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반응
HOME > 해외반응 > 스포츠 해외반응
[2ch] 日 언론, 일본 바둑은 한국, 중국 바둑보다 한 수 아래!
등록일 : 13-02-18 23:42  (조회 : 32,923) 글자확대/축소 확대 축소 | 프린트

【바둑】 중국, 한국보다 한 수 아래인 일본 바둑
ポキール星人Zφ ★:2013/02/17(日) 09:33:36.98 0

지금 일본 바둑계의 모든 이목은 6관왕 달성을 바라보고 있는 '이야마 유타'(23) 기사의 '기성전' 결승 대국에 쏠려있다. 일본에서 첫 6관왕을 차지할지도 모르는 '이야마 유타'기사가 세계 프로 기사들과의 대국에서는 앞으로 과연 어떤 활약을 펼쳐줄 것인가?
 
1월 17일 부터 시작된 '장쉬'와의 대국은 최고 수준이 할 만한 격전이었다.
현재 이야마 기사는 이 대국에서 2승 1패로 앞서있다. 일본의 메이저 대회 7개 중에서 5개의 우승을 차지한 이야마가 '기성전'마저 우승한다면 6관왕이라는 그랜드슬램의 위업을 달성하게 된다. 일본에서 7관왕을 달성했던 기사는 조치훈, 장쉬뿐이다.
 
일본 바둑 팬이라면 이야마의 6관왕 달성이 그리 놀라운 일은 아닐 것이다.
왜냐하면 그는 이미 어렸을 때부터 바둑 신동으로 익히 알려졌던 사람이기 때문이다.
 

◆이야마 유타에 대한 뜨거운 기대
 
그는 5살때 비디오게임 바둑으로 처음 바둑을 접했다. 그리고 6살 되던 해 바둑 방송에서 주최하는 대회에서 우승을 거머쥐었고, 그의 재능을 눈여겨본 일본 기원 관서총본부 소속의 이시이 쿠니오 9단이 제자로 받아들였다.
 
그후 이야마 유타는 초등학교 2,3학년 시절, 5천명의 초등학생들이 참가하는 NHK소년소녀 바둑 대회에서 연이어 우승을 차지했으며, NHK 교육방송 바둑프로그램에서 여자기사와 대국을 펼치기도 했다.
 
그는 12살이라는 나이에 프로기사 초단 자격을 땄다. 그의 기록은 조치훈 기사 다음으로 어린 나이이다.
그리고 16살이라는 나이에 프로, 아마 바둑 기사들이 모두 참가하는 토너먼트 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불과 20살에 명인이라는 칭호를 얻으면서 5관왕을 달성했다.
하지만 일본 바둑팬들은 그에게 더 많은 것을 바라고 있다. 바로 세계 대회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몰락한 일본의 바둑
 
이야마 유타는 제작년 중국 충칭에서 열렸던 대회에서, 비록 비공식전이었지만 세계 최강의 중국, 한국 기사들을 꺾으면서 우승을 차지했다. 세계적으로 권위있는 후지츠배에서는 아쉽게 3위에 머물렀지만, 우승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의 실력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일본 기사들이 세계대회에서 우승을 차지했던 것은 2005년이 마지막이다. 세계 대회 우승은 일본 바둑계의 염원이기도 하다. 돌이켜보면 지난 시절 일본 바둑은 세계 대회에서 중국과 한국의 뒤를 쫓아가는 형국이었다.
 
일본과 중국의 바둑 교류는 1972년 중일 국교 정상화를 계기로 시작되었다. 당시 일본의 최고 실력자들이 중국을 방문해서 바둑 기사의 육성과 지도 방식을 배우고 돌아왔으며, 한국의 나이 어린 바둑 천재들도 일본으로 건너와 일본 기사들에게 지도를 받았다.
 
바둑은 4세기 후반 한반도를 통해서 일본에 전해졌으며, 헤이안 시대의 서적인 '겐시모노가타리'에도 바둑이 등장한다. 에도시대에는 명인 제도가 생겼으면 막부의 지원을 받았다. 일본에 바둑 기사가 생긴 지 400년이 지난 지금, 바둑은 일본의 전통 문화 중 하나로 자리잡았다.
 
이런 바둑 역사를 지닌 일본 바둑이 그리 쉽게 중국과 한국 바둑에 뒤쳐질리 없다는 자만심 때문이었는지, 최근 30년 동안 일본은 중국과 한국에게 뒤쳐지면서 그들을 따라가는 신세가 되었다.
 
중국과 한국에 비해 일본은 국가 지원과 부모들의 열의에서부터 차이가 난다.
서울에는 기숙사가 달린 바둑 기원이 있다고 한다. 부모들의 지원도 적극적이기 때문에 아이들은 프로 기사를 꿈꾸면서 오로지 바둑에만 몰두할 수 있다. 게다가 세계 대회에서 성적이 좋은 스타 바둑 기사는 국가에서도 병역을 면제해준다고 한다.
 
중국은 전국 각지에서 바둑에 재능있는 인재를 발굴해 북경에 있는 중국 기원으로 보내 합숙소 생활을 한다. 국가의 전폭적인 지원으로 바둑 코치들이 하나부터 열까지 철저하게 가르친다. 이런 시스템을 갖춘 중국과 한국에서 매년 어린 바둑 천재들이 등장하는 건 어찌보면 당연한 일일 것이다.
 
작년에 일본 바둑의 부활을 기원하며, 조치훈 기사가 지도하는 젊은 일본 바둑 기사팀(4명)이 중국 프로 바둑 리그전에 참가했다. 이 리그는 수준에 따라 갑, 을, 병으로 나뉘는데, 일본 바둑 기사팀은 '을'리그에 참가해서 최하위 성적을 기록했다. 실로 중국 바둑의 높은 벽을 실감하고야만 것이다. 하지만 여기서 주저 앉을 수는 없다. 이 결과를 겸허히 받아들이고 거기서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한수 아래 취급받는 일본 바둑
 
도쿄 에비스에서 열린 시상식에서 이야마 유타 기사는 그 자신이 무엇을 해야하는 지 잘 알고 있는 것 같아 보였다. 그는 수상 소감에서 이런 말을 했다.
"세계 대회에 나가서 대국을 펼치는 것이 어린 시절부터 꿈꿔오던 목표였습니다. 중국과 한국 기사들과 대국을 하다가 보면 왠지 한수 아래 취급 받고 있는 듯한 느낌이 듭니다. 그럴 때는 정말 속이 많이 상합니다."
그는 세계 최고라고 평가받는 중국과 한국 기사들의 바둑 기보를 매일 빠뜨리지 않고 살핀다. 바둑의 천재들이 대결을 벌이는 세계 대회의 대국에서는 언제나 간발의 차이로 희비가 갈린다는 것을 그도 잘 알고 있기 때문이다. 세계 대회 우승을 바라는 일본의 젊은 바둑 기사들이 그 꿈을 언젠가는 꼭 이뤘으면 한다.
 
소스 tokyo-np.co.jp
 
 
001.jpg

 
002.jpg
 
 

아래는 2ch 바둑스레드 반응입니다.
 
 

ID:jUTPHARl
과연 이야마랑 이세돌의 실력이 호각세일까?
세계 대회에서 한번도 우승한 적이 없는 바둑 기사와
세계 대회에서 16번이나 우승한 바둑 기사가 호각세일까?
 
 

ID:qnTZoDqV
과거 우승 경력이 현재의 실력을 증명하는 지표는 아니다!
 
 

ID:rd7VwiFq
최근 삼성배에서 우승한 이세돌과
세계 대회 전적이 전혀 없는 이야마가 호각세라고?
미쳤나?
 
 

ID:O25Yq5j5
내 귀에는 패자의 변명처럼 들린다.
과거 우승 경력은 아주 중요하거든!
 
 

ID:1RGZ1mFt
지금의 바둑계는 절대 강자가 없는 춘추전국 시대이다.
그나마 중국이 좀 더 잘한다는 느낌!
 
 

ID:KIoLgCXW
이야마는 톱클래스 레벨이 아닌 기사한테도 진적이 있지!
그 이상은 말 안 하련다!
 
 

ID:rhENA574
이야마가 NHK배에서 우승하면 아시아 선수권에 출전할 수 있다.
과연 아시아 선수권에서 그의 실력이 얼마나 통할 지가 관건이다.
 
 

ID:j9DgU9Wp
이야마상을 너무 무시하는군!
"얼마나 통할 지가" 아니라 "세계 재패를 할 수 있을지" 정도의 실력이다.
비록 비공식전이었지만 금불산 국제 바둑전에서
구리, 이세돌 이런 실력자들을 꺾고 우승했단 말이다!
구리, 이세돌 둘 다 이야마의 실력을 세계 톱클래스라고 했단 말이다!
힘내라! 우리들의 희망 이야마!
 
 

ID:NzwMOxDb
이세돌이 물론 우승 경력은 많지만, 그의 바둑 기풍 덕을 많이 봤지.
요즘은 상대하는 기사들도 그의 바둑 기풍에 대비를 많이 하는 터라
그 뽀록이 통하지 않고 있다.
순수하게 바둑 실력으로만 본다면 중상위권 정도가 타당할 듯.
이야마는 중하위권 정도니까 실제로 붙어보면 호각세로 싸울 수도 있을 듯...
 
