대거든요

(저 탓하지 마세요 ㅎㅎ 이글 원작자가 쓴 제목이에요)

http://www.todayhumor.co.kr/board/view.php?table=history&no=18471&s_no=9003697&kind=member&page=1&member_kind=total&mn=68821
---------------------------------------------------------
역사를 얘기하다보면 쉽게 걸리는 함정이 있습니다.

결과를 아는 현대인라는 위치를 이용하여 결과에 대한 원인을 마음대로 추론하는 것.

현재의 시각만으로 과거를 해석하는 것.

마지막으로 이미지를 먼저 만들어 놓고 내 입맛대로 정의내려버리는 것


현대 경제학자들이 비웃음을 사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어떤 치명적인 경제적 사건을 전혀 미리 추론하지 못하다가 결과가 나온 후에 그 원인을 잘난듯 분석하여 내놓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것처럼 보이는 현대인이지만,
어떤 결과가 나오기 전의 현재의 상황을 객관적이고 완벽히 분석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이건 과거의 사람이라고 다르지 않습니다.
재미있는게 우리는 현재의 자신의 행동엔 한없이 너그러우면서, 이상하리만치 과거의 역사 인물들에겐 한없이 엄격한 잣대를 들이민다는 겁니다.
있을지 없을지 모르는 전쟁에 대해서 (백성들이 반발을 하고 고생을 하건말건) 왜 전시체제로 대비하지 못했느냐.
200년후 세계 정세가 어떻게 급변하는데 조정에 앉아서 상복을 1년을 입니 3년을 입니로 그렇게 논쟁을하냐..나라가 망하는 원흉이 되느냐...등등.



내가 역사적 결과를 알고 있다는 정보적 지위를 이용하여, 
우리와 똑같이 미래를 예측할 수 없는 과거의 사람들에겐 한 없이 엄격한 잣대를 들이밀고 있다는 거지요.



이건 비단 200년 후 우리가 예측하지 못하는 어떠한 사건으로 대한민국이 망하니
민주주의가 뭐라고 부정투표니 아니니 근거도 빈약하고 민생과 관련도 없는 사건을 가지고 온 국가가 분열에 휩쌓였다.
그러니 대한민국은 망했다. 라고 우리 후손이 현대의 우리를 비난하는 것과 별로 다를 게 없는 겁니다.



이런 현상은 결과를 아는 우리가 현대의 시각으로 과거를 해석하기에 나오기도 합니다.
역사는 과거와 현대를 잇는 대화라고 해서 모든 사건과 개념을 현대적인 시각으로 해석하라는 말이 아닙니다.
사람에겐 그들이 절대적으로 생각하는 가치와 사상이 존재합니다.



그 가치와 사상이 과거와 현대와 이어지는 부분도 있고 이질적인 부분도 존재합니다.
사람을 죽이면 안 되고 착하게 살아야한다처럼 현대와 상통하는 부분도 있지만,
모든 권력은 국민에게서 나오고 권력자는 국민들의 투표를 통해 선출되야한다는 것처럼 과거에 없던 전혀 다른 개념이 존재하기도 합니다.



그런데 만약 과거에 전혀 없는 현대적 개념을 과거에 억지로 개입해버리면,
세종대왕은 독재자다. 라는 식의 어처구니 없는 발언도 아무렇지 않게 나오는 것입니다.



과거에 대한 교훈을 바탕으로 현대 우리가 경각심을 가져야하는 부분은 무분별한 인종차별주의로 발생한 KKK나,
특정 인종에 대한 멸시로 일어난 학살, 극단적 민족주의/국가주의로 일어난 인권 탄압 등...
행동적 과정에서 일어난 시대상을 반영하더라도 납득할 수 없는 비인간적 비인륜적인 부분을 비난하며 그 과오를 되풀이하지 말자고 하는 것이지,
결과가 부정적이니 그 과정에 일어난 현대 시각으로 이해할 수 없는 사건에 결과에 대한 책임을 전가해 해석하라는 말이 아닙니다.




또.. 역사를 이미지로 해석하려 드는 것. 

