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반응
HOME > 해외반응 > 스포츠 해외반응
[2ch] 바둑 강국이었던 일본, 중국과 한국에 추월
등록일 : 11-09-09 10:49  (조회 : 27,463) 글자확대/축소 확대 축소 | 프린트

세계 최고 바둑 강국이었던 일본, 중국과 한국에 추월, 계속된 침체

세계 최고의 바둑 강국이었던 일본이 긴 침체에 시달리고 있다.
중국과 한국에 추월 세계전(국제 기전) 우승 회수에서 크게 차이를 벌였다.
중한과의 젊은층 두께 차이는 분명이다.
8월, 일중한 3개국의 명인이 중국에 모여 열린 제2회 세계 바둑 명인 쟁패전에서, 일본의 이야마 유우타(22)는 작년에 이어 최하위에 그쳤다.
중국 언론의 관심은, 우승한 한국의 박영훈(26)보다 일본의 명인에 관심을 나타냈다. 왜 일본은 이길 수 없는 것인가.
이야마는 대답했다.「일본은 중국, 한국에 비해 나보다 젊은 세대에 강한 기사가 적다. 물론 나도 포함하여 좀 더 노력해야
한다」

그동안 한국 1강 시대였지만 이제는 중국 한국 2강 체제이다
중국과 한국에서는 기사가 집단으로 배우고 있지만 일본에서는, 기사가 매일같이 집단으로 배우는 경우는 적다.

일본 기원이나 간사이 기원의 프로 예비원생의 활동도 토,일요일에 한정된다. 젊은 기사를 위한 환경은 중한보다 늦는다.
일본 기원은 작년부터, 유망한 젊은이를 몇일간, 중국으로 보내 현지의 젊은 기사와 대항전을 하는 「강화 합숙」을 시작했
다.
한국 도장에서 기숙사 생활을 하면서 배우는 젊은이도 많이 있다. 지금은 일본이 중국, 한국에게 배우는 시대이다.
언젠가, 일본의 기사가 세계 최고가 되는 시대가 올지도 모른다.

바둑에서 세계전은, 대략 4반세기전에 시작했다.
그 역사에서, 일본이 강했던 시기는 초창기때 몇년뿐이며, 긴 한국 1강시대를 거치고, 중한의 2강 시대에 들어섰다.

<중략>


소스 아사히

바둑 세계대회 우승의 역사



ID:3wpd5u1Q0
일본은 이후 에로시대로 종료

 

ID:NLrKkVaO0
히카루의 바둑 세대는 아직 나오지 않는건가.
 


        ID:ENg1+v790
        만화를 읽고 즐기는 계층과 오로지 바둑을 좋아하는 계층은 완전 다르지.

 

        ID:+yUynuw/0
        연령적으로 보면 이야마 명인 정도일까? 
        하지만 이야마 명인은 히카루의 바둑과는 완전 관계없이 바둑을 시작했기 때문에
        히카루의 바둑 세대라고는 할 수 없을걸.

 


ID:9uc97pGu0
야마시타 다카시오(33) 어느새 이렇게 된거냐··

 

ID:3vI8AFFW0
아무튼 기다려라…라고 말하는거냐
 

ID:xVEHz65B0
재능있는 녀석은 장기로 가겠지

 

ID:ANxSxd1j0
중국과 한국에 지는 한심한 일본

 

ID:zp9wfNtIO
여자 축구만 이기면 좋아
카와스미 힘내라!

 

ID:CM9rfrlg0
바둑 강국, 이 표현이 상당히 맘에 안드네.

 

ID:nBJg4GBZ0
>세계 최고의 바둑 강국

강국?! 뭐야 이 표현은? 이런 표현을 보통 일본어로 사용하나?
이거 누가 쓴 기사야? > 아사히 신문

 

ID:LavpVImU0
원래 중국은 강했다고 생각해.
 


ID:Dn3THrjI0
도데체 오목과 바둑의 차이가 뭐냐
 


          ID:/61JbScC0
          중국 기원에는 오목(오목 바둑)의 프로도 있어.
          이걸 일본의 프로로 만들면 강할거야.
 

 


ID:0IDmNtfX0
일반적으로 황색인종이 가장 머리가 좋아. 21세기는 황색시대라구. 
그 중에서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몽골어는 언급하지 않는다)가 사용되고 있지만
언어의 완성도는 일본어가 최고지. 그래서 일본의 문명이 가장 진화한거야.
하지만 언어보다 직감적 통찰력을 필요로 하는 바둑등의 게임에서는 경기 인구층이 얇아서 일본은 안되는거고.

 

ID:9uc97pGu0
세계라고 해봐야 극동 아시아의 4개국뿐이잖아 w

 

ID:CFkF6WLn0
9단이 100명 이상이나 있는데 한 놈도 못이기냐.

 

         ID:/61JbScC0
         9단이 많은 이유는
         단수에 따라서 대국료가 다르기 때문이라고 하더라

 

ID:8XSAqr/Z0
일본의 바둑은 중국 축구와 같다.
 

ID:y6EM08kR0
중한에 대항할 수 있는건 요다뿐


ID:LG36lmu80
경기 인구의 차이겠지

 

ID:Co8MPOag0
바둑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려.
지금 시대에 적합하지 않은 경기야.

 

ID:+bKRfiqB0
왜냐하면 장기가 훨씬 재미있으니까···


ID:0Ktcn/dc0
일본이 세계 최고의 바둑 강국이었다, 라는 사실을 알고 있는 사람은 거의 없을거 같다 w

 

ID:HZeAQdpH0
이거 뭐 어쩔수 없군. 결국 내가 바둑을 해야하는건가


ID:52lUDW7o0
선수층이 얇아서
일본에서 바둑은 탁구 같은 수준으로 인기가 없기 때문이지

 

ID:/kItazoU0
이제 히카루의 바둑 세대가 프로가 되어 제일선에서 활약하는거다! ∼


ID:thd6vhKE0
훨씬 이전부터 한국이 강하지 않았던가?


ID:5pdIEKzM0
뭔소리들 하는거냐. 히카루의 바둑으로 인한 바둑 열풍도 이미 끝났구만 w


ID:3gThIYyM0
지금의 일본은 정말로 강한 녀석은 소수야.
중국이나 한국은 일본을 라이벌 따위로도 여기지 않는다구···

 

ID:REpUcyes0
바둑과 장기중에 초등학생에게 선택하라고 하면
90% 정도는 장기를 선택할걸.

 

ID:IJN5t+Yg0
바둑을 스포츠라고 말하기 시작하면서 부터 이상해졌군.
게임으로서 즐기면 좋은거잖아.
 


ID:g7Ce7SpN0
히카루의 바둑이 현실로?

 

ID:/61JbScC0
일본에서 바둑은 예도의 하나로 보지만
중국이나 한국은 완전히 스포츠 분야임.
그래서 축구 시합과 같이 승부에 집착하는거고.
 


ID:l3fwrrXL0
바둑은 상당히 오래전부터 중국이 강하지
소스는 히카루의 바둑임.
 


ID:ThFXL16P0
장기가 100배는 재미있지.
 

ID:NUoxBFD10
스레드 제목보고 한국의 조선일보 기사라고 생각했는데

 

ID:P9HoQfJpO
애플의 잡스가 바둑이 취미라고 하지 않았던가?


ID:E2bCT03I0
중한은 좀 극단적이긴 하지만, 일본도 어느정도는 경쟁 의식을 가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즐기는 것만으로는 성장하지 않으니까.

 

ID:0UneD91w0
Who is sai?

 

ID:MKbaIT3IO
히카루의 바둑에서 이미 한국 중국에게 한수 낮게 취급됐었지>일본


ID:zPXLn7Rk0
히카루의 바둑 덕분에 당시 초등학생의 바둑 인구가 100배는 증가하지 않았을까.

 

ID:CPDKHU0C0
이미 오래전부터 중국·한국이 위다.
일본은 바둑이 유행하지 않았으니까
이제 와서 새삼스럽게.
 


ID:1xryi0Tz0
오히려, 히카루의 바둑 영향을 받은건 한국 아니야?


ID:8aQd1UsK0
경기 인구가 적은데다가 프로로서 공부할 시간도 훨씬 적기 때문에
지는건 당연한거지.
 


ID:cqmg0k2n0
바둑은 경기 인구가 적은 데다가, 고령자에게 치우치고 있다는게 치명적이야.
중한과 수준 차이가 생기는건 어쩔 수 없어.

 

ID:DKzfo8XC0
결론
바둑보다 장기가 개런티가 좋음.
 


ID:EIxRtMu4O
히카루의 바둑이 재미있어서 전권을 샀지만, 아직까지 흰 돌과 검은 돌이 있다는 정도밖에 모르겠어.




번역기자:파일럿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모든 번역물 이동시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야구 게시판으로 바로가기

축구 게시판으로 바로가기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Creative Commons License
번역기자 : 파일럿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뿌잉 11-09-09 10:53
   
ID:0IDmNtfX0
일반적으로 황색인종이 가장 머리가 좋아. 21세기는 황색시대라구. 
그 중에서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몽골어는 언급하지 않는다)가 사용되고 있지만
언어의 완성도는 일본어가 최고지. 그래서 일본의 문명이 가장 진화한거야.
하지만 언어보다 직감적 통찰력을 필요로 하는 바둑등의 게임에서는 경기 인구층이 얇아서 일본은 안되는거고.

-----------------------------

지나가던 개가 웃는다..
     
알로하 11-09-09 11:39
   
우리집 개도 웃고있네요
          
불비 11-09-09 14:43
   
죄송합니다. 저도 웃었네요 ㅋㅋ
               
푸훗 11-09-09 16:36
   
아 죄송 저도 ㅋㅋㅋㅋ
                    
하수도 11-09-09 19:51
   
ㅋㅋ 저도 그만~  웃기지도 않네요 ㅋㅋㅋ
                         
유니 11-09-09 23:47
   
이번에 동물원 가보니 원숭이가 놀림 받던데요? ㅋㅋ
                         
우왕굳 11-09-13 16:15
   
ㅎㅎㅎ
          
센티메탈 11-09-10 12:24
   
작년 벤쿠버올림픽 순위

1위 캐나다 14 7 5 26
2위 독일 10 13 7 30
3위 미국 9 15 13 37
4위 노르웨이 9 8 6 23
5위 대한민국 6 6 2 14
스위스 6 0 3 9
중국 5 2 4 11
스웨덴 5 2 4 11
오스트리아 4 6 6 16
네덜란드 4 1 3 8
러시아 3 5 7 15
프랑스 2 3 6 11
호주 2 1 0 3
체코 2 0 4 6
폴란드 1 3 2 6
이탈리아 1 1 3 5
벨로루시 1 1 1 3
슬로바키아 1 1 1 3
20위 영국 1 0 0 1

최근 올림픽 성적을 보면 일본이란 나라는 보이지도 않는데

저런 나라가 무슨 바둑이 강국이였다고 ㅎㅎㅎㅎ

열등한 섬원숭이는 걍 게이트볼을 발전시키는 수밖에 없다
               
최강이다 11-09-11 15:06
   
바둑애기에 올림픽 성적이 왜나옴??

그리고 위에보면 80년대는 일본이 거의다 우승했구만

무슨 눈을 뜨고 보는건지

완전 자료 무시하고 막무가내로 일본 비판하는 당신이나 2ch 놈들이나 똑같음
     
네루네코 11-09-09 12:34
   
아우 일본어를 공부하면서 얼마나 한글이 대단한지 느꼈는데 ㅋㅋㅋ

아니 지들말로 형용사가 다 표현이 안되서 영어를 그대로 가져다가 쓰면서 지들 언어가
완성도가 높아? ㅋㅋㅋㅋㅋㅋㅋㅋㅋ

그리고 발음도 'ㅓ' 발음이 안되서 이상하게 영어 발음하는 케이스가 산만큼 쌓였는데 ㅋㅋ

정말 저 글 쓴놈은 양심의 'ㅇ'자도 없는넘이네요 ㅋㅋㅋㅋ
          
푸훗 11-09-09 16:37
   
대전입니다만
엑스포를 일본인 친구가 에크스포 라고 말하는걸 보고
아...역시 일본인 이구나 라고 생각한ㅋㅋ
          
비슨 11-09-09 19:31
   
어느 나라나 형용사는 표현이 됩니다.