 

ID:vZAzCdAU
이 놈은 이세돌을 너무 얕잡아 보고 있네 ㅋㅋ
요즘 아무리 젊은 애들이 치고 올라온다고는 하지만,
객관적으로 봐서 이세돌의 실력이 그 정도는 아니지,
세계 톱클래스라는 건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
나도 이야마가 열심히 해서 실력을 더 키웠으면 하지만,
 
 

ID:v19eUarH
서글픈 현실이지만 이야마 한 명으로는 부족하지.
요즘 일본 바둑 기사들이 전체적으로 다 부진하다.
세계 대회에서 이야마 말고 다른 일본 기사들이 더 활약하지 않으면,
이야마에 대한 평가도 세계 톱클래스까지는 올라가지 않을테니까.
그 만큼 지금의 일본 바둑계가 부진하다는 증거다.
 
 

ID:j9DgU9Wp
세계 대회에서 이야마 혼자 활약한다 해도 그에 대한 평가는 당연히 올라갈 거다.
왜 실력이 부족한 다른 일본 기사들이랑 도매급으로 평가받아야 하냐?
나는 요즘 이야마한테는 기대를 걸고 있다.
아직 세계 대회에서 무쌍모드가 발동되지는 않았지만,
이미 구리, 이세돌 이런 강자들과 동급이는 평가를 받고 있으니까^^
 
 

ID:qmPDUQ4/
금불산 국제 바둑전에서 이야마가 구리와 이세돌을 꺾었다는 얘기는
일본 바둑팬들에게 정말 기쁜 소식이었다.
지금처럼 계속 실력을 쌓는다면 그를 비난하는 댓글도 사라지겠지.
 
 

ID:3G6fyCjS
바둑 기보만 봐서는 그 사람이 얼마나 강한지 알 수 없다.
직접 대국을 해봐다 그 사람의 진짜 실력을 알 수 있다.
앞으로 직접 대국을 펼칠 날도 있겠지.
정말 기대된다!
 
 

ID:j9DgU9Wp
이야마 하루라도 빨리 무쌍 모드에 들어가서 다 쓸어버려라!
한 수 아래인 일본 바둑계에도 천재 바둑 기사가 있다는 사실을
세계에 알려주길 바란다!
 
 

ID:+KtdFG1C
기대가 너무 큰거 아니야?
그러다가 1회전에서 무명의 중국 기사한테 지면 어쩌려구 ㅋㅋ
 
 

ID:j9DgU9Wp
역시 여기에도 한류빠들이 득실대는구나 ㅋㅋ
 
 

ID:ziwwn7Dz
세계 대회에서 좋은 활약을 펼치려면 지금 양성되고 있는
중국의 어린 바둑 기사들이 프로 데뷔하기 전인 지금을 노려야 한다.
 
 

ID:xLvDHY3r
바둑은 이미 중국이 다 휩쓸었다.
최철환, 박용훈보다도 못두는 것 같구만...
 
 

ID:vZAzCdAU
일본 여자 바둑 기사인 샤이밍도 좋은 성적 거뒀으면 좋겠는데,
요즘 하는 거 보면 영 아닌 듯.
여자 바둑 기사들은 중국이 잘하지.
 
 

ID:oDI3fTpR
이세돌을 낮게 평가하는 사람은 뭐냐?
싸움을 좋아하는 그의 바둑 기풍이 싫은거냐?
아니면 그저 한국에 대한 열등감이냐?
그리고 이야마를 너무 띄우는 것 같다.
일본내에서는 무쌍모드로 양학하고 있지만,
한국 2단이랑 붙어서 졌다는 거 모르냐?
3년 전에 TV아시아배에서는 이창호한테 아무 것도 못하고 완패했다.
기대를 하는 건 좋은데 평가는 객관적으로 해라!
 
 

ID:iX7ZuzMA
이야마가 이세돌한테 이겼다는 얘기는 왜 빼고 하냐?
 
 

ID:lMKz+N52
이야마는 일본 바둑 기사 중에서 유일하게 이세돌한테 3승을 거둔 기사다.
이세돌이랑 대국하는 것 자체가 일본 바둑 기사들한테는 정말 하늘에 별따기다.
 
 

ID:iX7ZuzMA
그리고 한국은 원래 단수가 바둑실력이랑 별 상관이 없다.
이세돌도 한국에서는 자기보다 낮은 단수의 기사랑 대국해서 진적도 있다.
 
 

ID:KSOkMBad
나중에 이야마가 이세돌이랑 대국을 펼친다면 장기전으로 끌고가는 게 좋다고 생각한다.
3시간 안에 끝내려고 한다면 10번중 8~9번은 질게 분명하다.
 
 

ID:PyifqN4A
이세돌이 은퇴하는 건 좀 아쉽지만, 미국에 바둑을 보급할 수 있다면
그것도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한다.
 
 

ID:0Qave9J+
2012년 12월 세계 랭킹 1위가 이세돌이다!
 
 

ID:g6VppVqu
이세돌이 은퇴한다고? 낚시 아니야? ㅋㅋㅋ
 
 

ID:dIJ8y8Cm
이세돌이 세계 랭킹 1위야! 이야마는 상대도 안되겠네.
 
 

ID:ILwYmCam
이 스레드에도 한류빠들이 많구나...
 
 

ID:A+P2MzlO
작년 농심배에서 한,중,일 대결이 있었는데 일본 팀은 1승도 못해보고 전멸했다!
이게 지금 일본 바둑의 현실이다.
 
 

ID:yiCXyK/e
차이가 점점 벌어지고 있구만!
지금 일본 바둑 수준이 현상유지된다고 해도
중국과 한국의 바둑 수준은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결국 차이가 벌어질 수 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ID:8w0krMAU
요즘 중국 바둑보면 '우 칭위엔'같은 기사만 양산하고 있는 것 같아서
그다지 바람직해 보이지 않는다.
왠지 너무 오바하고 있는 것 같은 느낌...
우 칭위엔 - 현대바둑의 효시가 되는 신포석을 만든 중국 바둑 기사
 
 

ID:Lj0AOjc5
이세돌팬들은 이세돌을 너무 과대평가하고 있는 것 같다.
이세돌의 바둑 실력은 중국 톱클래스 기사들 중에서도
하위권 정도의 실력일 듯.
 
 

ID:LmYVOgbC
이창호나 이세돌도 시간 제한없는 밤새도록 두는 바둑에 관심이 있다고 했는데,
한국에서는 이런 바둑 대회에 스폰서가 안 붙겠지.
 
 

ID:LmYVOgbC
세계 톱 레벨의 바둑 기사 실력을 일개 바둑팬들이 평가한다는 게 참 우습다.
그 사람들의 심오한 수싸움을 우리가 어떻게 이해하냐!
그냥 대국 몇 번 보고 누가 더 잘 둘지 어설프게 추측할 뿐이지.
 
 

ID:kAQwu75u
최근 일본 바둑의 실패를 보고 판단하시길...
 
 

ID:TACHoXRy
일본 바둑 기사들이 획득한 타이틀은 전부 타이틀 방어전 성격의 대회였지.
근데 이세돌이 세계 대회에서 획득한 타이틀 수는 20개가 넘는다.
그것도 전부 토너먼트 대회였다.
게다가 그 상대들도 전부 세계 톱 클래스의 강호들이었고.
 
 

ID:i5AvNmn1
세계 대회 타이틀 20개 획득한 게 뭐?!
 
 

ID:uuyPYWkT
요즘은 한류빠보다 지나오덕들이 더 문제다 ㅋㅋ
 
 

ID:/FGRUbmc
지나오덕들이 늘어나고 있는 건 어쩔 수 없는 현상이지.
바둑계에서 요즘 제일 가는 바둑기사들이 중국 기사들이잖아.
몇 년 전까지만 해도 이세돌이 선전했지만, 요즘은 또 중국 기사들 판임!
 
 

ID:1xp4tDc9
뭐가 지나오덕이라는 거냐!
요즘 중국이 바둑에서는 제일 강하잖아!
그걸 인정 못하고 아직도 이세돌타령하는 한류빠들이 더 문제지!
 
 

ID:If9O20DF
나라 전체의 바둑 수준으로 치자면 중국이 제일 높지만,
바둑기사 개인의 실력으로 따진다면 한국이 제일 강하다.
세계 대회에서 두 자릿수 우승을 차지한 사람은 이창호와
이세돌밖에 없다.
객관적인 자료를 봐도 딱 알 수 있는 사실이지!
 
 

ID:km0sJ1nl
나라 전체로 따진다면 중국 바둑이 제일 강하지만,
개인으로 따진다면 이세돌이 지금도 중국 톱 레벨 이상이라고 생각한다.
실제로 요근래 1년 동안 세계 대회에서 가장 많이 상위권에 진출한 사람은
이세돌밖에 없다.
 
 

ID:gqE0YnfB
근데 한국도 이세돌이 말고도 세계 대회 4강에 진출할 만한 선수들이 10명 이상은 있다.
물론 바둑 인구는 중국이 압도적으로 많겠지만, 실력으로 따진다면 이세돌이 있는 한국이 조금은 더 우위일 듯.
 
