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반응
(구)사회/문화 해외반응
HOME > 해외반응 > 사회/문화 해외반응
[WD] 한국 거주 외국인 "서울의 아파트 밀집지구" 해외반응
등록일 : 22-03-18 19:10  (조회 : 27,720) 글자확대/축소 확대 축소 | 프린트

서울의 빽빽한 아파트 지역 사진에 대한 해외반응입니다.
부정적인 반응이 대부분일 거라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다른 반응이 많았습니다.


000.jpg



<댓글>

dc2015bd
너무 빽빽하잖아.
좀 적당히 하지.


ㄴNew_York_Bird
사람들이 너무 많은거야!


ㄴCydeWeys
New_York_Bird/그런 얘기를 하는거보니까 뭔가 이상한 생각하는거 아니지?


ㄴMJDeadass
New_York_Bird/한국은 실제 출산율이 낮다고.


Remarkable-Cost-4746
거리를 보면 그렇게 나빠보이지는 않아.
나무도 많이 보이고 도로도 넓어서 걷기에도 괜찮아보여.
그리고 저기는 도심지역이 아니라 교외지역같아.


ㄴBillyChallenger
맞아. 서울에서 3년 반 살았는데 저런 흰색단지는 그냥 일부분이었어.


ㄴfancyenema
BillyChallenger/그래도 너무 엄청나고 기괴한 것 처럼 보여서.


ㄴOneOfThemReadingType
Remarkable-Cost-4746/저기 저렇게 많은 아파트가 있는 걸 보면 살기에는 꽤 좋은건지도 모르지.
물론 집안이 어떤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ㄴCueBallJoe
좀 더 다양한 색깔이었으면 좋았을텐데.
너무 똑같아 보여서 별로야.


ㄴMomoXono
보기에는 저래도 살기에 좋다면야 뭐.


ㄴKnightoforder42
MomoXono/저기에 살면 너무 붙어 있어서 다른 사람은 어떤지, 재채기를 하는지까지 알 수 있을 것 같은데.


ㄴBurial4TetThomYorke
MomoXono/중국이 저렇다면 반대로 말하거잖아.
진짜 살기 좋다면 더 자세한 거리 사진 좀 보여 줄 수 있어?


ㄴudongeureut
Burial4TetThomYorke/난 서울에 살고 있어.
어느 지역인가에 따라 다르겠지만 내가 살고 있는 잠실은 깨끗하고 녹지가 많아.
아파트는 부족한 점도 많지만 주변에 상점, 영화관, 학교, 마트, 카페 등이 몰려있어서 살기 편하고.
그래도 난 예전 서울의 거리 모습이 더 좋긴해.


ㄴClambulance1
Burial4TetThomYorke/지금 당장 사진을 찾을 수는 없지만 지금까지 봐왔던 걸 보면 아파트 주변은 걷기도 좋고, 상점도 많아서 살기 편해보여.
그리고 중국은 전부는 아니지만 아파트만 만들고 주변 상업지구도 없이 관리도 안되는 경우가 많으니까 조롱을 받는거고.


ㄴIrwinWintonian
Burial4TetThomYorke/BTS를 좋아하니까 비판을 안하는거겠지.


ㄴMaximillien
아무렇게나 만들어져있는 교외지역이냐 정밀하게 밀집해있는 교외지역이 좋냐는 문제겠네.


ㄴVariousAir
저렇게 높게 지어져있다면 교외라고 부르기에도 힘들것 같아.


ㄴGrande_Yarbles
거리 사진을 보면 나무도 약간 있긴한데 그래도 삭막해보이기는해.
https://www.google.com/maps/@36.4970096,127.2486338,3a,75y,352.73h,94.52t/data=!3m8!1e1!3m6!1sAF1QipOVNv8it81tOZZrlOie54P9x0pouRD1UbHgr-OD!2e10!3e11!6shttps:%2F%2Flh5.googleusercontent.com%2Fp%2FAF1QipOVNv8it81tOZZrlOie54P9x0pouRD1UbHgr-OD%3Dw203-h100-k-no-pi-0-ya99.04066-ro-0-fo100!7i8704!8i4352?hl=en


ㄴrapiDFire_BT
Grande_Yarbles/화려해보이지는 않지만 깨끗하고 살기 좋아보이기는 하네.
잘 모르겠지만 안전하고 아늑한 지역처럼 보이기는해.
허물어져가는 곳도 없어보이고.