외래어를 차용하는 건.. 주로 명사이고,
이건 한국도 마찬가지입니다.
다만 명사나 형용사나 한자어가 많은데
중국식과 일본식 한자어를 그대로 들여온 게 많죠.


또하나 발음에 관해선

ㅓ 라고 써도
[∂,Λ,⊃]..상황에 따라
지역이나 시대에 따라 다릅니다.
(*발음기호가 표시가 안되네요..)


현재 경상도엔 'ㅓ'발음을 못하고(모음은 6개),
젊은이들일 수록
장단음, 이중모음이 소실되고 있고,

'ㅓ'발음이 약화되고 있습니다.

또하나 세계엔 'ㅓ[∂]' 발음이 거의 없습니다.
대다수의 언어들의 모음은 <ㅏ,ㅔ.ㅣ.ㅗ,ㅜ>..니까요.


그리고 한국인들 유무성음 구별 못해서
한국인들도 금방 티가 나기도 합니다.
               
핵해 11-09-09 21:05
   
세계 어느 세계?일본의 망상세계?

Sunny 는 <써니> 아니고 <싸니>요?
Girl은 <걸(거얼)> 아니고 <굴>입니까?

망상은 작작.
                    
비슨 11-09-09 21:38
   
ㅓ 발음은 [∂]발음 납니다.

영어의 [Λ]발음은
ㅏ와 ㅓ의 중간음으로 납니다.

물론 ㅓ 발음은
지역마다 조금씩 달라서
북쪽으로 갈 수록 원순모음화하고,
남쪽으로 갈 수록 비원순 중설로
'ㅡ'에 가깝게 발음합니다.

영남지방은 'ㅓ'발음 자체가 없습니다.
(경상도는 한국사람 아닙니까?ㅋ)


그리고 한국어는
첫음이 무성음으로 발음하기 때문에

girl[gэrl]을
k∂l로 발음합니다.

그래서 게임[geim]을
ke-im 혹은 kε-im으로

zone[zoun], john[d3on]을
t∫on으로
(한국인들은 ch,z,j,ts...상관없이 모두 현재 경구개음화해서 발음합니다.)

base[beis], vase[veis]를
pei-sł 혹은 pεi-sł로 발음하지요.



요즘엔 서울에서조차 ㅔ[e].ㅐ[ε] 구분을 못하는 사람이 많아서
e/ε를 구분하지 않고, 그냥 발음하더군요.


참고로.. 영어는 ㅆ와 ㅅ의 구분이 없습니다.ㅋㅋ
                         
Severus 11-09-09 21:48
   
경상도 'ㅓ'발음 못하는거 옛말이거든요.
어른들이나 그렇지
요즘 젊은 세대들은 잘만 발음해요
표준어를 배운 세대들이라
이건 뭐 어이가 없네
                         
비슨 11-09-09 21:52
   
Severus//경상도 사람들은 그렇게 생각할지 모르지만
표준어로 보면
'ㅓ'발음 잘 못합니다.ㅎ

특히나 이중모음은 더 못하더군요.
(경상도 모음은 ㅏ,ㅐ(ㅔ),ㅗ,ㅜ,ㅡ,ㅣ로 6개입니다..)

젊은 사람일 수록
미디어의 영향인지
'ㅆ'발음은 하는 편이지만..

그리고 요즘 가면 갈 수록
'ㅓ'뿐만 아니라
이중모음과 장단음 구별도 소실되고 있습니다.

수십년간 경상도계가 지배한 영향이 큰 것이지요.
                         
Severus 11-09-09 21:56
   
무슨 기준인지..
제가 경상도 출신에 지금은 서울 삽니다만
'ㅓ' 발음 잘만하는데
서울사람들도 저보고 'ㅓ'발음 못한다고 한 사람 없구요
저 어릴때 학교 선생님중 한분이
'형광등'을 '헹광등' 이라고 발음하는 분이 계시긴했지만
그런 분들은 다 나이가 있으신 분들이고
지금 젊은 세대들은 들어보면 잘 발음합니다.
                         
비슨 11-09-09 22:02
   
Severus//그건 님이
서울에서 적응되어서 그런 것이지요.ㅎ


(경상도 출신들은 특이하게도
타지방에 가서도
경상도 억양과 발음은 못고치는 건지... 안고치는 건지..ㅋ)


그리고 위에 경상도계가 ㅓ 발음이 기본적으로 없다는 건
모든 학자들이 인정하는 것인데
님이 ㅓ 발음이 나고,
요즘 젊은 사람들이 ㅓ 발음이 나니까..

괜찮다고 하는 건..말이 안되지요.ㅋ
                         
Severus 11-09-09 22:04
   
현재 경상도계가 'ㅓ'발음을 못한다면서요
지금 젊은세대들은 표준어를 배운 세대들이라
완전 촌 시골이거나 나이가 좀 있으신 어른분들 외에는
발음 잘 한다구요.
                         
비슨 11-09-09 22:14
   
Severus//글쎄요.. 가끔 경상도에 가보면
잘하는 걸 잘모르겠던데요..

나이드신 분들은 아예 못하고..

어떤 분이 올리셨네요..
http://blog.naver.com/sensationpop?Redirect=Log&logNo=2230753

(1) 긴 /어:/
 
1. 경상 방언 사용자는 표준 발음의 긴 /어:/에 가까운 소리를 경상도 말의 '정부, 저울,
  거울, 번지, 어버이' 같은 낱말에서 이미 사용하고 있으나 단지 짧은 소리로 내고 있습
  니다. 다시 말하면, 소리값은 유사하나 길이가 짧습니다. 그러므로 경상도 발음의 '어'
  모음을 길게 소리 내도록 연습을 해서 자유로이 길게 낼 수 있으면 이를 곧 표준말의
  긴 /어:/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위에 예로 든 '어버이', '정부', '거울', 번지' 등 낱말
  의 /어/ 모음은 표준말에서도 모두 짧은 소리로 나나 소리값이 경상도 말에서와는 아주
  다릅니다. (짧은 /어/ 참조)
2. 영어의 중설모음 /∂:/를 낼 줄 아는 이는 이를 긴 /어/로 써도 좋습니다.
3. 긴 /에:/를 발음하다가 턱과 입술을 고정시킨 채 혀를 뒤로 약간 끌어당기면 표준말의
  긴 /어:/를 얻을 수 있습니다.

(2) 짧은 /어/

1. 경상도 방언 사용자에게 대단히 어려운 모음입니다. 이들은 짧은 /어/ 대신에 흔히 표
    준 발음의 긴 /어:/를 길이만 짧게 해서 쓰거나 아니면 긴 /어:/보다 혀 위치가 높은
    모음, 즉 표준 발음의 /으/에 가까운 모음을 주로 사용합니다. 물론 그러한 모음을 표
    준말의 짧은 /어/로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짧은 /어/를 내는 요령을 두 가지 소개합니
    다.
2. 앞에서 기술한 발음법에 따라서 우선 긴 /애:/를 길게 발음하다가 턱과 입술을 고정시
    킨 채 혀를 안쪽으로 잡아당기면 짧은 /어/와 같은 소리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와 같
    이 하여 올바른 소리를 낼 수 있게 된 다음에 길이만을 짧게 내면 이것이 곧 짧은 /어/
    입니다.
3. 아랫니와 윗니 사이에 엄지 손가락을 끼운 채로 /오/를 발음 합니다. 이 때에 입술이 둥
    글게 되는 것이 보통인데 표준말의 짧은 /어/는 입술 모양이 둥글지 않고 평평하므로
    거울을 보면서 입술이 옆으로 펴지도록 연습을 합니다.



---잘한다면
이런 글들이 올라올 이유가 없겠죠.ㅋ
                         
Severus 11-09-09 22:15
   
그리고 애초에
일본어의 'ㅓ' 발음이 없는건
일본 표준어 자체에 'ㅓ' 발음이 없는거고
울나라의 경상도에 'ㅓ'발음이 없었던 건
지역 방언이라 그런거지
서울 표준어엔 분명히 있는 발음인데
그 둘을 비교한다는거 자체가 웃긴거 아닙니까?
제주도는 중세 국어때 남아있는 아래아와 같은 기호와 음가가 남아있는데
이건 뭐죠?
나라간 비교할때는 표준어와 표준어를 비교해야 하는 겁니다. ㅡㅡ
                         
비슨 11-09-09 22:22
   
Severus//위에 일본인들이 'ㅓ'발음 못한다고 비하하기에
웃겨서 댓글 달아본 겁니다.
(저도 처음엔 많이 웃었지만..ㅋㅋ)

사실 'ㅓ'발음이란 게
한가지는 아니고,
시대마다 지역마다
이중모음과 장단음으로 발음할 때마다 조금씩 다릅니다.(중설,후설-원순,비원순)

그리고 많은 나라들이
다양한 발음이 있지만
한국어처럼 'ㅓ'를 강요하거나 중요하게 발음하는 경우는 많지 않고,
(한국어는 기음과 경음, 이중모음이 발달한 것이죠)

한국의 가장 부유하고도 정치력이 막강한한 경상도조차 'ㅓ'발음을 잘 못하는데
다른 나라가 못한다고 말하니까 언급한 것뿐입니다.ㅎ
                         
비슨 11-09-09 22:25
   
Severus//반드시 표준어로 얘기해야 하는 건 아닙니다..

일본어의 경우는 방언차가 커서 못알아 듣는 경우가 있다지만
기본적으로 발음은 비슷합니다.

반면 중국어는 한자어권이지만
발음과 성조가 다릅니다.

중국 지역마다 발음과 뜻이 달라서 의사소통 자체가 불가능한데
중국을 북경의 표준어를 기준으로 삼으면 곤란하죠.

즉 언어마다 지역차가 큰 언어가 있고,
그렇지 않은 언어도 있습니다.

그리고 제주도에 있는 아래아도
젊은이들일 수록 조금씩 'ㅏ'에서 'ㅗ'에 가깝게 원순화하고 있더군요.
                         
Severus 11-09-09 22:34
   
중국은 우리나라와 같은 단일민족이 아니지요
수십개의 소수민족이 있는데 그들마다의 언어가 다 있구요
그러니 우리나라의 경상도 방언과 같이 비교하시면 안됩니다.
그리고 일본어 자체에 'ㅓ' 발음도 없거니와 'ㅓ'발음을 표기할 모음 자체도 없잖아요
우리나라엔 있고
이건 큰 차이라구요.
단순히 현재 'ㅓ'발음이 소실되고 있다? 저는 전혀 그렇게 느끼지 못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언어의 역사성만으로
우리나라에 'ㅓ'발음이 없다
라고 말하는건 지나친 오류입니다.
                         
비슨 11-09-09 22:54
   
Severus//단일민족과 무슨 상관인지 모르겠군요.ㅎ

한국은 단일민족도 아닐뿐더러
(학계에선 북방계와 남방계로 나눠져있고,
수십갈래의 경로로 중국동북부와 만주, 한반도에서 나라를 세운 것이라고 언급)

그 얘긴 일제시대 일본인들이
한국인들을 노예,단일민족..이라면서 비하하는 게
그대로 쓰이는 것뿐입니다.