 

ID:A+P2MzlO
바둑 세계 랭킹
2013년 1월
이름    소속       점수
1 이세돌 한국기원 9851
2 구리 중국기원 9800
3 陳耀燁 중국기원 9761
4 時越 중국기원 9731
5 朴廷桓 한국기원 9686
6 彭立尭 중국기원 9665
7 檀嘯 중국기원 9650
8 柁嘉熹 중국기원 9646
9 崔哲瀚 한국기원 9638
10 范廷鈺 중국기원 9633
11 元晟湊 한국기원 9617
12 周睿羊 중국기원 9607
13 王檄 중국기원 9605
14 趙漢乗 한국기원 9599
15 白洪淅 한국기원 9590
15 謝赫 중국기원 9590
17 金志錫 한국기원 9578
18 朴文尭 중국기원 9555
19 姜東潤 한국기원 9546
20 半昱廷 중국기원 9543
21 金昇宰 한국기원 9525
22 朴永訓 한국기원 9523
23 江維傑 중국기원 9516
24 毛睿龍 중국기원 9512
25 李映九 한국기원 9511
26 胡耀宇 중국기원 9509
27 劉星 중국기원 9490
28 連笑 중국기원 9489
29 孔傑 중국기원 9485
30 邱峻 중국기원 9481
30 唐韋星 중국기원 9481
32 尹畯相 한국기원 9480
33 鐘文靖 중국기원 9473
34 이야마 유타 일본기원 9471
35 李昌鎬 한국기원 9461
36 李喆 중국기원 9458
37 李志賢 한국기원 9453
38 党毅飛 중국기원 9442
39 彭筌 중국기원 9436
40 羅玄 한국기원 9432
41 許映皓 한국기원 9424
42 古霊益 중국기원 9418
43 楊鼎新 중국기원 9417
44 鶉光亜 중국기원 9411
45 李康 중국기원 9404
46 姜儒澤 한국기원 9392
47 孟泰齢 중국기원 9387
48 卞相壹 한국기원 9385
48 安成浚 한국기원 9385
50 周賀璽 중국기원 9381
 
 
 
ID:8w0krMAU
한중일 세 나라 중에서 바둑을 가장 잘 두는 나라는 한국인 듯.
포커페이스에 끈기도 강하고 헝그리 정신도 있고 게임을 하는
뇌도 가장 우수한 것 같다.
머리 자체도 일본인보다는 한국인이 더 좋은 것 같고.
아는 사람 중에 한국인이 한 명있는데 일본인과 다르게 사람 속이는 걸
밥먹듯이 하더라. 그런 부분에서는 일본인과 정말 많이 다른 것 같다.
민족 자체가 침략을 많이 받았던 민족이라서 그런지
헝그리 정신으로 무장한 것 같고...
쓰다가 보니까 왠지 한국인을 비하한 것 같은데
나는 한국 바둑 기사 중에 좋아하는 사람도 많다.
 
 
 


번역기자: 드래곤피쉬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모든 번역물 이동시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Creative Commons License
번역기자 : 드래곤피쉬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대한사나이 13-02-18 23:44
   
바둑은 한국, 떼국, 쪽국 이세나라밖에 안하나요?
     
천리마 13-02-19 00:04
   
대만도 있습니다. 일본은 대만과 실력이 비슷할듯함.
          
♡레이나♡ 13-02-21 08:45
   
대만은 나라가 아니니 무효 ㅇㅁㅇ! ㅋㅋ
     
Landscape 13-02-19 00:20
   
일본 대만은 섬이라는 구조때문에 특유의 컴플렉스가 있는데 바로 대륙컴플렉스
대륙권 국가 선수만 만나면 공포를 느끼고 스스로 기세에 밀려서 자멸하길 잘해요
반면 한국인이나 중국인들은 일본 대만인을 좀 못난 인종 x숭이 취급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일단 기백에서 앞서고 들어간다는거죠
          
realquick 13-02-19 02:35
   
재밌네요. ㅎㅎ
          
우왕ㅋ굿ㅋ 13-02-19 15:33
   
ㅋㅋㅋㅋㅋ
          
농협센타 13-02-19 21:05
   
진화가 다르기 때문에 구지 비유하자면

한국 중국 = 웅장한 대륙 호랑이

일본 대만 = 수마트라 섬 호랑이
          
♡레이나♡ 13-02-21 08:45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별기군 13-02-18 23:46
   
우왕 순위권 굳
룬드그렌 13-02-18 23:46
   
일본이 좀 잘좀해야 바둑이 더 볼 맛 날낀데 일본은 한 수 아래가 아니라 수십수 아래임
오죽하면 이세돌이가 미국에 바둑을 전파 하겠다고 선언했겠노..
맨날 한국 중국 대결이라....
꽃피는봄 13-02-18 23:47
   
한수정보가 아닌데 삼수 그 이하지 현실이
     
농협센타 13-02-19 00:03
   
개인적으로는 일본은 더이상 가망이 없다고생각합니다. 바둑뿐만 아니라 모든게 다 시궁창임

예나지금이나 마찬가지이기에 앞으로도 그럴꺼라 생각하구요 (운좋게도/특별히 샛별같은 존재가 등장할수는 있겠으나 그사람이 순수 일본인은 아닐것같은 예감)

알고보면 중국도 한국바둑의 기전을 조직적으로 연구분석하면서 그나마 발전한거죠. 그러면서 조금씩 따라붙고.그럼에도 한국바둑은 계속해서 새로운 인물, 새로운 기전으로 변화를 추구한다는점에서 선도적역할을 계속 해줄꺼라 생각합니다.
물론 많은 노력과 뒷받침이 있어야하는건 필수겠지만요.

중국 바둑은 중국 체조 선수들처럼 혹독하게 감금시키고 교육을 받습니다..조그만 방에 수십명씩몰아넣고 거기서 자고먹고 바둑을위해 생활한답니다. 이들이 세계대회에 우승하면 바로 돼지에서 용이 되는거죠 그래서 중국 어린 신예들이 세계대회에 좋은 성적을내긴 합니다.

요번 응씨배는 한국 신예와 중국 신예의 자존심걸린 결승전 박정환 - 판팅위 결과가 기다려지죠
노호홍 13-02-18 23:48
   
일본 우익분들도 한국 바둑은 인정하더군요.
     
아궁이 13-02-19 20:44
   
우익분들??
이보영 13-02-18 23:50
   
조훈현 - 이창호 - 이세돌 이 후 한국바둑의 위치를 1위로 지킬 인물이 나타날지는 의문입니다. 이미 바둑기사들의  평균실력은 중국이 한국을 넘어섰어요..
     
천리마 13-02-19 00:11
   
저위에 세계랭킹 5위에 올라 있는 박정환9단은 이미 한국랭킹 1위에 오른적도 있는,포스트 이세돌에 가장 근접한 천재이며, 40위에 올라있는 나현도 전도가 유망하고, 지난번 이창호를 꺾어 세간의 관심을 모았던 신진서, 그전에, 25위에 올라있는 이영구구단을 꺾은 이동훈초단 같은 경우도 한국바둑의 미래를 짊어질 천재들 입니다.
     
lovelife 13-02-19 15:40
   
바둑의 열기와 관계가 있어 보입니다. 한국바둑열기는 이창호전성기에 최고조였고 당시 바둑학원들도 많았죠.
그후 바둑이 큰 돈이 되지 않는다는 인식도 생기고 두뇌발전이나 학업에 큰 도움이 안된다는 인식이 번져 바둑학원이 침체하면서 우수인재들 유입이 줄어들었죠.
이대로 가다간 중국천하를 막긴 쉼지 않을 것 같습니다.
대안은 좀더 바둑을 국제화 세계화해서 세계기전의 규모나 회수를 늘리는 방식이 있죠.
바둑도 골프처럼 국제적 세게적 대회가 많이 열리고 상금규모가 늘어간다면 다시금 비약적인 도약도 가능합니다.
결국 바국인기와 세계대회상금이나 회수는 비례하는데,
인기가 먼저이냐 세계기전규모나 회수를 늘리느냐의 닭과 계란의 관계.
바둑인들이 더 노력해서 이창호 이세돌 같은 대기사를 많이 낼 수록 그들 상금규모와 인기도 넓어져 바둑인들 삶도 행복해진다는 것.
노력한만큼 보상이 따른다 하겠죠.
일단 한국기원의 마켓팅 노력이 선결과제입니다.
기업들이나 외국과 접선을 늘리면서 좋은 대회나 해외보급을 늘리고
올림픽 아세안게임 정식종목으로 채택되도록 노력해야합니다.
줍세 13-02-18 23:50
   
이세돌: 중국에서 열리는 대회인데 항상 내가 우승해서 미안합니다 ^^
옵형 13-02-18 23:50
   
바둑좀 배워둘걸.....흠
후소린 13-02-18 23:51
   
ID:8w0krMAU
한중일 세 나라 중에서 바둑을 가장 잘 두는 나라는 한국인 듯.
포커페이스에 끈기도 강하고 헝그리 정신도 있고 게임을 하는
뇌도 가장 우수한 것 같다.
머리 자체도 일본인보다는 한국인이 더 좋은 것 같고.
아는 사람 중에 한국인이 한 명있는데 일본인과 다르게 사람 속이는 걸
밥먹듯이 하더라. 그런 부분에서는 일본인과 정말 많이 다른 것 같다.
민족 자체가 침략을 많이 받았던 민족이라서 그런지
헝그리 정신으로 무장한 것 같고...
쓰다가 보니까 왠지 한국인을 비하한 것 같은데
나는 한국 바둑 기사 중에 좋아하는 사람도 많다.
 ------------------------------------------

마지막놈 분석이 좀 심오하네

침략만 니들처럼 안받았으면 니들은 걍 졷밥이지
stabber 13-02-18 23:51
   
이야마 유타 10대에 입단했을 때만해도 천재라더니
결국 국제기전에서는 64, 32강 광탈이라는 게 현실 ^^
우리도 이세돌9단이 현역은퇴..언급해서 불안하긴하죠..
중국 저변이 넓고 평준화되서 국제기전에 강한 기사가 필요..
웅컁컁컁 13-02-18 23:51
   
원래 죠댕이 터는 거는 팬들이 더 잘 한다.