ㄴstanleythemanley44
rapiDFire_BT/서울은 실제로 살기 매우 좋아.
보행자 도로같은 것도 매우 잘 되어 있어.


ㄴGrande_Yarbles
나도 홍콩에서 저렇게 비슷한 곳에 살고 있는데 사람에 따라서 호불호가 갈릴거야.
저런 환경은 나한테는 전혀 편안하지는 않더라고.
마치 거대한 기계안의 톱니바퀴처럼 느껴지던데.


ㄴ70697a7a61676174650a
Grande_Yarbles/도시 사람들은 다 기계의 톱니바퀴지.
그게 노숙보다는 나으니까.


ㄴGrande_Yarbles
70697a7a61676174650a/그렇게 노숙아니면 빽빽한 주택단지중에 하나를 선택할 문제가 아니야.
인구가 밀집되어 있어도 더 개성있게 만들어진 주택 단지들이 세상에는 많이 있어.


ㄴtripsafe
Grande_Yarbles/근데 저 거리 사진은 겨울이네.
나뭇잎이 있으면 더 푸르고 보기 좋을텐데 말이야.


ㄴargusromblei
Grande_Yarbles/내가 보기에는 그냥 일반적인 아시아 주택지역같은데.
쇼핑이나 식당 가기에도 편할 것 같고.


ㄴmadrid987
서울은 엄청난 인구 밀도라고 알고 있는데 거리에는 사람은 거의 없네.


ㄴAnswerGuy301
사진을 보면 상업지역은 보이지는 않지만 그렇게 나빠보이지는 않은데.
내가 알고 있는 북미의 아파트 지역은 근처에 진짜 아무것도 없어.
살기에 최악인 곳이야.


ㄴVvoiid
근데 여기오는 사람들은 미국의 교외지역을 정말 싫어하는거 아니였나.


ㄴuselesspeople
Vvoiid/미국 교외 사람들이 자신들이 사는 곳을 싫어하는 이유는 단지 복사+붙여놓기 때문이 아니야.
쓸데없이 토지를 너무 비효율적으로 사용하잖아.
자가용이 있다는 가정하에 모든게 만들어져서 치과나 편의점 같은 것들도 너무 멀리 떨어져있어.
다른 교통수단은 전혀 고려되지 않고 만들어 졌어.


ㄴRemarkable-Cost-4746
Vvoiid/미국은 정말 한국과 정반대지.


laza4us
실제로 보면 나쁘지는 않아.
하늘에서 보니까 더 안좋아 보이는거지.


obra_de_arte
그래도 디자인 비용은 절약했겠네.
복사해서 붙여넣기한 뭉터기들 같은데.


ㄴblending-tea
맞아. 비용을 절약하기 위해서 몇 개의 건설회사가 모든 걸 만든 걸 거야.


ㄴnachoolo
3~4개 정도의 다른 색깔을 사용했다면 더 멋져보였을텐데.
물론 비용은 더 들었겠지만 거주민들에게도 더 좋고 말이야.
건설회사들이 돈을 더 벌려고 하니까 저런 문제가 생기는거야.


ㄴColorfulPixels
요즘 새롭게 지어지는 아파트 지구는 훨씬 다양하더라고.
근데 3~5백만달러정도는 줘야할거야.


ㄴDrfarts2
작은 도시부터 서울까지 한국은 모두 복사 붙여놓기 한 것 처럼보여.


Limesmack91
내가 보기에는 거리 간격도 적당해보이고 나무도 꽤 있어보이는데.
너무 복사 붙여놓기만 아니면 더 좋았을것 같아.


ㄴEnough-Staff-2976
imesmack91/외관이 비슷한 콘크리트 모양이라서 더 그런 것 같아.