물론 일본도 단일민족이 아니라
대다수가 한국계가 건너간 것이었고.ㅋㅋㅋ


그리고 중국의 지역방언은 한족에 따라 나뉘는 게 아닙니다.



또 뭐가 큰 건지 모르겠군요.

 언어란 늘 변하는 겁니다.
문자도 늘 변하는 것이지요.

외국어도 한글도 옛문자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영어의 묵음도 과거엔 발음했던 것들이었고,
한글의 복자음도 과거엔 연속적으로 발음이 가능했던 것이 형태로만 남아있는 겁니다.


과거에 일본어 모음은 8개였고,
지금은 5개로 줄어들었습니다.

한국어도 아래아 외에도
고저장단음이 있었고,
수많은 자음과 모음들이 존재했었습니다.

조선시대 때만해도
연속된 복자음이 실현이 가능했죠.

(옛한글에 관심이 있으시면 서점이나 인터넷에서라도 찾아보세요. 당시 얼마나 많은 글자와 발음이 존재했었는지...)

장단음도 1음절만 남아있는데..
서울에서조차 사라지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 'ㅓ' 발음이 없다가 아니라
지역마다 다르며

과거보다 약화되고 있다고 말하는 겁니다.
특히나 이중모음과 발음할 때 약화되고 있습니다.

(님은 잘 모르시겠지만
충청,전라도와 경기,강원도 그리고 이북의 ㅓ 발음은 다 다릅니다.)
                         
Severus 11-09-09 22:57
   
단일민족이라는건 문화적인 관점으로 봐야합니다.
중국은 수십개의 소수민족으로 갈려 언어도 다르고 문화도 다르지만
우리나라는 아니지요
그러니 우리나라는 단일민족이 맞습니다.
그리고 일본어 자체에 'ㅓ' 발음을 표기할 문자 자체가 없는건 사실입니다.
옛 고전 일본어 자체에도 'ㅓ' 발음을 표기할 문자는 없었습니다. 안그렇습니까?
우리나라엔 있구요.
각 지역마다 다른건 단순히 '방언' 일뿐
'ㅓ' 발음이 없는 건 아닙니다.
그러니 'ㅓ'발음을 하지도 못하고 표기도 못하는 일본과
우리나라를 동등하게 여길 순 없다는 겁니다.
이제 이해좀 하시겠습니까??
어디가서 이런 글 쓰시면 '일빠' 내지 '짱개' 로 내몰립니다.
그러니 자제해주시지요.
                         
가생의 11-09-09 23:19
   
걍냅두세요ㅋㅋ. 비슨 이분 예전에 제가 일본아이돌이 한국와서 한국어로 노래부르는 영상에 역시 일본애들은 한국애들보다 외국어 발음하기 힘들겠다. 이런취지로 말을했는데, 아주끝까지 생트집잡으면서 반박하더라고요ㅋㅋㅋ 그냥 자기 잘난맛에사는분인지뭔지 =ㅅ= 걍 대답안하는게 상책
                         
비슨 11-09-09 23:19
   
Severus //더 쓸 이야기가 있나요?
억지같군요.
님이 짱개니.. 일빠니 뭐라고 불러도 상관없습니다.
(협박처럼 들리는군요.)

솔직히.. 왜 이런 이야기를 하는지 모르겠군요.
논점에서 벗어난 것 같고..
언어적인 것도 아니고..

뭐가 동등하다고 하는지도 모르겠고...

학교에서도 가르치는 내요일 텐데..
억지스럽군요.


문화적인 관점에서 바라보는 게 단일민족이면
세계의 대다수도 단일민족이 되버립니다.ㅋㅋ

단군조선, 고구려, 백제, 부여, 가야, 고려, 발해..자체도
다민족 국가로 형성되었고,
(물론 주체는 한민족이지만..)

신라는 남부아시아계와 흉노로 이루어진 나라입니다.
그런데 현재 하나처럼 보이니 단일민족이다?라고 하는 건 말이 안되죠.


그리고 표기가 있으니 괜찮다고 말하는 건 처음 들어봤습니다.ㅋㅋ

오늘날까지 남아있는 합용병서는
과거에 발음하던 흔적으로
현대인들은 발음하지 못합니다.

그리고 아래아는 조선시대 중기 때 음가가 사라졌지만
근대화때까지 써왔습니다.

그 표기가 있으니. 발음하지 않아도
괜찮다고 하는 건 처음 들어봅니다.

언어와 문자는 늘 변하는 겁니다.
앞으로도 변하고..
                         
비슨 11-09-09 23:23
   
가생의//은근슬쩍 들어와서 욕하고 가는군요.ㅋㅋ

님이 당시
제 글마다 댓글달면서

제 글이 틀렸다..잘못됐다는 식으로 언급했는데
번번히 답변을 못한 건
님이었잖습니까..

그런데 이제와서
대답안하는게 상책??
                         
Severus 11-09-09 23:26
   
가생의// 그렇네요
괜히 시간만 낭비했군요
이런 궤변은 처음 들어봅니다
어이가 없어서 원.

꼬투리 잡으시긴
그냥
그렇게 믿고 사세요 -
                         
비슨 11-09-09 23:36
   
Severus//궤변이겠죠..

그리고 틀린 걸 지적해주시던지요..
                         
유니 11-09-09 23:51
   
난 경상도 토박인데 잘만 서울말 다 쓰고 하는데 ㅋㅋㅋ

내가 나 사투리 쓰는거 티나? 라고 물엇는데 어디 사는데? 전혀~

이러고 말하던 사람 여럿봣음 ㅡㅡ;;
                         
비슨 11-09-09 23:55
   
유니//잘하는 사람은 잘합니다.

그런데..티가 나는 사람은 티가 나죠.ㅎㅎ
(언제 올라왔냐도 있지만 개인차가 크더군요)

충청,전라도 사람들은 크게 고치지 않아도
표준말과 비슷한데..
(이것도 개인차가....)

경상도 출신들은
잘 안고치려고 하더군요.
(사실 꼭 고칠 필요성이 있는 건 아니라고 봅니다.)

최근엔 미디어의 발달로
사투리가 점점 사라지는 게 안타깝긴 하지만..
                         
키노 11-09-10 10:30
   
헐 저 경주사는데 잘만 발음하거든요~
세베루스님 말대로 완전 옛날얘기임
                         
안광낭낭 11-09-10 14:32
   
일단 한국인이 만가지의 소리를 낸다... 그건 저도 좀 ㅋㅋ 아닌 것 같긴 합니다만 확실히 일본어보다는 발음 표현의 자유가 좀 더  있는것은 사실입니다.

비슨님... 언어학을 배우신 모양인데요, 모든 것을 phonological symbol로 표기하시기 전에 염두에 두셔야 할게...님이 쓰시는 그 phonological symbol로 표현하기 애매한 발음들도 굉장히 많다는 사실입니다. 우리에겐 ㄱ와 ㅋ가 분명히 다르게 들리지만, 영어를 사용하는 많은 사람들에게는 비슷하게 들린다더군요. 그래서 aspiration의 구분만 둘 뿐 둘 다를 k로 표기하죠. 서양언어에 더 적화되어 만들어진 phonological symbol로 한국어를 표기하면서 완벽하게 표현할 수 있다고 생각하시면 오만입니다. 님이 표기하신 한국인의 girl을 phonological기호 그대로 읽으면 '걸' 안나옵니다. 그 비슷한게 나올 뿐이죠...
가장 근접하게 표시할 수 있는것이지, 그대로 발음한다고 자연스러운 발음이 나오는것은 아니거든요... 영어도 마찬가지이고요.

그리고 일반적으로 언어를 말할때는 표준어를 기준으로 놓고 말하는게 사실입니다. 방언이 왜 방언이겠어요... 상대적으로 사용하는 인구가 적고 또 일부 지역에서만 특정 그룹만이 사용하기 때문이죠. 그렇기 때문에 경상도 및 지방 사람들이 ㅓ 발음을 못 한다는 정보를 가지고서 '표준' 일본어에는 ㅓ 발음이 없다 라는 주장에 뭔가 반박(?)하려 드시는건 별로 좋은 방식이 아닌 것 같습니다...실제로 일본인들은 받침과 ㅏㅔㅣㅗㅜ이외의 ㅡ나ㅓ와 같은 발음을 실제로 못합니다; 비하할 점은 아니지만 사실인데 못한다고 말하는게 웃길것도 없죠;
게다가 표준 일본어에 그 발음들이 없어서 대부분이 못하는건 기정 사실인데 경상도의 부유함 따위까지 들먹여 가면서 표준어 상대로 방언을 들먹이시는게... 비교 대상이 좀 차이가 나는 것 같은데요.

그리고 노벨상에 대해서는 게으르다고 하시는게 좀... 잘난 것도 없이 오만하신 것 같네요. 약간은 겸손하게도 삽시다...
비슨님은 다른 사람들을 편협하다고 비난하기시 전에 본인부터 돌아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본인의 지식이 완벽하다고 생각하시나보죠? 언어학 박사학위라도 따셨어요? 왜 가생이닷컴 스포츠란 해외네티즌반응 보면서 지나친 언어학에 대한 지나친 열정을 보이시는지... 좀 적당히 하세요... 지식을 뽐내는건 언어학 포럼에서 하시던가요. 좀 지나치시네요.
                         
비슨 11-09-10 20:49
   
안광낭낭님 반갑습니다.
음운론과는 좀 다른 얘기입니다만.

사실 한글은 서양을 기준으로 하는 게 아닙니다
님이 지적하셨듯 지역마다 발음이 다른 게 사실이죠.

어차피 언어란 건 다 다른 것이고,
장점이 다 있습니다.
다만 문자로는 한글처럼  더 뛰어난 문자는 있다고 생각합니다.
(세종대왕은 천재수준을 뛰어넘는 분이란 걸 매번 감탄하고 삽니다..)


일단 지역적으로 보면
모음도 지역마다 위치가 다르고, 발음도 조금씩 다릅니다.

윗글에서 봤듯이
경상도의 유무로 들먹거려서 비하하는 건 아니고,
'ㅓ'로 말하기에 그것을 비판한 겁니다

경상도는 고저음을 갖고 있어서(지역마다 다르지만 고-중-저도 있습니다.)
모음이 적지만 큰 무리가 없습니다.


윗글을 비판한 이유는
단순히 일본인들이 'ㅓ'발음이 없다고 한 것인데..

아시다시피 'ㅓ'발음을 갖고 있는 언어가 많은 것도 아니지요.
많은 언어들은 ㅏㅔㅣㅗㅜ의 모음만으로 대화가 가능하고,
그 모음으로 영어로 대화하기도 합니다.

즉 'ㅓ'가 큰 비중이 있는 게 아니란 뜻이지요.

다만 일본인들이 외국어를 못하는 건 'ㅓ'때문이라기 보다
모든걸 음절화해서 발음하기 때문입니다.

Ball을 bo-rш / Dog를 do-gш(doggш)로 늘어뜨리거나
n,ng,m을 구별하지 못해서
발음이 이상한 것들이 많이 있습니다.


하지만 전 영어로 기준을 삼는 게 이상하다고 봅니다.
영어하는 나라마다 영어 발음도 다 다르고
영어 발음이 절대적인 선도 아니라고 봅니다.

그래서 외국인들이 영어 발음이 어떻고 하는 게 웃기다는 겁니다.
한국인들도 영어를 잘못하는 것은 사실이고,
발음이 좋지 않은 것도 사실이기 때문이죠.


그리고 원래 이렇게 글을 길게 쓸 필요도 없습니다.
누가 글을 쓰면 답하는 건데
유독 이런 글엔 길게 답하는 분들이 있죠.
                         