여러개 막 던지다가 하나 걸리면 괜히 기분이 좋거든.
1234567 13-02-18 23:52
   
한국을 부정하려고 중국 기사들 빨아 제끼는 꼬라지 보소.... 비참하다


그나저나 마지막 원숭이 댓글 보고 빵터졌네
몽키헌터 13-02-18 23:53
   
한국, 중국 바둑은 오로지 싸움 뿐인 난장판 바둑이고...
품위있는 일본바둑은 모양이니 조화니 개소리 하며 자위하던 적이 있었지....
몇십년 판판이 깨지고 있으니까 이젠 저런 개소리 하기도 머쓱해진 모양이네...
계속 그 우아한 조화바둑 어쩌고 하며 정신승리 해야지 ...안구래 ??
Corea 13-02-18 23:54
   
요즘 일본은 이야마 유타 빼면 대만한테도 바둑 발리는것 같던데.....
신기하게 일본은 잃어버린 20년이 시작되면서부터 바둑에서 힘을 잃기 시작했음..90년대 중반까지는 그래도 어떻게 어떻게 버티다가 90년대 중반이후로는.....요다 인가 그넘이 가끔씩 이창호 잡았었는데...
나름 바둑 6~7급까지 뒀던 사람으로써 요다 빼곤 기억이 안남..-0-
     
lovelife 13-02-19 15:50
   
일본바둑의 쇠퇴는 신문바둑의 쇠퇴와 비례하겠죠.
사실 바둑이나 장기나 매력은 비슷하지만 수순을 한 장면으로 이해하는데 바둑이 낫지요.
장기는 좀 더 복잡하고 화면해설에 어려움이 있으니까요.
한데 동영상 인터넷 시대나 영상 TV시대가 되면 장기의 핸드캡은 사라지고 장기의 박진감이 더 매력적인 요소로 다가옵니다.
일보은 아마도 90년대부터 장기인기가 급속히 늘어 지금은 바둑인기를 추월하지 않았나 모르겠네요.
바둑은 신문이라는 매체의 집중지원으로 융성한 측면이 큽니다.
신문의 시대가 저무니 바둑의 연재 강점도 사라지는 추세가 되었고 앞으로도 막기 어렵겠죠.
한국도 장기부흥의 시대가 도래할 수도 있습니다. 다만, 한국 장기는 좀 다양성과 박진감면에서 떨어지는 측면이 있어 보이던데, 한중일 통합룰을 도입하여 3국대회를 늘리는 방식이 장기계육성의 지름길이 아닐까 생각되는군요.
바둑도 분수령에 서 있겠죠. 바투는 바둑진화의 시도였으나 실패했고 앞으로 스피드 영상시대에 호소할 적절한 방식이 없다면 시간이 없는 젊은이들의 바둑팬을 늘리긴 쉽지 않고, 그 미래도 불확실합니다.
나는 19줄 보둑도 좋지만 15줄 바둑을 시도해보는 것도 하나의 대안이라 믿어요. 그만큼 한판에 들이는 시간소모가 적다면 젊은층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니까요. 9줄부터 23줄까지 다양한 줄수의 바둑대화가 열리길 소망해 봅니다.
알틱 13-02-18 23:56
   
감사히 잘 보았습니다.
이보영 13-02-18 23:59
   
바둑의 미래를 위해서는 스스로 생각하게 하는 교육이 필요한데 지금은 당장의 성적에 급급해서 암산식으로 가르치니 미래가 어두운겁니다. 일본도 정석만 가르치다 지금 이렇게 된거
     
Corea 13-02-19 00:02
   
그런것도 있지만, 바둑계에서는 일본자국내 리그가 너무 거대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하는 모양이에요
왠만한 국내기전이 세계대전보다 상금이 높으니 그냥 대만 애들만 데리고 와서 일본 대만 끼리만 경쟁을 해서 갈라파고스화 되어서 못한다고 하더라고요..거기다가 일본내 바둑 인기자체도 많이 줄어들었고요...2000년도 들어와서는 대만기사들이 더 잘한다고 들었는데 최근에는 모르겠네요..
후히힛하핫 13-02-19 00:01
   
이세돌 하고 그 우리나라 천재 바둑 기사 꼬마애 하고 해서 이세돌이 졌는데 그이름이 뭐더라 ㅠㅠ
     
배신자 13-02-19 00:08
   
이세돌이 아니라 이창호.

이번에 신진서라는 꼬맹이가 이창호 이겼죠.
추한꽃 13-02-19 00:05
   
한국이 쩔지 14억이랑 5천만이랑 같냐 14억중에 겨우 저거밖에 못하는거 보니까 만약 일본처럼 1억 2천만이었음 일본이랑 다를바가 없음 5천만밖에 안되는데 저렇게 세계적인 기사들 다수 보유한 한국이 진짜 쩐다고 생각한다
smilla 13-02-19 00:07
   
바둑을 외국에선 '고'라고 하는데 그게 외국에 바둑을 널리 알린 일본이 바둑을 고(碁 : 우리 나라는 '기'라고 발음) 라고 부르기 때문이라고 하더군요.  그래서 김치라는 발음을 지킨 점은 너무 다행이라고 생각해요
     
천리마 13-02-19 12:15
   
일본은 과거에 바둑을 거의 전 기단 적 차원으로 서양에 보급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 영향으로 지금도 서양 에서는 바둑을 '고' 라고 하죠. 지금은 우리나라도 프로기사 개인적, 혹은 약간의 한국기원 도움을 받아 유럽쪽에 바둑을 보급 하고 있지만 많이 부족한 형편이죠. 윤영선 여류프로는 독일인과 결혼해서 그쪽에서 바둑보급을 하고 있죠. 그런 영향으로 지금은 점차 바둑 이라는 용어를 쓰기도 한다고 합니다.
둥가지 13-02-19 00:09
   
고스트바둑왕
산골대왕 13-02-19 00:09
   
바둑은 한국이 최고 아닌가요? 인구수도 얼마 안되는데.
     
천리마 13-02-19 12:50
   
인프라는 중국이 최고지요. 우선적으로 인구빨이 있고, 다음으론 바둑의 인기가 축구에 버금 가서 바둑의 영재들이 구름처럼 모여, 그 층이 두텁기 짝이 없습니다. 그러나 그중에서 최정상에 도달하는 천재들은 소수의 정해진 자들만 올라 가므로 결국 최정상에서 한국과 만날때는 결국 일대일 싸움이 되죠. 그 일대일 싸움에서 만나는 한국 천재들도 그들에 못지않고, 더욱이 한국도 치열한 경쟁속에서 성장 하기 때문에 정신력 만큼은 세계최고라고 할만 하기 때문에 결정적 순간에 빛을 발합니다. 대표적인 예가 원성진구단 이나 백홍석구단의 경우죠. 두기사는 각 다른 기전에서 동료 한국기사들이 모두 패하여 결국 3대일로 싸워 우승을 하여 중국인 들을 놀라게 하였지요. 지금 현재의 바둑 실력은 미세하는마 중국이 앞선듯 하지만 최정점의 실력은 비슷하고 정신력은 한국이 더 강한듯 합니다.
블루하와이 13-02-19 00:10
   
오호 ~

잘 보았습니다 ~
NEXUS 13-02-19 00:10
   
8년전에 내가 바둑 조금 배운 이유가 고스트 바둑왕이란 만화를 보고 였는데 정말 역설적이군요 그 만화에서도 한국인 바둑 기사 나오지 않던가요? 이름을 까먹었네요
굿잡스 13-02-19 00:16
   
ID:8w0krMAU
한중일 세 나라 중에서 바둑을 가장 잘 두는 나라는 한국인 듯.
포커페이스에 끈기도 강하고 헝그리 정신도 있고 게임을 하는
뇌도 가장 우수한 것 같다.
머리 자체도 일본인보다는 한국인이 더 좋은 것 같고.
아는 사람 중에 한국인이 한 명있는데 일본인과 다르게 사람 속이는 걸
밥먹듯이 하더라. 그런 부분에서는 일본인과 정말 많이 다른 것 같다.
민족 자체가 침략을 많이 받았던 민족이라서 그런지
헝그리 정신으로 무장한 것 같고...
쓰다가 보니까 왠지 한국인을 비하한 것 같은데
나는 한국 바둑 기사 중에 좋아하는 사람도 많다.