ㄴhoodieninja86
수만명의 사람들이 저런 똑같은 곳에서 산다는 건 너무 별로 같은데.


ㄴ70697a7a61676174650a
hoodieninja86/근데 그건 전세계 모든 도시들이 다 비슷하지 않아?


TheGoldlessOne
보기에는 별로 같지만, 미국 교외의 제멋대로 뻗어있는 주택지역과 비교해서 더 걷기 편해보이는데.
녹지 공간도 내가 가본 도시보다 괜찮아보이고.
저정도 높이나 밀집은 다른 곳과 비교해서 그렇게 심한것도 아니야.


9848683618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살고있을거라고 생각해?
모든 사람들이 다 멋진 집에 산다고 생각하는거야?
그건 불가능한거야.


ㄴis-he-you-know
내가 보기에는 사람들의 주요 불평이 외관때문에 그런 것 같아.
난 싱가폴 사람이라서 아는데 아파트는 다른 곳에서도 주요 주택공급 정책이야.
문제는 너무 단조로워 보인다는 거지.


ㄴi-brute-force
is-he-you-know/더 다양하게 만들 수도 있겠지.
근데 그러면 그 비용이 너무 많이 들잖아.


Nigel_fish
적당한 간격에 녹지도 꽤 있어보이고 해도 많이 가리지 않아서 괜찮아 보이는데.
미국 교외지역보다는 공간도 더 절약되고.


ㄴAtalantean
저런 곳이면 비교적 저렴한 임대료이지 않을까.
고급 콘도나 노숙자보다는 괜찮잖아.
서울은 사람이 많으니까 저렇게 짓는거겠지.


ㄴudongeureut
저렴하다고?
서울 아파트는 실제로 엄청 비싸.


whoatemycupoframen
더 디자인이 좋았으면 좋겠지만, 녹지도 있고 빌딩간 거리도 괜찮아보여.
나같으면 저기에 살 것 같아.


pink_life69
그렇게 나빠보이지는 않는데.
물론 무슨 공산국가의 단조로운 건물 처럼 보이기는 하지만 건물간 간격도 적당히 떨어져 있어서 사생활 걱정할 필요도 없을 것 같고.
도로도 넓어보이고 걸어다니기도 좋아보여.


whymustveibeenborn
미국 교외지역에 도입하고 싶다.


Rude_Country8871
그렇게 이상해보이지는 않아.
깨끗해 보이고 꽤 실용적으로 만들어진 것 처럼 보여.
한국이 그렇게 넓은 것도 아니니까.
미국 교외의 무질서한 가정집보다는 더 좋지.


cosmic_spread
다양한 색깔, 태양광패널, 지붕에 녹지공간 같은 것들이 있었다면 멋졌을거야.
그런게 없으니까 삭막해보이기는 하다.


asmiktoo
거리를 따라 녹지도 보이고, 멀리 뒤에는 구불구불한 언덕도 있고 또 건물들이 너무 밀착되어 있지도 않네.
길거리에서 보면 괜찮을 것 같아.
이정도면 괜찮은거지.
더 나쁜 곳도 많이 있는데.


iordanos877
걸어갈 수 있는 거리에 학교나 상점, 오락거리가 있으면 살기 괜찮겠는데.


Upbeat-Examination80
저런 곳은 살기 나쁜 곳이어야하는거야?
가끔 보면 사람들은 너무 불평을 많이 한다니까.


shyDMPB
미국 교외의 똑같이 찍어놓은 가정집 보다는 훨씬 낫다.
아시아 사람들은 외딴 곳에서 혼자 사는 걸 좋아하지 않나봐.
저렇게 모여살면 편의시설도 가까워서 살기 좋지.


NoWinter8558
'똑같아 보여서 나쁘다'고 보이게 하려는 의도의 포스팅이야.
근데 저런 곳은 매우 깨끗하고 공원이나 편의시설이 잘 되어있어서 실제로는 살기 좋다고.