안광낭낭 11-09-11 04:25
   
저도 일본인이 ㅓ 발음을 못한다고 해서 놀려먹는건 아니라고 봅니다. 저는 어느 언어가 더 우수하거나 열등하다고 생각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못 하는건 못하는거죠. 그래서 그게 나쁜거냐 하면 또 그건 아니라고 봅니다. 한국인이 잘 못하는 발음을 일본인이 간혹 쓸 때가 있더라구요. f비스므레한 발음 말이죠.

 하지만 뭔가 지금 논점을 전혀 못 잡고 계시는데,
저는 영어를 중심으로 두자고 한 적도 없고, 또 영어 발음을 한국인이 못한다고 한 적도 없습니다.
 영어...뿐만이 아니라 서양 언어 (아마도 프랑스어일듯)을 거론하게 된것은 비슨님이 발음을 phonology 기호로 표현하시면서 한국인은 ㄱ와 ㅋ 를 모두 k로 발음한다는 둥 하는 말씀을 하시니까 쓴겁니다. 그 학문은 일단 서양에서 전래된게 맞고, 그렇기 때문에 phonology 기호 역시도 그들이 먼저 만들어 냈습니다. 언어학 뿐만이 아니라 많은 학문이 사실 서양 위주로 돌아갑니다. 그건 부정하지 마세요 ㅋㅋ 한국인이라 한국발음은 충분히 어떻게 굴러가는지 아는데 걸과 컬 따위까지 phonology들먹여가면서 한국인은 이렇다 라고 해봐야 님은 그저 시간 많은 사람이 되는 것 뿐입니다. 서양인들이 만들어낸 phonology 심볼을 가지고서 한글 발음을 표기하고 사람들을 납득시키려고 하면서 한글은 영어를 표준으로 한게 아니라구요 (일단 저는 이런 말 한적도 없고 ㅋㅋ 일평생 이런 멍청한 생각은 한 적도 없습니다)...
네, 제 말이 그말입니다! 그러니까 로마자 수정해서 만들어진 phonology 문자는 좀 그만 사용하세요. 한국인이 한글 발음하는것을 로마자 수정한걸로 정확하게 표현하는데는 어차피 한계가 있는겁니다.

그리고 가생이는 일본애들이 우리 까는거 보고 네티즌들이 덧글에 일본 까고 맨날 그러는거 아시면서 왜 ㅓ 발음 가지고 발끈하세요? 그거 말고도 발끈할거 많은데 그런데 다 가서 난리치시는 것도 아닌 것 같은데요. 그게 거슬리시면 그냥 여기 오지 마세요 ㅋㅋ
참고로 님이 쓰신 덧글 다 합치면 아마 본문의 세배는 더 길겁니다...수고하세요... 또 이것에도 덧글 다시게 될지도 모르겠지만요.
                         
구경꾼 11-09-13 16:25
   
한국어 발음이 다양하지 않다고 논지를 펼치다가
말미에 영어발음의 후진성에 대해 언급하는건 무슨 의도인가요?ㄲㄲ

우리가 g k 나눠서 발음할 필요있나요?
영어발음으로 ㄱ ㄲ ㅎ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어요?
양놈들도 이 발음은 정확하게 못하죠.
그리고 서울사람은 'ㅔ' 와 'ㅐ' 구분함.어디 갓 상경한 시골총각만 만나셨나.
                         
구경꾼 11-09-13 16:35
   
우리가 못하는 외국어 발음보다
외국애들이 못하는 한국어 발음이 훨씬 많음.
목 밥 떡 밝 읽 설 황
이런 단어는 한국에서 수십년을 살아도 외국인들은 정확하게 못함.
일본어뿐만 아니라 영어도 자세히 나누면 음절을 제 각각 따로 발음함.
기준을 누구로 잡느냐에 따라 하늘과 땅차이.
영어를 기준으로 보면 한국식 영어발음이 조금 후져보이겠지만
한국어를 기준으로 보면 영어식 한국어 발음은 ㅄ같음.
     
셋쇼마루 11-09-09 19:28
   
ㅋㅋㅋ 웃기죠???

근데 전 더욱긴게 일어를 중간에썼다는게 ㅎㅎㅎ
     
리아 11-09-09 20:10
   
피식ㅋㅋㅋㅋㅋ
     
만류귀종 11-09-10 01:04
   
울집개는 웃다가 죽었네요...ㅡㅜ
     
살라만다 11-09-10 15:16
   
나도 웃었는데 소리표현이 300자밖에없는주제에 언어의 완성도가 최고라고?
미친넘들 한국의 소리표현은 10000자가넘는데
     
중앙동장닭 11-09-10 18:31
   
완성도가 높은 언어로 맥도날드나 발음해 보시지...ㅋ
     
손도끼척척 11-09-11 19:09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피카츄 11-09-09 10:53
   
최강국까진아니였는데;;
꼴랑간지 11-09-09 11:03
   
중국을 뛰어넘었나??
짜장 11-09-09 11:10
   
중국의 한자를 쓰고 가타가나, 히라가나는 신라시대 조상들이 잠깐 쓰다 버린 구결을 베껴서 만들었고...

문자에 대해서 말하자면 일본은 그냥 닥치고 있는 게 중간이라도 간다..
     
셋쇼마루 11-09-09 19:29
   
아.. 것까진 몰랐네요

일어를 울나라 조상님들이 섬에 알려준건 알았는데

게따?? 것도 울나라 조상들이 준거고....
알로하 11-09-09 11:39
   
일본언어가 삼국중 가장 떨어지지 않나;; ㅎㅎ
지해 11-09-09 11:47
   
참 편리한 발상이다. 이길땐 머리쓰는 거고 질때는 스포츠라...
mymiky 11-09-09 11:48
   
일본인들이 언어를 논하시면 아니되십니다-.-
fpdlskem 11-09-09 11:54
   
잘 보고 가유~
바람난홍삼 11-09-09 12:21
   
ID:Dn3THrjI0
도데체 오목과 바둑의 차이가 뭐냐
=====================
ㅋㅋㅋ 알까기나해라 시키야....
IceMan 11-09-09 12:21
   
일본이 한국에 잡힌게 언제적 얘기인데...

잉창치배 한국기사들이 거푸 우승하면서부터는

세계대회에서 일본이 원래 힘 못 썼는데...

아주 엄밀히 말하면, 국제 무대에서 일본이 힘쓴적은 거의 없다.

NHK배 중일 슈퍼대항전 시작하면서부터 계속 발렸다고 봐야하지.

이게 공식적인 첫 국제시합인데, 크크크~
네루네코 11-09-09 12:35
   
아... 바둑은 잘 모르지만 요즘 중국에게 따라잡히는게 안타깝긴 하네요...

근데 따라잡힐만 하긴 하던데;; 중국 유소년 기원 규모보고 입을 떡하고 벌렸음;;;

무슨 운동장만한 넓이에 고시원 방크기 만큼 구역을 나눠서 전부 대국중;;ㄷㄷㄷ;;
로이드 11-09-09 12:43
   
바둑의 기원은 어디인가요? 중국인가..
     
MUNTYR 11-09-09 17:55
   
넹 중국입니다.
     
STYLE 11-09-10 02:26
   
참 애매합니다만, 발상국은 인도가 맞습니다.
중국측 주장 : 인도 -> 중국 -> 우리나라 -> 일본
우리측 주장 : 인도 -> 우리나라(백제) -> 일본
나나니 11-09-09 12:56
   
이눔들은 뻑하면 예도로 둔갑시키는걸 좋아하네. 바둑같이 승패가 갈리는 경기가 어떻게 예도가 될 수 있냐. 걍 즐기는 겜이지. 즐기기엔 약간 머리가 복잡하긴 해도, 정신을 릴렉스 시키고 사교를 위해 먹는 차문화도 웃기지도 않는 다도라고 두손으로 찻잔을 떠받들고, 종종걸음으로 아주 쇼를 하더만. ㅋㅋ 진짜 문화적으로 상당히 열등감이 없지 않고서야. 그렇게 예도, 예법을 병적으로 찾는 나라도 없을듯,
동산고딩 11-09-09 14:16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우리나라가 발음할수있는 소리 1만개 이상

중국 약 400개

일본 약 300개



한글 - 스스로 만든언어 출처 분명 (표음문자)

중국 - 스스로 만든언어 출처 분명하다고도 할수있고 아니라고도 할수있음 (표의문자)

일본-  둘다배낌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히라 가타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머냐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비슨 11-09-09 19:36
   
전에도 이런 글을 쓴 적이 있었는데...
한국어 발음 40개입니다.


가, 거, 고, 구.. 글자는 다르지만

발음은
ㄱㅏ[ka], ㄱㅓ[k∂], ㄱㅗ[ko], ㄱㅜ[ku],
모두 ㄱ[k]로 발음합니다.


그리고 문자와 언어는 다른 것이죠..
          
ㄴㅇㄹㅇㄹ 11-09-09 21:21
   
이건 뭔 개소리래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이 놈글 볼때마다 느끼는거지만 친일이 따로 없네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비슨 11-09-09 21:39
   
진실을 말하는 게 친일이라..ㅋㅋ

언젠..또 일본인, 중국인, 조선족.. 동남아인..ㅋㅋ

편하네..댁들의 핑계는..ㅋ
                    
가생의 11-09-09 23:23
   
너야말로 재밌디? 그렇게 하나하나따져가며 꼬치꼬치 생트집잡는게?
                         
비슨 11-09-09 23:24
   
가생의//이젠 대놓고 찍찍거리고 가는구나..
                         
가생의 11-09-09 23:25
   
그쪽이야말로 대놓고 디스할려고 작정한것처럼 보이는구나
                         
비슨 11-09-09 23:35
   
가생의//전에 글들이
조금이라도 예의가 있는 줄 알았는데

여기저기 내 글마다 욕하고.참...
                         
가생의 11-09-09 23:41
   
하도 이곳저곳 쑤시니까 그렇죠
                         
비슨 11-09-09 23:50
   
가생의//여기 별로 들어오지도 않고,

가끔씩 잘못된 언어 얘기나 지역, 정치 정도??ㅋ
(나도 처음엔 한국어가 모든 발음한다고 자랑스럽게 얘기하고 다녔지만..)

한글이 가장 위대한 글자인 건 맞지만.
당시 창제된 목적이나 원리와 무관한 말도 안되는 글들이
많아서 댓글 좀 달았을뿐..입니다.
                         
가생의 11-09-10 01:46
   
그럼 적당히 자제해서 글쓰시던가요. 솔직히 한국어보다 일본어가가 발음가능한 음절도 적고 외국어배울때도 발음때문에 먹고들어가는 페널티가 얼마나 큰지 알면서 그렇게 계속 틀린거 하나하나 고쳐주고싶어요? 발음이1만개가 넘는다 그렇게 잘못된것들 교정하고싶으면 진짜로 이성적으로 토론논쟁하는 사이트가서 노세요. 가생이처럼 내셔널리즘고취하는 사이트에 댓글쓰는애들이 진짜로 뭐다 알고댓글쓰고 그런줄알아요? 뭘그리 진지하게 장황한예시까지들면서 이러쿵저러쿵 쑤시는지, 한두번도아니고ㅡㅡ 걍 이런 게시물올라오면 대충 사람들한테 동조해서 댓글쓰시면되지 뭘 어떻게든 그리 고쳐줄라고 트집잡고 꼬장부리는꼴이 굉장히 뵈기싫거든요? 꼭 이런 발음언어문자관련 게시물에 분란일으키는 주체가 님밖에 없는데 님만 조용하면 이렇게 댓글의댓글이 폭주할일도없거든요?
                         
아이몰라 11-09-10 05:56
   
한글이 표현할 수 있는 소리 1만개 이상

...이라고 대충 걸러서 알아들으면 되지 잘났다고 쓸데없는 강의나 하고 앉아 있으니 욕먹는 겁니다.
비슨님 보면 중고딩때 뭣도 없는게 잘난 척 나대다 맨날 따당하는 불쌍한 애들이 생각나네요.
주위에 친구 별로 없죠?
                         