>>>>>>>>

아는 사람 중에 한국인이 한 명있는데 일본인과 다르게 사람 속이는 걸
밥먹듯이 하더라. 그런 부분에서는 일본인과 정말 많이 다른 것 같다.
???

캐소리 하네 방숭이들

2차대전 전범국이고 수많은 중범죄를 저지러고도 미화에 왜곡질 쳐하는 너희만 하겠냐.

그리고 대한민국이 지리적 위치로 싸움은 많아서도

대전 전적은 상당한 수준의 승률을 보인다.

(천년 사직 고구려 승률 보면 ㅎㄷㄷ한 수준이고.

남북국시대 금나라나 고려 역시 .. 조선도 초중기야 여진족 왜국 잡고 살아지.)



왜구처럼 우리 방패막이로 섬나라에 쳐박혀 훈도시나 차는 미개인으로

헛소리나 쳐하는 갈라파고수 방숭이 나라라랑 같겠냐.ㅋㅋ
     
드뎌가입 13-02-19 20:59
   
그러니깐
그래놓고 한다는 소리가 비하하려고 한게 아닌데 ㅋㅋ
순둥이 13-02-19 00:20
   
쪽국은 백 수 아래지.

번역 수고하셨어요.
ultrakoo 13-02-19 00:25
   
왜놈들이 논하는 꼴 보니 웃기군요
플리터 13-02-19 00:25
   
일본 열심히좀 해라 너무 못하면 재미가 없잖아 ㅋ
한놈만팬다 13-02-19 00:28
   
한수아래는 개뿔...한 세수이상아래지...요근래 국제대회에서 방숭이들 우승한거 한번도 못봤다..
oOoMMmm 13-02-19 00:34
   
고스트바둑왕에서는 아주 신의한수를 두더만..역시 망상애니였나
     
NEXUS 13-02-19 02:18
   
히카루의 바둑 마지막에 우리 겁나게 잘생긴 한국인이 주인공 발라버리고 만화 끝났음(명언도 날리고)
작가가 독자들한테 살해 위협도 받았다던데 (결말이 너무 허무한데다가 하필 마지막에 한국인한테 졌다는 것 땜에)
작가 왈 "현실이 그럼" ㅋㅋㅋㅋㅋㅋㅋㅋ
고프다 13-02-19 00:36
   
마지막 댓글이 웃기네 ㅋㅋㅋ

사람 속이고 등 뒤에서 칼 꼿는데 도가 튼게 방숭인데 ㅋㅋㅋ

진짜 방숭이들은 지들 꼬라지를 몰라도 너무 몰라 ㅋㅋㅋ
니가갈래 13-02-19 00:41
   
쪽국이 바둑바닥에서 안보인지 엄청오래됬는데 아직도 망상중인가
아기건달둘 13-02-19 00:46
   
그걸 이제야 알았다는게 미스테리
모노아민 13-02-19 00:46
   
제목 보고 인제 알았냐ㅉㅉㅉ ㅋㅋㅋ
친척이 기원에 계시기 때문에 알고 있지만 일본은 침몰한 지 오래입니다 ㅇㅇ 한국이 최강이에요 바둑은
ibetrayou7 13-02-19 00:48
   
자포자기 하다가 안 되니...
짱깨 빨고 있네요...
번역자님... 고생하셨어요^^
고독 13-02-19 01:15
   
ID:8w0krMAU
한중일 세 나라 중에서 바둑을 가장 잘 두는 나라는 한국인 듯.
포커페이스에 끈기도 강하고 헝그리 정신도 있고 게임을 하는
뇌도 가장 우수한 것 같다.
머리 자체도 일본인보다는 한국인이 더 좋은 것 같고.
아는 사람 중에 한국인이 한 명있는데 일본인과 다르게 사람 속이는 걸
밥먹듯이 하더라. 그런 부분에서는 일본인과 정말 많이 다른 것 같다.
민족 자체가 침략을 많이 받았던 민족이라서 그런지
헝그리 정신으로 무장한 것 같고...
쓰다가 보니까 왠지 한국인을 비하한 것 같은데
나는 한국 바둑 기사 중에 좋아하는 사람도 많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침략은 많이 받은 민족이라고? 니넨 옛날 고구려 백제 신라때 잇는줄도 몰랏다 그냥 섬에 처박혀 사는 원숭이 섬인줄알앗지 ㅋㅋ
약탈만해가는 나라아니엿나? ㅋㅋ 옛날부터 계속 깨지던 놈들이 말은 많네 ㅋㅋ 니넨 섬에서 니네끼리만 싸웟잔아 안그러냐? ㅋㅋㅋㅋㅋ한중일중에서 제일 약햇던 나라고 잇는줄도 몰랏던 섬나라가 일본이다 제넨 역사책도 않보나봐 아 다날조로 적어놧겟지
지넨 섬에서 지들끼리만 싸웟으니까 적을거나 잇나? 아잇다 태평양 전쟁일으키고 범죄국 된거 밖에
     
뭐이새끼야 13-02-19 12:52
   
그건 아님. 일본은 고구려 백제 신라와 교류가 있었음. 특히나 고구려와 백제가 많이 교류했구요. 동맹관계와 같이 친근했음.  당시 일본의 지배계층은 백제왕실이구요. 한국 내에서도 전라도지역에서 일본인 무사들의 유골이 발견되는 것도 그 이유에서임. 또한 일본으로 우리들의 많은 선조들이 넘어가 현재의 일본인 피에 많이 섞여있음.(도래인이라고하죠) 개인적으로 일본은 혈통에 문제라기보다는 섬이라는 특수성에 의해서 민족적 성격이 고착화된듯 싶네요.  혈통으로 따지면 한국인과 아주 가까운 민족이니까요.

그리고 고구려도 참으로 애매한게 당시 고구려 피지배층은 말갈, 거란 , 몽골과 같은 족속들임.
지배계층은 고구려인들이구요.  다만 피지배계층이라고 학대하고 그런건 아니고 동맹관계같은 요상한 구조였음. 당태조가 쳐들어왔을 때에도 고구려의 지배하에 있는 몽골용병들과 붙기도 했죠.(물론 몽골이 개깨짐. 그러나 고구려군에게 당태조 엄청 깨지죠. 당태조가 착실히 기반을 쌓고 올라온 인물이 아니었다면 수나라처럼 무너졌을 것임.)
          
햄돌이 13-02-19 17:45
   
전라도지역에 일본인 무사들의 유골이라니 전방후원묘 말하는건가
우리나라에서 왜구 유골이 발전된 적이 있었나
     
햄돌이 13-02-19 17:44
   
고조선때로 사람들이 열도로건너가서 살았는데 그 사람들이 야요이인들임
1차 2차로 나뉘는데
1차가 고조선 2차가 부여, 가야 정도 될듯
백제 고구려 신라는 그 뒤
우이잉 13-02-19 01:26
   
바둑만 한수 아래냐?
스포츠 대부분이 너희는 한국보다 한수 아래다
도제조 13-02-19 01:54
   
일본인들 절대 오해하지마
니들이 쪽발이라서 하는소리가 아니라
정말냉정하게 이야마인지 뭔지가

이세돌상대가 된다고 생각해??
시원한똥줄 13-02-19 02:16
   
지금 현제 쪽국 프로바둑은 우리나라 아마바둑정도 수준입니다
한수 아래가 아닙니다
쪽국애들은 다른 차원에서 놀고 있습니다
아쿠리스 13-02-19 02:23
   
바둑잘하면 병역면제임;;? 이창호 군대간걸로 아는데
     
시원한똥줄 13-02-19 02:45
   
바둑으론 면제 없죠
원래 방숭이 언론이 날조질 잘하잔아요
          
Nukas 13-02-19 03:18
   
바둑으로 면제있습니다.

정확하게 모르고 날조라고하는건... 일본이랑 다를바가 없습니다.

박정환기사가 금메달을 따서 군복무중에 제대한거 모릅니까?
               
쪽빛하늘0 13-02-19 08:24
   
명목상 바둑으로 면제가 있습니다. 아시안게임이나 올림픽에 나가서 우승하면요.
그런데 다음에 열리는 인천아시안 게임에서는 바둑이 제외됐습니다.
한국에서 열리는 아시안게임에서도 바둑이 제외되는 현실인데 올림픽에서 바둑을
볼 수 있을까요?
북경에서 금메달을 따낸 조한승이 군복무 도중에 제대혜택을 받았고, 박정환이도
면제됐습니다. 물론 금메달을 땄으니까요.
날조가 생활화된 일본 언론에서 날조를 하고 있는겁니다.
                    
시원한똥줄 13-02-19 11:55
   
매달을 획득할수가 없으니 면제가 없다고 하는겁니다
바둑국제대회에서 아무리 우승해봤자 면제 안되니까요
그래서 바둑협회에서 군생활중에도 바둑공부를 할수있게 바둑 특기자들을 상무나, 연애사병처럼 해달라고 하는데 그게 통과가 안되고 있답니다
          
천리마 13-02-19 12:55
   
바둑 면제가 있었지요. 일본의 부사통배나 대만의 응창기배등 에서 우승하면 병역면제 혜택을 줬는데, 부사통배는 없어지고, 더구나 바둑이 체육으로 포함 되어 아시안 게임에서 우승하면 병역면제가 되기 때문에 그런 일반 세계대회에서 우승하면 주던 병역면제 혜택이 없어진 겁니다.
     