번역기자:알라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Creative Commons License
번역기자 : 알라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바두기 22-03-18 19:18
   
잘봤습니다.
가출한술래 22-03-18 19:31
   
잘봤습니다
타키온 22-03-18 19:51
   
저런 대규모 단지에 개성을 강조하면 조잡해질 것 같아서
차라리 단조롭고 평이한 디자인이 더 낫지 싶네요
물론 익숙하지 않으면 미로에 들어간 기분이 들 듯...
골드에그 22-03-18 19:59
   
잘봤습니다.
수염차 22-03-18 20:00
   
너무 똑같아서
미니어처를 보는듯한 착각을....

다만 저기 아파트들은 엄청 고가란 사실...
층간소음만 적당히 개선하면 좋은 주거환경인듯...

근처에 필요한 모든것들이 갖추어진 좋은 주거지역
진남이 22-03-18 20:14
   
단지형 아파트. 21세기 최악의 미관이죠
아파트 단지 성냥갑 디자인이라도 개선좀 했으면 좋겠네요
이름어려워 22-03-18 20:16
   
나라가 작은데다  그 작은 면적의 70%가 산이라  닭장 지을수밖에 없음
netsisgun 22-03-18 20:27
   
잘봤습니다
지해 22-03-18 20:35
   
가격을 알면 자빠질 사람들이...
샤넬케이 22-03-18 20:48
   
이 사진에서 보이는 중앙 구역을 공원 녹지대로만 바꿔도 괜찮은 도시 미관 나올텐데.
우리나라 사정상 아파트 단지 밀집 지역은 존재할 수 밖에 없는데 구획 설정이 너무 빽빽해서 미관상 별로인 듯.
아니야 22-03-18 21:47
   
근데 아파트 외관 신경 쓰면서 사는 사람 있나?
인프라 좋고 살기 좋으면 다 넘어 갈 수 있는 문제임
글고 미관 멋있어봤자 아파트 가격만 비쌈
광교나 송도가 비싼 이유
Tobi 22-03-18 21:55
   
잘 봤습니다.
호로파 22-03-18 22:06
   
서울이 아니고 세종이네요
KNVB 22-03-18 22:29
   
요새는 아파트도 높이, 조형, 색깔에서 다양한 모양을 넣으려고 하지만, 과거만 해도 판상형 일색이었죠. 반경 구역 얼마까지는 아파트 신축할때 주변과 동일한 디자인으로 짓지 말고, 다른 모양으로 지어야 건축허가를 내준다는 규칙이 있으면 좋겠네요. 아파트라도 서로 높이, 디자인이 다르게 섞여있다면 덜 지루할듯요.
     
호로파 22-03-18 22:31
   
과거도 아니에요 저기 준공년도가 2017 2018년이 대부분 신축인데도 저모양으로 지엇네요
아무아무 22-03-18 23:42
   
저게 그나마 나아진거죠 옛날 복도식 아파트가 진짜 성냥아파트인데ㅋㅋ
     
retinadisplay 22-03-20 09:26
   
일본디자이너의 작품이죠.
countryboy 22-03-19 00:25
   
저거 돈좀만 들여서 지붕모형 만들면 훨씬 이쁜데...... 아파트 허가낼때  미관도좀 평가해서 허가 내줬으면 좋겠네요.... 차타고 가다보면 아파트 모양 이쁘게 생겼으면  그도시 분위기가 훨씬 고급스럽 던데...
일경 22-03-19 01:11
   
장점.
1. 사람이 모여 있는 만큼 생활에 필요한 많은 공공시설이 잘 돼있고 상가도 가까워서 편하다.
2. 아파트의 내부 넓이는 생각보다 넓다. 우리나라 국토 크기와 인구를 생각하면 이보다 효율적일 수 없다.
3. 기온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 건물 외부와 만나는 면적이 작아서 단열이 잘돼 여름에 시원하고 겨울에 따뜻하다.
4. 관리가 편하다. 밀집된 지역은 관리에 필요한 자원이 적게 든다.

단점.
1. 사람이 너무 많다. 실제로 보도에 사람은 거의 없으나 출퇴근에 도로에 차량이 많아 차가 막힌다.
2. 도시 외관이 삭막하다.
3. 집값이 비싸다. 우리나라 아파트는 외국 아파트보다 상당히 시설이 잘 돼있다. 그래서 평 당 가격이 후덜덜하다.
주택은 싸게 지으면 가격이 상당히 낮다.
4. 마당이 없다. 대부분의 녹지나 놀이터 공지 등이 다 공공시설이다. 이용은 할 수 있으나 개인적인 공간이 아니다.