비슨 11-09-10 21:16
   
가생의//그런 얘기는 이미 많이 하고 있습니다.
(잘못된 것이던 말던..상관없다는 거군..)

뭐.하지만 자제하지요.

여기선 국수주의 세상이니.
                    
하이에나 11-09-10 16:42
   
비슨! 찐따짓 그만하시고 모이자로 꺼지셈
          
구경꾼 11-09-13 16:10
   
편의상 ㄱ을 k로 표기하는거지 g k 둘다 틀림.
ㄱ은 유성음임.
영어로는 ㄱ과 ㄲ ㅋ 구분 못함.
'ㅓ'발음도 영어에는 없음.
중국어와 마찬가지로 '어'와 비슷한 권설음 r만 있음.
          
구경꾼 11-09-13 16:40
   
그렇게 따지자면 조합은 뭐하러 하나요.
논지의 타당성이니 뭐니 하는건 제껴놓고
같은 맥락으로 보면
영어는 26개.
끝.

결론 : 영어는 범용성이 떨어지는 뒤떨어진 언어임.ok?
Severus 11-09-09 14:24
   
고스트바둑왕이 생각나네
neverno 11-09-09 14:34
   
한국:62회우승 중국:25회우승 일본:20회우승...
세려보니 우리나라가 많이 우승하긴 했네요... 초반에 일본이 강했을 때에도 11:7로 비슷한데...ㅋㅋ
일본은 역시 자위에 재능이 있네요...^^
산소탱크 11-09-09 14:38
   
사람과 원숭이에 능력이 같을순 없겟지...
김메뚝 11-09-09 15:19
   
누가 일본어가 가장 완성된 언어라고..
秋風 11-09-09 15:35
   
고스트바둑왕 ㅋㅋ
전쟁할래 11-09-09 16:16
   
ㅋㅋ 만화생각하니?ㅋㅋ
관람불가 11-09-09 16:17
   
다른 나라의 문화, 언어를 욕하는 것만큼 무지한 것도 없지만,
인정할 것은 인정해야지.
그러니까, 너희들은 항상 제자리 걸음인거다. ㅉㅉ
흥민흥해랏 11-09-09 16:33
   
ID:0IDmNtfX0
일반적으로 황색인종이 가장 머리가 좋아. 21세기는 황색시대라구. 
그 중에서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몽골어는 언급하지 않는다)가 사용되고 있지만
언어의 완성도는 일본어가 최고지. 그래서 일본의 문명이 가장 진화한거야.
하지만 언어보다 직감적 통찰력을 필요로 하는 바둑등의 게임에서는 경기 인구층이 얇아서 일본은 안되는거고.

========================================================

듣도보도못한 주장이네 ㅋㅋㅋㅋㅋㅋㅋ
일본어가 가장 완성도가 높은언어렠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정말...그냥 생각대로 쓴듯
얘네는 외국인이랑 대화안해보냐???
맥도날드를 마구도나르드 멀티미디어를 메르츠미디어 라고하는게 완성도 높은언어??
잉여양민 11-09-09 16:34
   
ㅋㅋㅋ 오늘도 웃고 갑니다...
언어의 완성도가 좋다라... 어떻게 생각해야 그런 생각이 나는것인지.. 솔직히 언어의 완성도를 측정할 방법이 있나?? 문자라면 모르겠지만.. 문자도.. 삼국중에선 우리나라 한글이 가장 으뜸이지... 조합법에 따라 가장많이 표기할수 있으니...

이러저런 이야기가나왔으니..... 일본 문자를 보면서 딱 한가지 마음에 드는게 있는데.. 바로 카타가나...
번역기로 일본어 번역해본 사람은 느낄거지만, 일본어중에서 외래어만 카타가나로 표기해놓은건 괜찮은 방식인것 같다.. 첨 일본어 배울땐 무슨 문자를 귀찮게 두 종류로 분리해놨나 했는데..요즘들어서 편리하다는게 느껴진다...
예를 들어 카라의 하라의 경우 일어로 히라가나로 하라라고 써진 말을 번역기로 돌리면 '배'가 나오지만, 카타가나로 돌리면 '하라'라고 정상적으로 나오는건 마음에 듬....
우리나라 한글을 번역기로 돌리면 '하라'가 하라로 번역이 안될텐데....요런건 우리나라도 좀 배워서 외래어 표기나 고유명사들은 고딕체로 쓴다던지 좀 구분을 해줬으면 하는데... 번역기 돌리기 편하게말이야...
     
나만바라봐… 11-09-09 18:08
   
번역기 돌리기 위해서 그렇게 한다는 건 사족이죠.

일본어를 공부하다 보면 정말 쓸모없는 것이 가타가나 문자인데요.
     
배고픈귀신 11-09-09 18:11
   
단지 번역기 돌리기 편하게 하기위해서 글자를 바꿔서 쓰자구요??
님이생각해도 참 어처구니 없는 주장같지 않나요?

지금현재 님이 한글을 읽고쓰는데 있어서 외래어가 포함된다고 해서 불편한 점이 있나요?
한글은 그 자체가 완벽한 글자이기 때문에 다르게 바꿔서 써야할 이유가 없습니다.

하지만 일본어는 히라가나나 가타가나, 한자를 구분해서 사용하지 않을경우
전혀 뜻이 이해가 안가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그런겁니다.
즉 일본어가 그만큼 완벽하지 않고 허술하다는 방증입니다.

번역기 돌리기 편하게 바꿔서 쓰자니 무슨 말도 안되는 소리를 하고 계십니까...
완성도가 높고 높은 수준의 언어일수록 그만큼 번역하기가 어려운 겁니다.

예를들어 영어나 일본어로 어떠한 표현을 사용하더라도 한국어로는 번역이 됩니다만
한국어로 어려운 표현을 사용할경우 절대 다른언어로는 표현할수가 없습니다.
예를하나 들어볼까요?
우리나라의 형용사의 여러표현들은 절대 다른 언어가 표현할수가 없습니다.
문학같은 경우도
"얇은사 하이얀 고깔은 고이접어 나빌레라 파르라니 깎은머리 박사고깔에 감추오고.."
이걸 도대체 다른언어로 어떻게 번역할수가 있겠습니까?
우리나라 문학이 저평가를 받는이유중에 번역의 문제도 있기 때문입니다.

쓰레기같은 일본어에 감탄하지 마시고 제발좀 우리글과 우리말에 자부심을 가지십시요....
          
잉여양민 11-09-09 18:33
   
밑에도 다시 썼지만.. 정말 제 말을 이상하게 본것 같아서 사족을 달자면...
번역기 돌리기 편하게 하기위해서 글자를 바꿔서 쓰자구요--> 글자를 바꾸자고 말한게 아니라.. 글씨체로 명사표기좀 구분했으면 한다는 거죠.. 외국사람들이 볼때 구분할수 있게... 예를 들어 '카라 구하라' 라고 써놓으면 우리는 쉽게 알지만, 외국인이 보면 '카라를 구하라'는 말인지, 아님 '카라의 구하라'라는건지 혼돈이 오니 명사표기 '구하라'양을 나타낼땐 고딕체같이 글씨체로 구분해 주면 좋겠단거죠...

누가 언어의 장단점을 이야기했습니까??ㅡ.,ㅡ;
          
비슨 11-09-09 19:57
   
번역이 안된다는 건
완벽한 것도 허술한 것도 아닙니다.
언어마다 독특하고, 발전한 부면들이 다 다릅니다.

그동안 노벨문학상 못받을 때마다
한국어 번역이 어렵다란 소릴 수천번 넘게 들어왔는데..

번역이 안된다는 건
한국인들이 그만큼 노력을 게을리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유럽어와 무관한 헝가리, 이집트, 터키, 나이지리아뿐만 아니라
섬나라인 트리니다드 토바고와 세인트루시아도 받았습니다.
http://ko.wikipedia.org/wiki/%EB%85%B8%EB%B2%A8_%EB%AC%B8%ED%95%99%EC%83%81_%EC%88%98%EC%83%81%EC%9E%90_%EB%AA%A9%EB%A1%9D

만약 한국작품의 문학성이 떨어지거나 번역이 미숙하다면
매번 노벨상 후보에 오르지도 못했을 겁니다.
하지만 매해 노벨상이 언급될 때마다 한국작품은 꼭 나옵니다.
(이번엔 탈 줄 알았는데.. ㅜㅜ)

그리고 번역은 대개 친족의 언어일 수록
번역하기가 쉽습니다.

그래서 인도-유럽어족들은 다른 언어들보다 상대적으로 번역하기가 쉽다고들 하지요.
(오죽하면 네덜란드-독일어와 포르투갈-스페인어가 서로 외국어냐란 소리도 듣지만.ㅋㅋ)

한국어와 가까운 일본어(한국어의 후손이거나 한국어+열도어)도 영어도 세계의 수천개의 언어도
그것을 다른 나라로 번역하는 건
매우 어렵습니다.

영어와 일본어는 언어가 가까워서 번역이 되는 게 아니지요.

일본이 유럽과 북미의 국가들과 교섭하고,
그 언어들을 번역하고, 일본화한 겁니다.

한국의 경우엔
일제-해방 후에도 일본식 한자어를 그대로 받아들인 것이고...
     
잉여양민 11-09-09 18:22
   
위에 두분 너무 진지하시군요....

배고픈귀신// 쓰레기 같은 일본어에 감탄따윈 한적 없습니다... 다만 제가 언급한건 문자 표기가 외래어 표기와 본래 한국어 표기에 구분이 있었으면 좋겠단 의미였죠...
그걸 잘못 이해하셨나보네요....
한글이 나쁘다고 한적도 없고, 일본어가 좋다고 한적도 없는데.. 이상하게 받아들이시네요...

다만... 카타가나 예를 든건, 우리가 구글번역기나 네이버 번역기로 돌렸때 외국어 번역이 이상하듯이 우리나라 언어를 외국에서 번역기로 돌리면 안그래도 어려운말 더 어렵게 번역이되어서 의미 전달이 좋지 못하니.. 외래어 표기와 명사표기는 인터넷 번역문에 한정해서라도 고딕체나, 바탕체 같이...(문자 자체를 바꾸자는게 아니고...!!!) 글자체를 통일했으면 한다는거죠...

제 말을 이상하게 받아들시셨네요....ㅡ.,ㅡ;

무조건 일본찬양하는 일빠도 문제지만,,, 다른나라의 제도의 장점을 무조건 배척하는것도 좋지못하죠... 한글의 우수함이야 이미 세계적으로 유명하고, 일본문자의 허접함이야 세계적으로 알아주지만, 유일무이 일본문자(일본어가 아니고!!! 문자..!@!!)의 유일한 특징이 외래어 표기와 자국어 표기에 다른 문자를 쓴다는건데.. 우리가 꼭 그렇게 문자를 두개를 쓸필욘없고, 글씨체정도를 수정하는 범위에서 번역물을 쉽게 배포 자는거죠...
푸훗 11-09-09 16:39
   
한국 7 일본 11인대
일본의 황금시대래ㅋㅋㅋㅋ
하제 11-09-09 17:50
   
저도 고스트바둑왕이생각났네요....
한글 11-09-09 17:50
   
중국의 1/20 일본의 1/6 이하의 인구를 가진

한국이 바둑에서 세계 정상인것은 최고의 두뇌가 인구 비율로 탁월히 높다는 것을 증명한다.

특히 국내에서 전력을 가지고 경쟁하는 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가진 경우가 많다.