Nukas 13-02-19 03:12
   
아쿠리스 :: 이창호는 군대를 공익으로 갔다왔습니다. (한국기원가 여러 바둑계인사들의 엄청난 로비(?)에 의해서요.. 그 이후에 세계바둑 3대 기전에서 우승하면 면제하기로했습니다.- 하지만 지금 기전자체가 없어지기도해서  거의 유명무실해졋죠)

군면제 시작은 국회의원들의 찬성으로 이창호9단을 시작으로 논의가 시작된것입니다.
     
자유생각 13-02-19 03:24
   
최근들어 축구의 월드컵, 야구의 WBC, 바둑 세계대회 등 특혜성 병역면제는 전부 폐지되었습니다.  다만 바둑도 스포츠로 분류되어서 아시안게임 우승, 올림픽 동메달 이상의 경우 여타 스포츠 종목 선수와 마찬가지로 병역면제됩니다.

그리고 이창호는 군면제 받았죠.  바둑 세계대회 우승, 준우승자에 대한 병역면제 법이 이창호 때문에 생겼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니까요.  이후 최철한, 박영훈이 세계대회 우승으로 병역혜택을 받았습니다.  이세돌도 병역 면제지만 세계대회 우승과 관계없이 개인사유로 판정을 받았다고 합니다.

2010 아시안게임 우승으로 박정환과 조한승이 병역면제를 받았는데, 조한승은 2009년 입대해서 군복무 중이어서 1년 복무하고 제대했습니다.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 종목에서 바둑이 빠지는 바람에 당분간은 프로기사들이 군문제로 고민이 많을 겁니다.
          
자유생각 13-02-19 03:30
   
윗 분 말씀대로 과거 세계대회 우승, 준우승자에 대한 병역혜택은 단순한 면제로 보기는 힘들겠네요.  공익근무가 맞고, 근무지가 한국기원이라서 바둑만 두면 되는 거였는데... 사실상 면제와 다를 바 없긴 합니다.
     
stabber 13-02-19 15:06
   
면제가 되는 국제 기전이 있긴 합니다 이창호씨를 위해서 만들어졌다고 할 수도 있는...
이창호선수는 공익으로 복무했고 이세돌씨는 학력미달로 면제받았지요. 우승시 군면제
혜택이 있던 국제기전이 동양화재배하고 후지쓰배 세계바둑선수권대회 정도였는데 동양
화재 망하면서 동양화재배는 없어졌고 후지쓰배 정도가 군면제 혜택..혜택을 본 기사들이
박정환, 최철한, 조한승, 박영훈 정도..다른 종목과의 형편성때문에 동양화재배 없어졌다고
LG배 세계기왕전이나 삼성화재배 월드바둑마스터스 같은 다른 국제기전에 군면제 혜택을
부여할 수도 없고 오직 왜국에서 주최하는 후지쓰배를 우승해야 군면제를 준다는 게 아이
러니하죠 ^^;;;
자기자신 13-02-19 02:43
   
잘 봤어요
풍사 13-02-19 03:43
   
난 어렸을 때 고스트 바둑왕보고 일본 애들이 바둑을 엄청 잘 두는줄 알았었지.. 후.. 하긴 결말보고 알게 됐지만
     
stabber 13-02-19 15:14
   
스토리 작가였던 홋타 유미씨가 한국기원 취재왔을 때의 조훈현 선생과의 인터뷰만 봐도
한국기사의 위용을 알 수 있지요. 조훈현 선생과 맞바둑을 둘 수 있는 연구생들이 많을
정도였는데 일본원생들은 과연 얼마나 될까 하고 생각했던 내용도 있고 당시에는 중국이
크게 치고 올라오기 전이라서 특히나 한국기사의 수준이 높았는데 원작자도 왜곡하지 않
고 결말을 내렸지요. 그덕분에 일본팬들이나 오바타 타케시나 회사로 부터 욕을 먹었다는
이야기가 퍼졌었고...
          
lovelife 13-02-19 15:53
   
스토리 작가였던 홋타 유미씨는 좋은 작품 많이 쓰는 듯 하더군요. 제목은 기억나지 않지만 이 작가 대단하구나 싶을때가 좀 있었어요. 누가 검색 좀 해보시길.
kungyeah 13-02-19 04:00
   
고스트 바둑왕 개념 결말 ^_^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위소보 13-02-19 04:27
   
일본 만화보면 다 그렇잖아요. 특히, 학원물, 스포츠물. 정말 만화로 보면 일본 고교가 최강이죠. 전국도 아니고 현내, 군내에서 1위 하기 위해서 만화책 수십권을 활애할 정도로 정말 몽상 같은 디테일을 갖추지만 진실은 그냥 고만고만한 학교가 승부하다 지고 이기는 것 뿐. 학원물도 무슨 운동 10단 이상 애들이 넘쳐나죠. 그런데 만화책 중간중간 보면 주머니 칼 하나 가지고 있는 애한테 그냥 개 발리다가 겨우 이기는 수준. 고스트 바둑왕이 어느정도 현실을 보여주는 것이 그래도 개념 만화라 할 수 있음.
하무드 13-02-19 04:38
   
왜???  그동안 엔고라서 밀렸는데 앞으론 엔저라서 이길거같으냐??? ㅋㅋㅋㅋ
잔향 13-02-19 04:55
   
일본언론에서 빠지지않는 그놈에 국책론
진짜 병이다
저러고 변명하고 싶을까
참 구차하다 구차해
항칼 13-02-19 06:40
   
이세돌 바둑은 같은 프로기사들 조차도 난해해서 이해하기 어려운 수준...
워낙 수읽기가 세서 포석만 잘 짜이면 이세돌 바둑은 아무도 못 이김.
이세돌이 지는 경우는 대부분 포석에서 망해서 짐.
포석에서 비슷하게만 가도 이세돌은 거의 안 짐.
포석에서 망하고도 역전을 밥먹듯이 시키는게 이세돌 바둑.
오죽하면 망하고 시작하는 바둑이란 말이 나올 정도...
바둑 내용을 어느 정도 이해하고 보면...이세돌은 현존 최강자일 뿐만 아니라, 역대 최강자...
돈빌려드림 13-02-19 07:39
   
이세돌을 이어갈 후배가 더 나와야 될거 같은데..
오캐럿 13-02-19 07:49
   
바둑 종목은.. 댓글들이.. 타 글타래에 비해.. 건전하게 보이는..ㅋㅋ

//드래곤피쉬/님.. 日 언론,韓,中,日 바둑 기사 반응.. 수고하여 주신 장문의 번역 정독으로 잘 봤습니다..^^!
tmxlr8848 13-02-19 08:20
   
잘봤습니다
쪽빛하늘0 13-02-19 08:34
   
이야마 유타가 어느 정도 강한건 알고 있지만, 세계 정상급에 명함을 내밀기에는 역부족이죠.
한국의 20위권 이내의 기사와 붙어도 50% 승률이면 잘한것이라고 보여지구요.
정상권에 많은 실력자가 몰려있는 중국에서라면 40% 승률도 버겁지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이야마는 한국 바둑의 새싹들인 이동훈을 필두로 변상일,신진서,신민준 그리고 쪼금 나이가 더 많은
나현(18세인가?)과 붙어도 버거워할거 같은데요.
     
stabber 13-02-19 15:16
   
네 천재 드립하며 치켜세워줬지만 현실은 한일 신예대결에서 박정환과 후지쯔배에서
붙어서 박정환 군면제 셔틀해줬지요 짝짝짝짝
쪽빛하늘0 13-02-19 08:46
   
어제 엘지배 결승에서 원성진이 스웨에게 졌는데, 아직 2~3국이 남아있지만 버거워 보이죠.
한국 바둑은 일본에 신경쓸 여유가 없습니다.
게다가 이야마 유타정도 되는 수준의 기사가 한 10명정도 되도 신경쓰이겠지만, 달랑 하나가지고...
중국만 바라보고 대처해 나가기도 바쁜 세상에 일본정도는..
일본은 중국,한국을 바라볼게 아니라 대만에 신경쓰는게 맞는거죠.
일본 바둑의 가파른 몰락세와 대만 바둑의 완만한 상승세가 그래프상에 만나는 시점이 얼마 안남았다고 보니까요.
일본 바둑이 4위권으로 밀리는 시점이 빠르면 2~3년 늦어도 5년이면 되지않을련지??
     
stabber 13-02-19 15:20
   
한국 중국 바둑의 차이가 없어진 게 꽤 됐지요. 이세돌 이후에 절대적으로 믿을만한
기사가 안보입니다. 이 와중에 프로은퇴 선언을 했으니...일본은 국내기전에서 지들끼리
상금 먹기 하며 현실에 안주하고 세계기전에서는 장쉬, 야마시타 게이고, 하네 나오키,
조치훈...거의 20년째 안바뀌는 느낌인데 그나마 한명 희망이 보이는 게 이야마 유타
정도 세대교체 바람인데 한중 최강급 기사하고 붙으면 또 그게 아니죠
     