참고
집이 ctrl+c ctrl+v라는 말이 많은데 아파트가 아니라 주택도 복붙이다.
미국의 주택가를 가면 집 구조 다 똑같다.
주택이든 아파트든 대규모 단지를 건설하면 구조를 통일하는 것은 똑같다.
할말할일 22-03-19 03:06
   
직접 살아보지도 않고 불편할거라 생각하는 외국사람들 ㅋㅋ
서울은 더 올려야죠. 인구 밀도 너무 높음
자기자신 22-03-19 03:14
   
잘 봤어요
준수다 22-03-19 04:37
   
저거 한채에 얼마인지 알면 놀랄듯
성자재블린 22-03-19 05:57
   
우리나라야 아파트가 고급 주택단지 이미지지만 외국 특히 유럽이나 미국에서는 전형적인 서민 주택 이미지죠
그러다보니 저렇게 집단으로 된 단지도 거의 없고 서민도 그냥 서민이 아니라 극빈층이 사는 이미지인데다 심지어 아파트 주변은 우범지대 이미지까지 있다보니 그런 건물들이 저렇게 집단으로 몰려 있으면 저 동네는 얼마나 끔찍할까하는  선입견 같은게 작용한다는 거
한국 아파트에서 1년만이라도 살아보면 절대 이런 생각 못하죠
그냥 자기들 기준으로 생각하는 거라는 거
크레모아 22-03-19 06:14
   
실제로 살아 보면 주변에 인프라가 잘 갖추어져 있어서 살기에는 엄청 편함.
한국의 아파트들이나 중국의 아파트들이나 멀리서 보면 비슷하게 삭막해 보이기는 한데
가까이 가서 봐도 인프라가 제대로 안 갖추어진 삭막한 중국의 아파트들과는 비교 대상이 아니지.
스베타 22-03-19 06:39
   
댓글 에서도 나왔듯이 색이라도 조금 다양하게 칠했으면 좋았을텐데..
신서로77 22-03-19 07:46
   
대단위 아파트단지는 환경문제를 최소화되고 에너지효율적인 주거환경이라던데 ...
잔재 22-03-19 09:27
   
삭막해보여도 실제 특히 요즘신축아파트들  내부 외국인들이보면  놀랠듯 ㅋㅋ  다 최첨단이고  개좋음 진짜
선준 22-03-19 09:38
   
잘 봤습니다
통통통 22-03-19 09:40
   
잘 보고 갑니다
스시롤 22-03-19 10:28
   
아파트 단지라고 해서 무조건 부정적인 시전을 갖는건 그냥 편견 같은데 특히나 외국인들 외국인들이야 아파트 하면
돈없는 사람들이 사는  싸구려 집이라는 느낌이 강하잖아
막상 한국 아파트에서 살다보면 주변환경 조성도 잘되있고 편의시설도 잘되있고 아파트 내부도 깔끔하고
작곡가 22-03-19 10:29
   
외국인들이 저런 사진보고 가장 착각하는게
1.서양에서는 보통 아파트는 가난한 사람들이 사는 곳이라 시설이 안좋고 주변 환경이 열악한데 한국 아파트는 시설 자체가 서양과 차원이 다르고 주변 환경도 차원이 다름. 한국은 중국처럼 무법천지가 아니라서 법적으로 건물을 지으려면 땅의 일부분은 녹지공간으로 빼야 해서 녹지공간 조성이 잘 되어있고 주변 인프라가 좋아야 아파트값이 올라가서 대부분 환경이 좋음.