재미있는 게 임진왜란 때 도망쳐 막연히 부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 욕한 선조는 알지만,
홍건적이 쳐들어 오자 안동으로 도망치고 백성들은 도적에 죽임을 당하는 와중에도 뱃놀이를 즐긴 (개혁군주로 알려진) 공민왕에 대해선 잘 모릅니다.



일본에 당하기만 한 조선과 선조는 알아도,
항시 국경을 넘어와 문제가 됐던 여진족을 신하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공격을 명령해
7개의 부락을 점령하고 여진족 1만명을 죽인 선조시대 때의 조선에 대해선 아는 바가 없습니다.



성리학을 조교화 시키고 조선의 탈레반으로 알려진 송시열은 알지만,
오로지 군주만이 예법을 실행할 수 있고 존비귀천을 실행하기 위해 예법이 존재한다는 (사문난적으로 몰린)윤후를 비판하며,
유학적 성인은 인간으로서 모두가 가질 수 있는 것이며 여성도 학문을 배우고 그걸 통해 사람답게 살수 있다 주장하고,
양반에게도 군역을 지워야하며 호포제를 실행해야한다 주장한 송시열에 대해선 별로 아는 바가 없죠.



상복을 1년 입는지 3년입는지로 그렇게 논쟁을 했던 것에대핸 알아도,
같은 시기 너무나 주관적인 수취체제인 공납의 문제를 인지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대동법이 얼마나 효율적이고 민생에 도움이 되느냐, 
부족한 것이 있다면 그걸 어떻게 보완해야하는가... 대해 온 조정이 토론한 것 역시 동시에 진행한 것에 대해선 별 관심이 없습니다.



즉, 막연한 이미지로 저 나라는 이랬고 저 사람은 저랬다라고 정의 내리고  그 생각을 고착화시켜 
어떤 이야기를 들어도...긍정적인 것은 한계점만 부각하고 부정적인 것은 그 자체를 부각시켜, 
'그러니 조선이 망했지'라고 정의내려져 버리는 것입니다.



더 문제는 이런 이미지에 의한 역사적 해석 때문에, 진짜 비난받아야할 조선의 모습을 비난하기가 망설여진다는 것입니다.

무슨 말이나면 김대중이나 노무현 대통령 역시 완벽한 대통령이 아니었는데,
도대체 있지도 않은 일이나, 인과관계도 없는 완벽한 오해로 과도한 비판을 받으니
그들이 진짜 저질렀던 어떠한 실책에 대한 비판을 제대로 할 수가 없는 그런 역설적인 상황이 되어버리는 것이지요.



사람이기에 역사를 한 없이 객관적으로만 바라본다는 건 불가능합니다.

또한 어떤 결과엔 반드시 원인이 존재하고, 
(정상적인 사람이라면) 자기 반성적으로 원인을 내부에서 찾으려하는 경향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하지만 아무리 그렇다하더라도 조선에 대한 인식과 해석은 너무나 극단적 결과론에 치우쳐 과도한 오해를 낳는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습니다.



그런데 그거 아시나요.
우리가 그렇게 자랑스러워하는 조선의 기록유산인 조선왕조실록이나 승정원 일기 등등..
그런 문서들에 대해 20세기 초 서양사람들은 너희는 그런 쓸데 없는 서류들이 많으니 나라가 개판이 된 것이다... 라고 했던 걸 보면, 
국가의 문제점와 국가에 대한 자부심이 얼마나 종이 한장 차이인가를 때론 느끼곤 하네요.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하얀gd 15-02-11 20:47
   
뭐 붕당론이죠~식민사학자들이 주장하는
부르르르 15-02-12 00:13
   
결과에 대한 비판이 있어야 잘못을 반복하지 않는 교훈으로 삼을수 있겠지요.. 예송논쟁이니 사문난적이니... 이런 사건들의 목적이 권력쟁취 유지에 있기 때문에 송시열은 충분히 비판받아 마땅하고 그 후손들 (정조때 잠시 정권을 내주긴 했지만) 의유구한 권력독점과 매국행각... 또 현재까지 이어 내려오는 기득권 세력들...그리고 역사왜곡...우리는 이렇게 배우죠 양반의 군역 호포제 북벌론을 주장한 인물이 송시열이라고... 그의 덕을 자손대대 보고있는 후손들이야 '송자'라는 어마어마한 칭호로 받들어 모시는게 이상할 것도 없지만...우리 역사상 유일무이하게 공자 주자와 동급의 칭호를 얻은 송시열은 승자일까요?
     