천리마 13-02-19 16:57
   
중국 랭킹 5위인데 더 기달려 봐야죠..
블루카이 13-02-19 08:55
   
일본젊은 남자들은 머리쓰는건 할려고 하질 않지 일본바둑이 문제가 아니라 일본 젊은남자들 전체의 문제라고 보는데...오타쿠만 수천만명이 존재하는 나라에서 바둑같은 스포츠가 인기있을리가 있나 차라리 미소녀 바둑기사를 키우는게 훨씬 나을걸..이길때 마다 옷을 하나씩 벗는거야.그럼 바둑인기는 엄청날껄 변태 오타쿠 새끼들
임페라토르 13-02-19 09:24
   
바둑은 봐도 볼줄을 모르니 흥미가 안감.
요즘 해도 노인들만 하고 중년층도 잘안함..
풍류공자 13-02-19 09:52
   
아 방숭이들 정떨어진다...
마토토 13-02-19 10:17
   
ID:8w0krMAU
한중일 세 나라 중에서 바둑을 가장 잘 두는 나라는 한국인 듯.
포커페이스에 끈기도 강하고 헝그리 정신도 있고 게임을 하는
뇌도 가장 우수한 것 같다.
머리 자체도 일본인보다는 한국인이 더 좋은 것 같고.
아는 사람 중에 한국인이 한 명있는데 일본인과 다르게 사람 속이는 걸
밥먹듯이 하더라. 그런 부분에서는 일본인과 정말 많이 다른 것 같다.
민족 자체가 침략을 많이 받았던 민족이라서 그런지
헝그리 정신으로 무장한 것 같고...
쓰다가 보니까 왠지 한국인을 비하한 것 같은데
나는 한국 바둑 기사 중에 좋아하는 사람도 많다.


------------------------------------------------------------------

정말 재미있는 말을 하는구나.
하긴. 확실한건 너희 일본원숭이들 보다.
한국인들이 잔머리는 빠르게 잘 돌아간단다.

참고로. 한국인들은. 오랫동안 쓸수있는 제품을 만들수 있는데.
일부러 돈 벌어먹기 위해서. 조금 쓰다가 망가져버리는 그런 제품들을 생산하기도 한단다.
...들은 이야기지만... 어쨋든 이 말은 즉. 그만큼 머리가 비상하게 돌아간다는거야.
일본원숭이샤키들아 졶나 멍청하기도 정말 멍청한. 순진무구한 일본원숭이들아.
그리고 내가 더 화나는건. 너희같은 멍청이들에게 침략을 받았다는게...아오. 싑창.
복수는 안할께. 왜냐하면 복수하기도 불쌍한 날이 올꺼같거든.언젠가는...너희들에게..
지해 13-02-19 10:26
   
일본 힘내라....
숏커트 13-02-19 10:31
   
중국은 대량 생산 사이보그 공장에서 바둑기사를 찍어내는 느낌... 그중에 뛰어난 몇몇이 성공함..
한국은 큰 뇌용량을 바탕으로 안드로메다급 천재가 10년단위로 탄생하는 느낌.. 그 중간중간에 버금도 태어나기 때문에 상위권으로 갈 수록 강하고 상위권의 세대교체가 적절하게 이루어진다.
일본은 머릿속에서 부터 바둑과 맞지 않다는 느낌.. 너무 쫌스러워서 계속 몰락하고 있다..
써리원 13-02-19 10:55
   
전에는 바둑 그냥 그랬는데...고스트 바둑왕 보고 좋아짐 ㅋㅋㅋ
갸라미 13-02-19 10:55
   
그놈의 국가 지원 드립...학부모 열의. 지들이 멍청해서 못한다는 말은 못해.
mainlogo 13-02-19 11:03
   
이세돌 9단 며칠 전 은퇴선언하셨죠... 정상의 자리에서 은퇴하신다니.. ㅠ
     
천리마 13-02-19 13:11
   
이세돌 다운 통쾌한 결정 이지요. 미국에서 바둑을 보급 하겠다니 그의 행보가 기대 됩니다.
     
lovelife 13-02-19 15:59
   
정말입니까?
으... 과연 이세돌 답다는 생각도 드는군요.
확실히 작년부터 그의 위용은 많이 떨어진 감도 있었죠.
그렇지만 빨라도 상상을 절할 정도로 빠르군요.
다만 방향이 해외보급이라는 쪽은 대단히 고무적입니다.
해외보급만이 바둑의 세계화와 국제화를 추진해서 바둑계파이를 키우는 길이죠.
지금 우승상금이 3억이 최고급 대회라면 앞으로 10년 후엔 10억 정도 대회가 열릴지도 모르죠.
해외보급정도에 따라서 바둑의 세계화와 거대화는 결정될 것입니다.

사람은 어디서 어떤 일을 하느냐에 따라 가치가 결정되는데
이세돌이 최고의 기사를 향한 정진을 멈추었다고 해서 슬퍼할 일만은 아닌 것 같습니다.
세계1인자가 해외보급, 더구나 미국바둑보급에 나선다는 것은
포화사회를 벗어나 거대한 이민을 추진하는 것과 같은 의미입니다.
거대한 신시장을 개척하는 의미가 큽니다.
이세돌의 미국바둑보급은 세계바둑역사에 한장을 차지할 게 분명해요.
난 이세돌도 바둑도 대단하다고 믿지만 앞으로의 그의 활약에 더 기대감이 이는군요.
이세돌의 용기있는 대결단에 큰 박수와 격려를 드리고 싶습니다.
이세돌 화이팅~~!
     
stabber 13-02-19 16:31
   
근데 미국같은 땅덩어리 큰 나라에서 바둑보급이 과연 가능할지는 미지수네요...
서양애들도 바둑 두는 사람들이 예전부터 있긴 했지만 일반인까지 저변 확대는
쎈돌느님이라고 해도 심하게 힘들듯..본인이 내뱉은 말을 거둘 성격도 아니라
그냥 응원할 수밖에 없죠
          
천리마 13-02-19 17:00
   
여태까지의 해외보급은 은퇴한 기사들의 호구지책 정도의 감이 있었지만 세돌군은 천하제일인자 에서 바둑보급자로 자리바꿈을 하니 아무래도 이전기사들 보다는 영향력이 크겠지요. 그렇다 하더라도 어려운 길을 가게 되겠죠.
모라고라 13-02-19 11:10
   
불과 몇 년전까지 한국의 압도적인 우세였는데..
중국이 역시나 물량으로 치고 올라오네요~ ㅋㅋ
일본은 뭐.. ㅋㅋㅋㅋㅋ
휴지조각 13-02-19 11:18
   
우와 기사보면 한국정부가 꼭 바둑을 엄청 밀어주고있는것 처럼 써있네 ㅋㅋ
바둑으로 병역면제받은 사람 20년간 두손으로 꼽을만큼밖에 안된다는데=_=
adella 13-02-19 11:25
   
잘 보고 갑니다. 고스트 바둑왕 생각나네요. 진짜 마지막 권에서 살짝 라이토 닮은 한국 기사가 나와서 주인공 깨지는거 보고 순간 작가 이름 다시 확인했었습니다. 혹시 한국 작가인가 싶어서ㅋㅋㅋㅋㅋ.....(한국 사람에게 그렇게 대놓고 지는 주인공이 나온 일본 만화는 제가 본 것 중엔 이 만화밖에 없었기때문에 더 이상했어요.) 알고보니 작가가 만화 그린다고 일본 기사들 인터뷰도 하고 한국 찾아와서 기사들 인터뷰도 해 가고 그랬다네요.
쿨하게 13-02-19 12:42
   
이세돌 9단은  바둑 역사상 최고 최강의 수읽기 소유자 입니다
 같은  세력으로 전ㅣ는 투하면 그 누구도 못이기죠
근데도 이세돌 9단이  지는 것은
처음엔 이기기 위해 두는 것이 아니라
자유로운 실험방식ㄱ으로 그때그때
기분레 따라 자유롭게 두다 초반이 망해 지는 것입니다
..
세계대회 걀승에서도 이세돌 9단은 이 방식을 버리지 않죠
RECO 13-02-19 12:49
   
애초부터 원숭이가 바둑두는게 잘못.
북극곰돌 13-02-19 12:58
   
언제부터 한국과 중국사이에 일본이 껴있었음?? ㄷㄷㄷㄷ
Orphan 13-02-19 14:09
   
ID:8w0krMAU
한중일 세 나라 중에서 바둑을 가장 잘 두는 나라는 한국인 듯.
포커페이스에 끈기도 강하고 헝그리 정신도 있고 게임을 하는
뇌도 가장 우수한 것 같다.
머리 자체도 일본인보다는 한국인이 더 좋은 것 같고.
아는 사람 중에 한국인이 한 명있는데 일본인과 다르게 사람 속이는 걸
밥먹듯이 하더라. 그런 부분에서는 일본인과 정말 많이 다른 것 같다.
민족 자체가 침략을 많이 받았던 민족이라서 그런지
헝그리 정신으로 무장한 것 같고...
쓰다가 보니까 왠지 한국인을 비하한 것 같은데
나는 한국 바둑 기사 중에 좋아하는 사람도 많다.
 ..........................................