2.회색 빌딩밖에 없는 삭막한 나라라고 하는데 멍청한 서양인들은 와보지도 않고 국토에 대부분이 건물밖에 없는줄 아는데 실제론 지들 나라보다 산림률이 월등히 높음. 한국 산림률이 세계4위임.
가장 삭막해 보이는 서울도 곳곳에 공원이 있고 어는 도로에나 나무가 있고 빌딩 사이로 고개를 어느곳으로 돌려도 산이 보임.
갈천마을 22-03-19 12:30
   
근데 디자인 진짜 너무구리다. 요새 지어지는 아파트들은 이쁘던데; 리모델링 필요함
비오는새벽 22-03-19 15:31
   
높은곳에서 내려다 본  거리뷰라서 저런거지 지상에서 찍었으면 괜찮은 그림도 나오죠.
밤프림오일 22-03-19 18:51
   
제발 층간소음 강하게 규제하는 법 좀 만들었으면
나이스가이 22-03-20 03:20
   
어느 나라든 도심 아파트는 무진장비쌈 한국만 비싼거 아님

그리고 한국아파트들은 외국 같으면 죄다 고급아파트들임
carlitos36 22-03-21 07:53
   
잘봤습니다,,,
구르미그린 22-03-21 16:12
   
서구는 중산층, 부자들이 도심 아파트보다 교외 단독주택 거주를 선호하는 경향이 강합니다. 그렇기에 코로나 시기에는 미국 도심 집값 하락 현상이 일어나기도 했습니다. 반면 한국은 전혀 그렇지 않기에 코로나 시기에도 도심 집값은 꾸준히 올랐습니다.
그럼 서구의 주택성향이 정상, 한국이 비정상이고, 한국이 서구를 답안지처럼 여기며 따라가야 할까요?
문제는 한국과 서구의 주택성향이 완전히 다른 현실에서, "한국 도시설계를 하는 지식인/관료들이 서구의 도시설계사상에 입각한 도시설계를 하고, 정책을 만든다는 것"입니다. 이로 인해 한국의 담론/정책이 완전히 꼬였습니다.
구르미그린 22-03-21 16:14
   
노무현 정부 시절부터 집값폭락론 주장하는 이가 많았고, 2017년 유시민이 "곧 인구 줄어 일본처럼 집값 떨어지고 취업 쉬워질 것. 문재인 정부가 어떻게든 몇년간 넘기면 숨통 트일 것"이라 전망했고, 정부가 그런 인식에 기반해 땜빵식 정책들을 내놓았습니다.
그러니 지금 한국 부동산시장 현실은 전혀 다르게 가고 있고, 이로 인해 각종 부작용이 커지고 있습니다.
노무현/문재인 정부 지지율 하락의 원인으로 가장 많이 꼽히는 것이 "집값폭등"인데, 민주당 찍지 않은 청년들이 저주하는 이만 많지, 집값폭등 원인을 제대로 분석하고, 앞으로 어떤 부동산 정책을 펴야 하는지를 논하는 이는 적습니다.
구르미그린 22-03-21 16:16
   
"집은 사는 것이 아니라 사는 곳"이라 말한 민주당 지지자가 많은 것에 비해, 서울 아파트를 보유했다가 최근 몇년새 팔고 다른 지역으로 간 민주당 지지자는 별로 없습니다. 그러니 선거 시즌 눈치 보면서 주춤했던 집값이 다시 오르는 분위기입니다. 정책 방향을 완전히 바꾸지 않는 한, 다음 정권에도 집값 폭등이 확실합니다,
"집은 사는 것이 아니라 사는 곳"이란 말이 현실에서 통하려면 우선 집값 떨어트려야 합니다. 일본이 집값 떨어져 망하고 있다는 글이 인터넷/언론에 넘쳤고, 21세기 한국의 주요 정책 논리가 "집값 떨어지면 나라 망하니 무슨 일이 있어도 집값 올려야 한다"는 것이었습니다. 그 결과 지금은 집값 대세하락 가능성이 전혀 없습니다. 집값상승률만이라도 낮추려면 외국인의 주택보유 막는 정책 펴고, 외국인 이주 정책 중단해야 합니다.
에페 22-03-25 15:01
   
번역 고맙ㅁ습니다
에페 22-03-25 15:01
   
아파트 투어하자
ㅇㄹㄴ 22-04-03 06:50
   
잘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