그런 의미에서 어쩌면 정치를 세계에서 제일 잘한다고...ㅋㅋㅋㅋㅋㅋㅋㅋ
MUNTYR 11-09-09 17:51
   
종종 히카루의 바둑에 대해 언급하는데 끝권을 읽어보고도 저런 소리하나...히카루의 바둑은 그 당시에 일본에서 큰 히트를 친 바둑만화인데 끝에 가면 일본인 주인공조차 마지막 한국인에게 못이긴다. 그리고 작가도 한국바둑이 일본바둑보다 세다고 인정하였고...
     
배고픈귀신 11-09-09 18:16
   
네 그것때문에 독자들에게 항의도 많이 받았다고 했었죠
하지만 작가의 한마디로 모든걸 정리했죠
그 작가의 한마디는 "이게 현실입니다."
     
비슨 11-09-09 20:02
   
ㅋㅋ.. 근데 애니에선 제대로 안나오더군요.
그 부면이 멋있는 건데..ㅎ
타투 11-09-09 18:13
   
ID:EIxRtMu4O
히카루의 바둑이 재미있어서 전권을 샀지만, 아직까지 흰 돌과 검은 돌이 있다는 정도밖에 모르겠어.
-----------------------------------------------------------------------------------------------------------------------------------------

ㅋㅋㅋ
     
호야 11-09-09 18:15
   
ㅋㅋㅋ 저도 흰돌과 검은돌밖에.ㅋㅋㅋ
          
다이제 11-09-09 18:53
   
ㅋㅋ 저도 ...오목 말고는..잘...ㅋㅋ
아이스크림 11-09-09 19:51
   
일반적으로 황색인종이 가장 머리가 좋아. 21세기는 황색시대라구. 
그 중에서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몽골어는 언급하지 않는다)가 사용되고 있지만
언어의 완성도는 일본어가 최고지. 그래서 일본의 문명이 가장 진화한거야.
하지만 언어보다 직감적 통찰력을 필요로 하는 바둑등의 게임에서는 경기 인구층이 얇아서 일본은 안되는거고.
--------------------------------------------------------------------------------------------------------------------------------------------------

ㅋㅋㅋ 오래만에 빵 터지게 웃어봤네 ㅋㅋㅋ

역시 원숭이라서 그럴까? 이것이 일본의 현실이구나 ㅋㅋ

신라시대때 우리 조상들이 잠깐 썻던 지렁이 문자+한자 쓰는 주제에 가장 완성된 문자란다

기가 막혀서 ㅋㅋㅋ
우주대항해 11-09-09 19:53
   
언어의 완성도는 일본어가 최고지. 그래서 일본의 문명이 가장 진화한거야

------------------------

마쿠도나루도가 뭐라고? 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조현영 11-09-09 19:57
   
제가 기원다닐때쯤 그니까 초글링때죠.
이창호사범님이 바둑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가져오시면서부터
이미 한국은 넘사벽의 바둑 넘버1이었습니다. 두뇌얘기는 안하겠구요.

요다니 다케미야니 뭐니 그 신과같던 일본의 조치훈9단도 이창호9단한테 농락되다시피
졌었구요. 그때의 이창호9단은 그냥....신이었습니다.

중국의 자랑 마효춘이도 나올때마다 4강 결승에서 조국수님이나 이창호9단한테
캐관광 당하셨습니다..

최근 몇년간 중국에 세계대회 좀 넘겨주면서 위기다 어쩌구 했지만..
결국 작년올해부터 다시 1강체제로 들가고 있구요.

한국이 바둑에 관한한 진짜 넘사벽맞습니다 ^^;;
     
비슨 11-09-09 20:03
   
전에는 그랬는데..

저 표를 보고나니
최근엔 중국이 무섭네요...

이렇게 가다간
중국에 따라잡힌다고 전문가들이 경고했었는데..

현실이 될까봐 두렵기도 하고..
우주대항해 11-09-09 20:15
   
퍽이나 대단한 카타카나 장점.. 걍 글자 빨갛게 칠하고 이건 외래어 지정만해도 카타카나 장점 싹 사라지네
쌀벌레 11-09-09 20:42
   
중국이 무섭게 추격하고 있네요. 그렇다고 해도 인구를 고려했을 때 역시 아직 한국이 최고!!!!
밥콩 11-09-09 21:13
   
왜 dna 차이라고 말을 못해
     
비슨 11-09-09 21:48
   
죄송하지만..

한국인과 유전자가 가장 가까운 건
일본인입니다..ㅋㅋㅋ

그리고 이창호 스승인 조훈현은
일본에 가서 배웠지요.

과거엔 일본과 중국이 잘나가서
한국을 껴주지도 않았고,

한국바둑은 인정받기도 힘들었습니다.

지금은 일본을 껴주지도 않지만.ㅋㅋㅋ
          
neverno 11-09-10 18:42
   
과거 언제부터 일본과 중국이 잘 나갔는지...?ㅋ
국가의 틀이 확실히 잡히지 않은 1950년대이후의 우리나라하고 비교하는 건 아니지...
모든 분야가 다 그래, 일본이 뭐 자기들이 잘나서 이렇게 잘 사는게 아니지...
결국 서양문물을 동아시아에서 가장 적극적으로 빨리 받아들여서 그렇게 된거 아닌가?
중국이나 우리나라는 자문화가 확고했기 때문에 그에 대한 자부심이 있어서 서양문물에 적대적이었고, 일본은 뭐 볼거라도 있어야 튕기지, 그래서 마구 받아들이잖아 또 얍삽하게... 자학문화에다가 야만적이고 호전적인 쪽바리들이었지... 남의 것에만 탐내는 강도같은 놈들이고, 자기들이 이룩한건 개코도 없으면서 맨날 지들 잘났다고 하는 꼬락서니가 참 가관이다...ㅎ 결국 서양문화 아류면서 같은 아시아국가들한테만 떵떵거리고 비아냥대잖아???
솔직히 일본은 전통문화와 의식의 깊이가 얕고 보잘것 업잖아...ㅋㅋㅋ
내가 알기론 일본은 철학적으로 성취한게 거의 없어...ㅎ
그래서 바둑도 못두나봐~ㅎㅎㅎ
               
비슨 11-09-10 20:52
   
바둑 얘기하는 겁니다.

조훈현-이창호로 이어지는 한국의 제국시절 이전엔
한국바둑을 무시해왔던 게 사실이거든요.
     
하이에나 11-09-10 16:41
   
과거에 한국바둑을 껴주지도 않았다는 궤변을 이렇게 자연스럽게하지?무뇌답네 ㅎㅎ
귀향살이 11-09-09 21:36
   
언어의 완성도는 일본어가 최고지. 그래서 일본의 문명이 가장 진화한거야.
---------------------------------------------------------------------------------------------------------

물 마시다가 뿜을뻔 했네요.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고등학교 제 2외국어로 일본어를 배우긴 했지만 우수한 문자라고는 도저히 생각되지 않던데.
오히려 한국어를 어설프게 표절한게 아닌지 의심가는 문자.

2ch 히키코모리 오타쿠들은 세상을 항상 만화와 연관지어 판단하는 듯.
바둑과 오목도 구별 못하는 머리로 한국을 논하려고 하다니ㅡㅡㅋ  어이가 없네요,
플리터 11-09-09 22:02
   
히카루의 바둑? 고스트바둑왕 말하는건가?
천년여우 11-09-09 22:24
   
일본은 이제 바둑 끝인가.
평범남 11-09-09 22:37
   
ㅋㅋㅋㅋ저 표는 단순히 우승한 나라만 적혀있는거라 저정도입니다...16강 8강 4강 이렇게까지 세세하게 들어간다면 일본은 진짜 암울합니다. 거의 안보이니까요
아뿔사 11-09-09 22:53
   
93년에 이미 한국이 3관왕이고 지들은 타이틀 하나밖에 없는데,
교묘하게 95년 부터 한국 강세라고 해놨네
가생의 11-09-09 23:26
   
바둑뿐이려나..
익명 11-09-09 23:32
   
고스트 바둑왕ㅋㅋㅋ
더보스 11-09-10 00:02
   
어느나라나 대중적으로는 장기가 더 인기좋다

바보같은 소리만 하고 있는 일본 넷우닉들이넹;;

그냥 니네들이 실력없는거 뿐이얌 ..
아마락커 11-09-10 01:28
   
어릴때 보던 이창호9단이 생각이 나네요 ㅎ

그때는 진짜 돌부처 계산 나왔다고해서

형세판단이 엄청 정확했던걸로 기억이 나는군요
적루 11-09-10 02:12
   
일반인에게  장기가 인기 높은 이유는 하기 쉬워서죠.

한국 중국과는 다르게 일본장기가 체스랑 거의 비슷하긴하지만

바둑에 비해 쉬운건 매한가지....
자기자신 11-09-10 02:24
   
일반적으로 황색인종이 가장 머리가 좋아. 21세기는 황색시대라구. 
그 중에서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몽골어는 언급하지 않는다)가 사용되고 있지만
언어의 완성도는 일본어가 최고지. 그래서 일본의 문명이 가장 진화한거야.
하지만 언어보다 직감적 통찰력을 필요로 하는 바둑등의 게임에서는 경기 인구층이 얇아서 일본은 안되는거고=하여튼 일본놈들 망상이 진짜 심하네 언어의완성도중에서 일본어가 최고라고?ㅋㅋㅋㅋㅋㅋ그것아냐 일본어의뿌리가 한국어라고 뉴스기사에 떠는데ㅋㅋㅋㅋㅋㅋㅋ중국의한문을 배낀주제에 말이 많어 언어의완성도순위 1위한국 2위중국 3위꼴지 일본ㅋㅋㅋㅋㅋ주제 좀 알어라 왜구들아 지렁이가 굴러가는 글씨가 뭐가 완성도1위라는것지ㅉㅉㅉㅉㅉ
거크 11-09-10 04:04
   
잘 보고 갑니다~
미래의별 11-09-10 06:46
   
방사능&외설물은 니들이 최강이야 아 추가로 로리 소아성애까지 우주최강이야~
cherish 11-09-10 08:04
   
ID:0IDmNtfX0
일반적으로 황색인종이 가장 머리가 좋아. 21세기는 황색시대라구. 
그 중에서 중국어, 일본어, 한국어(몽골어는 언급하지 않는다)가 사용되고 있지만
언어의 완성도는 일본어가 최고지. 그래서 일본의 문명이 가장 진화한거야.
하지만 언어보다 직감적 통찰력을 필요로 하는 바둑등의 게임에서는 경기 인구층이 얇아서 일본은 안되는거고.

 -----------------------------------------------
아니 근데 내가 진짜.  진심 제3자 입장이되봐도
한국어가 가장 우수한데ㅣ..ㅋㅋ
     
nomez 11-09-10 10:54
   
근데 경기 인구층이 제일 얇은건 솔직히 한국아닌가 싶은데..
애초에 바둑 인구층이 엄청 얇지않나..
감자튀김 11-09-10 09:38
   
게시물 보다 댓글이 더웃기네요 지자랑과 태클들ㅎㅎ

나이대가 어디들이신지 몹시 궁금합니다...
nomez 11-09-10 10:53
   
경상도가 ㅓ 발음 못한댘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진짜 경상도는 살아봣냨ㅋㅋㅋㅋㅋㅋㅋ
나 지금 경상도와있는뎈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ㅋ

한국인이 못하는건 그저 유성음 무성음이지
그래서 영어론 김을 kim 조를 cho 박을 park
인과응보 11-09-10 11:39
   
비슨// 경상도 사람이 ㅓ 자 발음이 잘안된다니?? 그건 둘째치고 잘 안고칠려하다니?

경상도 사투리 중에 ㅓ 자 발음 무수히 많거든요??

간단히 어디가냐 이거를 어데가노 이렇게 사투리로 말하기도해요

그외에도 열거하자면 끝도 없이 많습니다

뭐 경상도인들에 대해 빤히 안다는듯이 같잖게 글 적어놓으셨는데 뭐 경상도 와보긴 와보셨쎼요?