이자슥 묘하네.... 뭔소리야.....
사람속이는건 왜인들의 종특이지 뭔 개솔.....
본심과 겉심을 따로 두고있는 종특을 가지고 있으면서 참나...
고구마11 13-02-19 14:32
   
바둑 잘하는 사람 멋있어보여요 ^^
박정환아직 어리던데...유망주!\
로이드 13-02-19 15:18
   
일본바둑은 딱 갈라파고스화 덕분에 망했다가 어울릴듯
Bluebird 13-02-19 15:33
   
바둑 어렵던데 ㅋㅋㅋ
IceMan 13-02-19 15:37
   
중일 슈퍼 대항전 처음 열릴 때 너희가 했던 말이 생각나네.

조센진은 머리가 나빠서 바둑은 둘 수 없다고.

근데 요즘은, 한중전만 주로 열리지?

아, 진짜 격세지감 느끼네...

(조서유이 네분 사범님 감사드립니다~)
     
발해의혼 13-02-22 21:14
   
조훈현.서봉수.유창혁.이창호? 맞나요?

전 여기서 개인적으로 전투바둑이었던 유창혁 사범을 좋아했습니다..
우왕ㅋ굿ㅋ 13-02-19 15:46
   
잘보고 갑니다 ㅋㅋㅋㅋ
lovelife 13-02-19 16:07
   
일본바둑이 망한 것은 그 폐쇠성과 보수성에도 강한 이유가 있겠죠.
한국 중국의 외부의 강한 기사들을 거부하고 나약한 자국 기원기사들에게만 모호를 여는 폐쇠성이 일본바둑의 발전과 다양성을 저해했어요.
오픈제 기전을 늘리고, 나이든 기사와 성적 나쁜 기사들을 골프처럼 탈락시키면서 자격제를 재통과하게 하는 생생하고도 경졍력있는 기원제도를 운영했어야 하는데, 기득권세력의 이기심이 강하고 경쟁력있는 기사제도를 막은 셈입니다.
오픈해서 경쟁하지 않은 곳은 몰락이 있을 뿐이라는 교훈을 그들도 언젠간 인정하고 개혁을 시작하겠지만, 그 시점이 너무 늦지 않기를... 이미 많이 늦어졌지만.
우리라도 일본몰락의 타산지석의 교훈을 잊지 말기를.
유저님 13-02-19 16:18
   
국내 기사로는 서능욱 9단을 제일 좋아했지
국내에서 이보다 빨리 착수하는 사람은 없을 정도야
처음 한일전에 나와서 두었을때 그의 착수 버릇을 보고
일본인들이 깜짝 놀랐었지
상대방이 두자마자 0.5초도 안걸리도 바로 바로 착수하는 그를보고 상대가 당황했었지
내수를 읽고 있구나 하고
그다음은 유창혁
지금은 나이가 들었지만 정말 신진의 대표주자 젊은피였지 기풍도 그렇고
영원한 바둑계의 오빠 스타일
그다음은 서봉수 
이 사람은 말이 필요없지.....

그렇지만 제일 좋아하는 기사는 오송생 9단
작고 하셨고 한국인이 아니였지만
한국 바둑에 커다란 방향을 남기고 가신분이지
그의 기풍은 참고 참고 또 참고
바둑 보다가 해설자가 저렇게 참고도 둘수 있나요.. 를 연발하던
그의 인생만큼이나 참고 참는 바둑이지
그가 한국의 기전을 휩쓸지는 않았지만
그의 기풍에 후배들이 많이 배웠다는....
     
발해의혼 13-02-22 21:12
   
서능욱 사범님은 뭐랄까 바둑보다는 해설할때 특유의 말투가 바둑보다 더 쎈....ㅋㅋ
lovelife 13-02-19 16:25
   
한국바둑 쇠락의 원인 중 하나는 입단관문의 힘겨움을 들 수 있겠죠.
이세돌은 한국기원의 보수화와 싸워온 투사였습니다.
기사활동중지를 감행하는 초강수를 둔 적이 있었죠.
이때 이미 이세돌은 한국기원이외의 대안을 모색했을 법하고
그를 후원하는 이들도 아이디어를 제공했을 법합니다.
아직도 5년이상 최정상기사로 활동할 수 있는 그가 이토록 빠른 은퇴를 결정했다는 것은 한국기원의 보수성과의 투쟁이라고도 할 수 있겠죠.
난 그의 비국바둑보급활동이 그의 인생바둑에서 뛰어난 한수요 행마라고 믿습니다.
그의 헌신과 노력이 바둑의 세계화와 거대화에 크나큰 공헌으로 이어지고
모든 바둑인들이 그에게 은혜를 입은 고마움을 느끼는 시기가 언젠간 도래하리라 믿습니다.

한데요, 한국기원 문제가 많습니다.
실력도 없는 노땅기사들이 기득권으로 군림하면서 후진 기사들의 입단을 막고 있지요.
그 입단의 험난함이 결국 바둑학원들의 멸망을 초래하고 한국바둑의 위기를 초래한 셈입니다.
바둑도 골프처럼 상금순위가 낮은 기사들은 기전 자동출전권을 없애고 골프처럼 자격승부를 통과한 기사들만 출전권을 줌으로써 실력없는 프로들의 은퇴와 유망한 신진들의 진로를 원활히하는 경쟁력있고 활력있는 기원제도로 개혁할 필요성이 절실합니다.
입단의 문이 높아 프로를 꿈꾸지 못하고 바둑학원을 접는 원생들이 늘어나고 학원장들이 폐업하는 악순환을 막아야 한국바둑의 미래가 열립니다.
우린 너무 문턱이 높아 일본으로 유망한 기사들이 넘어가는 결과를 자초하지 않았습니까?
한국기원 스스로 그런 개혁을 못한다면 중부기원이나 대한기원처럼 경쟁기원들이 출현해야만합니다.
입단의 문턱을 대폭 낮춰서 누구나 의욕과 실력만 있으면 프로로 경쟁할 수 있는 체제를 이루는 것만이 바둑학원들도 중흥하는 길이며 어린 바둑인들을 대폭 늘리는 선순환과 한국바둑의 저력확대로 이어질 수 있으리라 믿습니다.
한국바닥발전의 적, 노땅기사들의 기득권은 버려라~!
     
천리마 13-02-19 17:12
   
프로입단이 너무 어려워도 문제 이지만 너무 쉬워도 문제 입니다. 요즘은 쉬워도 너무 쉽다고 세돌군이 말하더군요. 문제는 프로 지망생들의 공부방식을 지적하더군요. 옜날에는 깨달음을 주는 방식인 반면에 요즘은 부모들의 조바심 때문에 성과 위주의 교육 때문에 큰바둑이 될수 없다고 하더군요.. 생각해볼 문제 입니다.
팜므파탈 13-02-19 17:46
   
ㅋㅋㅋㅋㅋㅋ
개수작 13-02-19 21:12
   
원숭이는 바나나를 따는게 어울려
fpdlskem 13-02-19 23:41
   
* 비밀글 입니다.
patron 13-02-19 23:43
   
만화에서밖에 한국을 못이기는 불쌍한 왜인들 ㅠㅠㅠㅠㅠ
가출한술래 13-02-20 00:50
   
잘 보고 갑니다
qnftkwh 13-02-20 01:45
   
일본은 지금도 불쌍하고 앞으로도 불쌍 한 나라이니  뭐라해도 신경 안쓰는것이 정답... 바둑의 신의 경지에 있는 사람은  이창호 이고... 나머지는 최고 수준정도..
조현영 13-02-20 06:50
   
90년대 초반까지는 그래두 일본바둑 괜찮았어요.
독특한 기사도 많았구요. 실력도 좋았구요.
어릴때 기원가믄 교본같은거도 거의 일본교본이었어요 ㄷㄷㄷ
다케미야 우주류에 꽂혀서 바둑 시작한정도이니...포석같은건 오다케9단꺼 공부했구요.
근데 당시 일본바둑 최강자도 조치훈9단이니...이미 쇄락의 길은 그전부터 진행됐을지도 모르죠..
그 답답할정도의 폐쇄성이 지금의 일본바둑을 만든듯합니다.
yamoonai 13-02-21 08:15
   
ㅎㅎ. 세돌이 달리 세돌이냐?. 니들 보다 세수 앞선다고 세돌이지~~~이름 좋다.ㅋㅋ
♡레이나♡ 13-02-21 08:45
   
잘보고가여 ㅋㅋ
coke 13-02-21 15:08
   
어릴적 아빠가 어거지로 시킨 바둑... 관심도 없고 흥미도 안생기는데
어거지로 일주일마다 원고 같은거 배송오는거 배우는데 갑갑했는데 그때 바둑붐?
티비에 조훈현 일본스승아래서 제자로 생활하던거랑 스승이랑 대국하던거 방송본거 기억나넹
이세돌이 전투바둑이면 그시대는 유창혁?인가
coke 13-02-21 15:09
   
그떄 유창혁 4단시절인걸로 기억
새록새록하넹
바꾸네 13-02-22 17:18
   
어느새 일본이 이렇게까지 추락을? ㅋㅋ
한국은 이창호에 이어 이세돌이라는 걸출한 청년 기사가 계속 나타나주고,
앞으로도 그런 전통이 이어질 듯.. 한중일 삼국이 마찬가지만
특히 일본은 바둑에 유다른 집착,애착,자긍심이 있었는데...
경제가 육체라면 바둑은 정신적 자산의 지표라 할 수 있는데...
일본이 꺼져가는걸 느낀다.
최순실 17-10-12 00:03
   
잘보고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