부르르르 15-02-12 01:10
   
성리학이 우리가 알고있는 부정적 이미지의 유교로 변질되는 싯점 이기도 합니다. 성리학을 권력유지의 도구로 전락시킨 거죠
띠로리 15-02-14 11:53
   
예송논쟁은 발제글에도 잠깐 언급되었지만 신분에 관한 문제였죠.
왕이 사대부의 일원이냐, 절대적 지위에 있느냐를 다룬 논쟁. 여기서 더 나아가 인간이 평등하냐, 아니냐는 윤리 문제까지 다룬 논쟁이죠.
신분사회인 조선에서는 부정선거만큼 중요한 논쟁 맞지요.

이런 논쟁이 성리학의 교조화를 가져온 이유 중 하나이긴 하지만 이건 결과론적인 이야기이고, 성리학의 교조화의 가장 큰 원인은 양반계층의 머릿수 증가에 따른 정계 진출의 진입이 어려워진 것이 주요원인이죠.
 
 
Total 2,909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585 [기타] 지수귀문도 (합77) - 300년전 조선의 수학자 최석정의 … (3) 열심히공부 02-12 7126
2584 [기타] 환단고기의 가장 큰 폐해... (23) 마라도 02-12 4431
2583 [기타] 조선시대의 고문중 하나인 압슬형..혐오 주의!!! (4) 하얀gd 02-11 5432
2582 [기타] 환단고기.. (15) 바토 02-11 2363
2581 [기타] 조선 한양 육조거리 모습 (사진 + 모형) (5) shrekandy 02-11 4468
2580 [기타] 조선시대 과거시험 문제/주제들 (6) shrekandy 02-11 7104
2579 [기타] 예송논쟁 따위나 했으니 조선이 망했지... (4) shrekandy 02-11 2697
2578 [기타] 조선의 막강한 권력기관 의금부 (1) 하얀gd 02-11 1871
2577 [기타] 우리나라 유리제조술 (12) 대하리 02-10 3494
2576 [기타] 우리나라 고대 문명의 형성 (96) 엔타 02-10 5176
2575 [기타] 조선 스캔들 - 조선시대 생활상 개괄 정헌대부 02-10 1923
2574 [기타] 우리나라문화중 가장 싫은것 (4) 봊이 02-10 2142
2573 [기타] 조선의 명나라 견제 빌리형 02-10 2081
2572 [기타] 환단고기에 대해 궁금한게 있는데... (28) 주기억장치 02-09 5013
2571 [기타] 조선사 고수분들에게 질문이 있습니다. (5) 은자의숲 02-09 1687
2570 [기타] 중국 일본은 비난하는 유저분들 많은 데요 러시아는 … (7) 진공 02-09 2009
2569 [기타] 민본주의 조선의 넘사벽 고아원 수준~ (8) shrekandy 02-09 6264
2568 [기타] 일본만화가 만도 못한 한국사학자들 (6) 두부국 02-09 5150
2567 [기타] 일제때 신라 금관 훼손 드러나 (4) 정헌대부 02-09 2787
2566 [기타] 무장 독립군 단체 의열단에 대해서 (1) 진공 02-08 2118
2565 [기타] 중국과인도가 전쟁하면 누가 이길까요 (4) 진공 02-08 2119
2564 [기타] 뷰티 한류 열풍? 알고보면 조선 사대부 화장법! (4) shrekandy 02-08 4182
2563 [기타] 유럽따위 씹어먹는 조선의 빈민구제소 수준 (12) shrekandy 02-08 9726
2562 [기타] 철기에 대한 이야기 (5) 엔타 02-07 3845
2561 [기타] 러시아의 배신 자유시 참변 (4) 진공 02-07 5538
2560 [기타] 일뽕 저격: 조선시대 술집/식당 종류들 (8) shrekandy 02-07 11453
2559 [기타] 민본주의 조선의 청계천 사업 클라스 (9) shrekandy 02-07 3680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