아님 뭐 길가는 사람 붙잡고 얼레 얼라리요 얼씨구 어쩔라고 일케 발음 설문이라도 해보셨쎼요??

게다가 안고칠려고 한다는건 대체 무슨 뜻인가요? 님이 뭐 고치라고 설교라도 하셨데요?? 고치라고??

아님 뭐 경상도 현지민들한테 사투리 집어치우란말도 아닐테고 무슨뜻임????

의미를 정확하게 하세요 두루뭉술 말아서 얘기하지마시고??

게다가 뜬금없이 정치력이 막강하고 부유한 경상도니 뭐니...  하고 싶은 얘기 거듭 말하지만돌려하지말고

명확하게 하세요 뺀질이처럼 나중에 말돌릴 구멍 쳐 뚫어놓고 은근슬쩍 말속에 가시 쳐심어놓지 마시고??

어디뭐 정겟가서 한빠들 한테 다구리로 까이셨나요??? 재미난분이네 ㅡ.ㅡ...
     
네모난삼각… 11-09-10 12:13
   
비슨님은 경상도 사투리의 정설을 말하신 게 다입니다.

가위 상전벽해인 이 현시대에서는 저 정설이 많이 힘이 잃기 시작한 것뿐입니다.

하도 도시화가 많이 되다 보니 사투리 또한 도시화가 될 수밖에요.

불과 몇십 년 전에는 저 정설이 먹혔을지도요.
          
비슨 11-09-10 21:30
   
미디어의 발달로 그렇게 되기는 하는데..
충청,전라도분들의 ㅓ나 경기도 분들의 ㅓ는 조금 다르긴 합니다..
중요한 건 아니지만...


하지만 서울에서도
거지 -> 그지 / 더럽다 -> 드럽다
ㅓ보단 ㅡ에 가깝게 발음하는 사람도 많죠.


그리고 과거보다
ㅐ와 ㅔ의 구별이 사라지고 있고,

ㅙ.ㅞ,ㅚ의 구별 못하는 사람도 많아지고 있습니다.
               
구경꾼 11-09-13 17:03
   
서울 사람들은 '그지' 나 '드럽다'를 아무때나 안씀.
원음에서 살짝 비틀어 직설적인 비난과는 다른 완곡한 표현으로 씀.
경상도 사투리의 영향을 받았지만 ㅓ 발음을 못해서 쓰는게 아님.
"야 이 거지새끼야!"
"야 이 그지새끼야."
쓰임새가 틀림. 어조도 완전히 다름.
서울말은 표준어와 100% 일치하지 않아요.
타지방 출신은 아무리 오래살아도 이야기하다보면 다 티가 남.
어디서 주워들은 것만 나열하는 것을 보면 서울사람은 아니네요.
해골박아지 11-09-10 12:10
   
어이없음 쪽국이 세계최강이라고?대만에게조차 안되는게 쪽국의 비참한 바둑실력임 만화로는 어떻게 날조할지몰라도 현실의 벽은 넘사벽임 ㅋ
쪽국바둑인 주제에 결승갓다는거 자체가 수준 떨어지는 망상 만화라는것
적루 11-09-10 13:38
   
비슨/"그리고 제주도에 있는 아래아도 젊은이들일 수록 조금씩 'ㅏ'에서 'ㅗ'에 가깝게 원순화하고 있더군요"

이라고 하셨는데.  제주도에서 태어나고 살고있는 한 사람으로서

 원래 "ㆍ" 발음의 경우 남아있는곳이 제주도 뿐이고. 제가 태어 났을때부터 이미 ㅗ 하고 비슷하게

발음했는데, 원래 발음이 ㅏ 라고 단언한 이유는 무언인가요? 

단지 아래하 들어간 한글이란 단어가 현재 한글로 쓰여져서 ㅏ 발음이라고 하시는 건가요? ㅎㅎ
     
비슨 11-09-10 21:15
   
글쎄요..
"ㆍ"의 제주어가 원순모음화되고 있다고

언어하는 분들이 언급하시는 것이고,
그렇게 들렸기에 말씀드리는 겁니다만..

단언은 아닙니다.

어차피 개인마다 차이가 있을 테니..

제주도분들이라면
그렇게 신경쓰이는 얘기는 아닐 텐데요...??
한국사랑만… 11-09-10 14:24
   
단체로 비슨이 신고갑시다.    유언비어로 분란의 중심엔 항상 이분이 계시네요.

제가 먼저 스타트 끊겠습니다.
안광낭낭 11-09-10 14:36
   
하.... 중국은 인간이 너무 많아서...
아시아계들중 무서운것들이 중국계랑 인도계ㅋㅋㅋ 머릿수도 너무 많고...
그나저나 비슨님은 좀 자제좀 하시지... 아주 난리 났네요. 일본어는 책을 읽어볼때마다 느끼는거지만 정말 문장들이 간결한 편입니다. 간결하면 번역하기도 상대적으로 쉽습니다. 그 간결함이 일본어가 열등하다고는 생각하지 않아요; 일본 싫어하는거야 한국인이라면 ㅋㅋ ㅋㅋ 뭐 ㅋㅋ 더 말할것도 없겠지만 그렇다고 무조건 열등하다고 하긴 좀 그렇네요... 언어란게 장단점이 있잖아요. 언어의 우열을 가린다는건 미련한 짓이죠... 
그러나 확실히 한글이 쓰기 편한건 맞아요. r이나f발음 같은게 없긴 하지만 어쨌든 비슷하게나마 모든 나라의 언어를 소리나는대로 한글로 받아적을 수 있잖아요. 그게 다른 몇몇 언어에선 생각보다 쉽지 않더라구요...
중앙동장닭 11-09-10 18:46
   
비슨//;;; 뭔가 전문적이게 쓴다고 쓰신것 같은대... 죄다 별로 설득력이 없어 보입니다. 지금 현재를 봐야죠... 지금 경상도 사람들이 대체적으로 ㅓ 발음이 안돼는 것도 아니고 일본 에서 ㅓ 말고도 다른 수많은 발음이 되는 것도 아니지 않습니까?
     
비슨 11-09-10 21:00
   
일본인들이 외국어를 못하는 건..
'ㅓ'라기 보다

모든걸 음절화해서 발음하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사실 많은 언어들이 'ㅓ'발음은 없지만
무리없이 외국어를 하고 있죠.


일본어는 위에도 썼지만
일본어는 외래어가 많고,
그것을 음절화해서 발음합니다.

ballpen을 bo-ru-pe-N으로
building을 bi-ru(길어서 발음을 단순화해림)
field를 Φi-ru-do(Φu-i-ru-do)로..원래의 발음과는 좀 이상하게 되버리는 경우가 흔합니다.
(Φ는 f와 비슷합니다.. 한글의 'ㆄ')

이것 때문에 다른 나라어든 학습하는데 지장을 주고 있죠.


한국어는 형용사적인 표현도 풍부하지만
이중모음이 굉장히 발달했습니다.

한국어 절반이상이 모음이니까요.

이건 외국어나 다른 언어를 사용하는데 분명히 도움이 됩니다
          
중앙동장닭 11-09-11 02:07
   
일본 문자나 언어에 한계가 있으니 음절화 할수 밖에 없는 겁니다. 그에 비해 한국어는 모르겠지만 한글의경우 그 한계가 있을지 언정 분명 일본어보다는 그 폭이 넓습니다. 위에서 나온 내용은 그게 주가 되야지 이래 저래 쓸때 없는 가지를 붙여서 변호하려 하지 마십시오.
               
안광낭낭 11-09-11 04:31
   
제말이요... 받침으로 사용할 수 있는 문자가 없으니 당연히 음절화 하는건데 도대체 뭘 말하고 싶은건지 모르겠음...
그리고 bi-ru라고 표현하시는데 ㅋㅋ 더 일본어에 가까우려면 차라리 한글로 비-루 라고 쓰시는게 더 가깝습니다. bi-ru라고 하면 이제 일본인들이 개그 소재로 쓰는 외국인의 혀꼬부라진 일본어 발음이 되고 말죠
중앙동장닭 11-09-10 18:55
   
전에도 이런 글을 쓴 적이 있었는데...
한국어 발음 40개입니다.


가, 거, 고, 구.. 글자는 다르지만

발음은
ㄱㅏ[ka], ㄱㅓ[k∂], ㄱㅗ[ko], ㄱㅜ[ku],
모두 ㄱ[k]로 발음합니다.


그리고 문자와 언어는 다른 것이죠..
=====================================================
특히 이부분은 어떻게 받아들여야 합니까? 생트집을 해도해도 너무하다 생각드시지 않는지...
가.... 거.... 고....구... 이게 같은 발음? 그럼 영어는몇개 발음이나 될까요...? 한국인이 아니신가
보군요... 쯤쯤쯤... 정말 추합니다.
     
비슨 11-09-10 21:13
   
전에는 한글이 1만개를 표현한다느니..
모든 소리를 할 수 있다고 믿어서..
그렇게 얘기를 했습니다만..

알고보니 그건 일부 사람들이 상당히 부풀린 것이거더군요.

우리가 영어를 해도
안되는 발음이 많은 게 사실인데...


사실 한국어가 40여개를 발음한다는 게 적은 게 아닙니다.

영어도 40여 개 정도만 발음하고,
다른 나라들도 큰 차이가 있는 게 아닙니다.

한글의 자모음을 하나씩 펼쳐가며 써보세요.
ㄱ-ㄲ-ㅋ-ㄴ-ㄷ-ㄸ-ㅌ-..-ㅎ.. ㅏ.ㅑ,ㅐ,ㅒ...ㅣ.. 자음 19개, 모음 21개로 도합 40개입니다.
(ㅇ은 초성일 때는 소리가 나지 않지만 종성일 경우 ŋ)


어떤 사람들은
가,거,개,게...다 다르다고 주장하는데
가의 ㄱ과 거의 ㄱ은 같은 ㄱ을 발음을 하는 겁니다.

흔히 말하는 소리가 많다는 건
실제로 소리로 많다는 게 아니라
조합된 코드가 많다는 겁니다.

조합 가능한 한글 코드(125×96×138): 1,656,000개
완성된 한글(124×95×138): 1,625,640개
조합 가능한 비표준 한글: 총 16,989개
채움 문자로만 구성된 한글: 1개
초성, 종성만 있는 비표준 한글(124×137): 16,988개
∴ 표준 한글 총 갯수(조합 가능한 한글 코드 − 비표준 한글): 1,639,011개


그리고 한국인들은 유무성음을 구별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공공 [koŋ-goŋ]', '부부[pu-bu]', '도도[to-do]'라고 발음하죠.
굳이 유무성음을 구별할 필요는 없지만

외국의 많은 언어들은 유무성으로 구별하기에
외국어를 배운다면 중요할 수는 있겠습니다.
          
중앙동장닭 11-09-11 02:00
   
발음의 사전적 의미와 개념을 잡고 글을 써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한국어가 유성음 무승음을 잘 구별 못하는건 이해 하겠습니다. 당장 그것 때문에 해외 어학연수 가기도 하기 때문이죠. 그런대 올라온 글을 봐보세요. 뜬금없이 쓸때 없는 발음 내용에서 무성음 유성음이 왜 나옵니까? 재발 가지고 있는 지식이 딸린다고 은근슬쩍 물타기 하지 마세요. 정말 없어보입니다.
레지T5 11-09-10 19:41
   
다 필요없고 비슨 조선족은 모이자가서놀아
쥐드래곤 11-09-10 20:23
   
이상한 사람이 있네요

경상도 토박이인데요

어 발음 못하는 장애인 본적도 없네요

어어어어어어어어어어ㅓㅓㅓ어어어어어어ㅓㅇㅇㅇㅇ어ㅓㅓㅓㅓㅓㅓㅓㅓㅓㅓㅓㅓㅓㅓㅓㅓㅓㅓ

혐한 소스 연구중인 분 같은데

좀더 분발해주세요

간바레~
비어홀릭 11-09-11 00:47
   
비슨//저 부산사람인데여 ㅓ 발음 못한다거나 쌀을 살로 읽는다는건 진짜 몇십년전 이야기입니다 젊은 사람들중에 저 발음 못하는 사람 없어여 5-60대 이상이면 모를까? 울나라가 발음 잘 안되는건 영어 f 나 v 또는 r 밖에 없음
그것도 소리내는 요령만 갈켜주면 잘만 발음함 입모양 즉 입술과 윗니의 위치 혀를 뒤로마는거 그거 밖에 없더만;;
비어홀릭 11-09-11 00:50
   
그리고 대화가 어색한건 발음보단 억양 문제가 크죠 사투리 안쓰려고 해도 잘 들키는건 발음보단 억양때문임 외국인이 울나라 말해서 어색한거 대부분이 억양탓이구요 울나라가 영어할때도 억양때문에 어색하게 느껴지죠 경상도 사람이 발음 안된다는거 보면 어이가 없죠 발음은 다 되지만 어렸을때부터 배워온 억양 때문에 사투리 티가 나는거
콩달 11-09-11 01:33
   
비슨&#160; 님
일본어발음을모두할수있는한글이 발음사십개라는것은 모순이네요
그리고 어는 사람들말이 맞아요
일본인들이 어를 한다면 소리를따라하는식으로는소리흉내로낼수있지만 표기혹은 '발음'할수는없죠 그저그비슷한소리를낼뿐 저언어에는 없으니까요 그런데 한국에서는 일단 어가 표기가능하며 경상도사람이라고 어를 모르진않죠 어가분명한글에는 있으니까요&#160; 그러므로일본어에서어가아예없는것과는많이다릅니다 어의소리를조금교정해주면될뿐
그리고 한국어발음이 40개라는 설은 전혀 없는설이죠 님의머리속에만있을뿐
게와개도 분명다르게 발음되며 설사그차이를둘수없다해도&#160; 가갸구규고교개걔기 식으로 ㄱ부터 ㅎ까지했을때이미 126개고 거기에 종성과 거센소리나 된소리의 자모들까지하면 천은 가볍게 넘습니다. 그리고 님께서밀한그조합들이 발음도 가능하므로 만개가 과장은있을수있어도말이않되는게아닙니다


그리고 ㅓ 가 다른언어에서 중요치않단건 또 뭡니까 완전 이상한 쐚 같은 발음이 아니잖아요 세계공용어인 영어에서도 써니 썬 서브웨이 어웨이 어니언 싸커 등등 수없이 쓰이는데  ..  그건분명히 어에요

어쨌든 그럴싸한 전문용어로 눈속임하면서 알맹이는 맞는 것도 없는 게 딱 날조 쪽발돋네요; 말투도재섭구..
그리고 어가 그렇게 세계적으로 흔한 발음인데도 못하는 쪽바리가웃기지않웃기나요 ㅎㅎ
 맥그도나르도 이러고앉아있는애들이 자기네언어가완성도가높다는데 안웃겨? ㅋㅋㅋㅋㅋ
안웃기믄 말구.. 비슨진정한쪽국의한마리천박한원숭이인증이지 뭐.. ; )
콩달 11-09-11 01:37
   
그리고 비슨씨 영어에서 발음안되는 거 뭔지 가져오시구요 제가 힌글로 다 표기해드리죠
일본인이 한국어배워서 아직 못읽는게 많으신가부네요 ; )
toriny97 11-09-11 13:11
   
여지껏 살면서 단무지들이 바둑 잘한다고 단 1초도 생각한적이 없는데..무슨 바둑강국??  ㅋㅋ
bright 11-09-11 14:19
   
hey crazy japan munkeys pls fuck off~
Severus 11-09-11 14:26
   
아직도 논쟁중이네
coffee -> コーヒー코히 로 발음하는 일본 ㅋㅋㅋ
우리도 코히라고 합니까?
'ㅓ' 발음갖고 물타기좀 하지 마세요-_-
오캐럿 11-09-11 16:09
   
좋은 번역에...유저 한분의 논점의 관점은...한글이 우수하지 못하니 인지하라는 나름의 논리을 펼치나...
말씀의 논지에서 벗어나거나 잘못된 예을 근거로 드는 등...토론의 여지가 없어 보입니다.
국어학(國語學)에 관심이 많으신 듯하니 아래 주소을 클릭하셔서 나름의 논지을 펼쳐보시길 바랍니다.
http://kang.chungbuk.ac.kr/zbxe/lec_dis
느끼는 건.... 비판을 가장한 비난이 하고 싶은 모양새입니다. 왜...한글을 쓰시는지...버리십시요.

본문의 번역을 여러번 읽었습니다. 웃고 싶을때마다...개그 같다는 생각이 들어...몇번을 읽었지만...
역시나...재밌는 2ch의 댓글이였습니다.

//파일럿/님 고생하셨습니다. 재밌는 번역이라 여러번 읽었습니다. 번역 잘 봤습니다....^^!
bright 11-09-11 19:23
   
The 6th Korea Prime Minister Cup International Amateur Baduk Championship starts from Oct. 20 in Pohang city. About 90 people from 72 countries, representatives of each country and guest officials of AGF, are invited to compete and see which country has the best amateur player. Besides the championship, there will be various events such as team tournament, simultaneous games by pros, and photograph exhibition of Korean Baduk history. It is also a venue for the AGF general meeting The Korea Prime Minister Cup has a huge sponsor, the Korean government. For years, the Korean government aims to promote Baduk over the world so that it has been supporting Baduk culture in various ways. This festival is one of the efforts we can see. They support the accommodation, meals and travel expenses of the representative players and official guests The championship is about a month away, and WBaduk team will be there broadcasting the biggest international amateur championship. Let’s enjoy the festival together here with us
화려한오후 11-09-12 06:38
   
언어중에 이런언어 있습니까?

훈민정음(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
훈민정음은 1962년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었습니다. 현재 서울시 성북구 성북동 간송미술관에 보관되어있으며 책으로서의 훈민정음에는 “나라말씀이 중국과 달라 한자와 서로 통하지 않으니…”라고 한 [훈민정음예의본] 과, 글자를 지은 뜻과 사용법 등을 풀이한 [훈민정음해례본]이 있다. 1997년 10월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이거면 됬지 경상도분들이 어발음이 나는분이 있건 안나는분이 있건, 전라도분들이 말투가 틀린분이 있건 전라도 사투리를 쓰시던, 상관이 있습니까? 참고로 저 부산에서 30년 가까이 산 부산 토박이구요, 비슨님이신가? 가 제시하는 발음 안된다는거, 제주도방언 제대로 들어보셨나요? 그분들은 발음 거의 다 되십니다.
돈빌려드림 11-09-12 09:10
   
도데체 오목과 바둑의 차이가 뭐냐
ID : CFkF​​6WLn0


그건 오목과 바둑 인거지..
우왕굳 11-09-13 16:23
   
일본언어 짜집기해서 만든거 아닌가요
한자랑 백제인가? 신라인가? 그때쓰던 문자(쓰다가 일본에다가 버림)하고 짜집기한거
쪽빛하늘0 11-09-14 14:26
   
중간에 댓글 읽다가 내가 뭐 보고 들어왔는지 헷갈렸네...

자기 잘난맛에 취해서 삼천포로 빠져도 너무 많이 빠진 댓글 때문에..

과유불급이라고...넘침은 모자람도 못하다고 했는데..적당히 좀 하지..

그런 얘기 들어줄 준비도 안돼있는데..
팽귄 11-09-14 21:26
   
지글이 100프로 맞다고 믿는인간임 다른사람 글은 눈에도 안들어올껄요 ㅋㅋ 뭐 경상도 사람 어 발음을 못해 친구들끼리대답헐때도 어를 쓰는데 그리고 ㅋㅋ 아웃겨 일본문자는 발음이없어서 미국어를 한국처럼 70~80프로원음과비슷하게발음나게못적고 완전 일본고유단어처럼들리지 적을수밖에없어 그만큼 한국어보단 단어를 만들수있는 갯수는 적을수밖에없음
루키LEE 11-09-23 05:22
   
잘보고갑니다
빨간펜 11-09-24 07:38
   
제가 보기엔 비슨님이 상당히 음운학적인 지식이 있는 것 같군요. 음운학적으로 ㅓ 발음이 애매한 발음이긴 합니다. 그리고 경상도 사람들 ㅓ 발음 명확하게 잘 안되는 건 사실입니다. 서태지와 스테지 많이 헷갈립니다. 그렇다고 경상도 사람들만 그런 건 아니고, 서울 사람들도 개인에 따라서 잘 못하는 사람 많습니다. 제가 서강대 나왔는데 가끔 스강대라고 발음하는 서울 것들 많더군요.

모음은 원래 자음과 달리 그 발음의 경계가 모호합니다. 히브리어 같은 경우는 모음은 아예 표기를 하지 않죠. 한국어에 기본 모음이 많은 것은 좀 특이한 현상인데, 한국어를 영어로 표기하는 데 가장 어려운 점이기도 하죠.

예를 들어서 "ㅓ" 발음을 u 로 표기하면 많은 사람들이 ㅜ 로 읽을 것입니다. 서 씨를 Seo로 표기하면 거의 대부분의 외국인은 쎄오 라고 읽을 거구요. 더 어려운 건 ㅡ 발음인데 대개의 언어 체계에서 "ㅡ" 발음은 독자적인 음가를 가진 모음으로 인정하지 않거든요. 아프리카 축구 선수들 중에 음보마 이런 이름을 표기한 걸 보면 MBOMA로 표기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문자와 발음이 다른 것도 맞습니다. 현대 한국어에서 ㅔ 와 ㅐ의 구분이 거의 없어졌죠.
Dann 11-09-24 18:20
   
이게 대체 무슨 말인지 궁금하기가 그지없군요.

한국에서 20대 중반정도만 되도
ㅔ/ㅐ , 이중모음 구분 못하고 발음 못하면
진짜로 상찌질이 취급 받습니다.

ㅔ/ㅐ 발음을 못 할 정도면 초등학교때부터 공부를 안한 것이지요.
올바른 발음이 얼마나 그 사람의 가치를 올리는줄 아십니까.
대역죄인 11-09-24 21:58
   
아니 처음에 비슨님이 댓글단거 별로 그렇게 공격적이지도 않고

아 네 그렇군요 하고 넘어가면 될것을 죽자고 달려들어서 --

비슨님 말하는게 어찌보면 잘난척하는 것처럼 보일수도있는데

그럴때는 그냥 아 그렇군요 하고 넘어가면 되는겁니다

인생 정말 피곤하게 사시네들...
크레모어 11-11-01 10:13
   
새삼스럽게..머리가 틀리잖어
산속에뜬달 11-11-04 13:28
   
추월당한지 언젠데.... 뜬금없이~
아이리스 11-11-04 16:29
   
잘 보고 갑니다~
블랙준 11-11-25 23:59
   
바둑은 두뇌스포츠라고 하지만
체스나 장기에 비해 수가 무궁무진해서
정석도 시간이 지나면 퇴물취급 받지요 ^^*
귓싸대기 12-06-17 20:37
   
바둑 이야기 하다.. 언어학자 몇분 납시셨군... 쯧쯧...;;

자장면이라 표준으로 정하고... 통용은 짜장면임..

표준어도 제정/보급 도 제대로 못하면서... 여기서 이러시면 곤란합니다.
ㅇㄹㄴ 22-05-18 07:09
   
잘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