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반응
(구)사회/문화 해외반응
HOME > 해외반응 > 사회/문화 해외반응
[WD] 美 유튜버 "한국의 350년 전통 계승하는 합죽선 부채 제작자" 해외반응
등록일 : 22-03-15 18:47  (조회 : 25,162) 글자확대/축소 확대 축소 | 프린트

<영상설명>
김동식은 4대째 한국의 전통 부채인 합죽선을 만들고 있는 장인이다.
이 부채는 최소 350년 전, 조선시대(1392-1910)로 거슬러 올라가며 오직 왕실, 귀족들이 사용했다.
김동식 선자장은 현재 이 부채를 만드는 몇 안되는 장인 중 한 명이고, 제작 과정 전체를 통달한 사람이다.
*선자장: 전통 부채를 만드는 기술과 기능을 보유한 장인









<댓글반응>


HI LEE
저건 합죽선이라고 부르고, 기본 뼈대는 대나무 껍질로 만들어지고 한지를 붙여서 만든거야.
부레풀을 이용해 대나무 껍질을 전부 다 붙이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부채와 비교해 아주 급이 높은 부채라고 할 수 있지. 
동물 뼈나 피부로 만든 일반적인 접착제보다 훨씬 더 접착력이 뛰어나.
제작 과정도 워낙 복잡해서 조선시대때는 지방 행정조직에 사람들을 파견해 베테랑 장인들에게 세부 공정사항을 일일이 다 지시했어.
다행히 현대에는 제작기간이 크게 단축되었지. 
그리고 매난국죽, 산수화같은 멋진 그림들이 더해져 아주 귀한 골동품으로 정의되기도 해.
이렇게 접는 부채는 고려시대부터 시작됐어.
조선시대때는 부채 한 자루당 8~9개의 면직물 또는 529파운드의 쌀과 거래되었고, 과거에 합격하지 못한 귀족 계급은 부채에 아름다운 매듭 장식을 달 수 없었어. 서민들은 그런 사치품은 사용하지 못했고 심플한 종류의 부채만 쓸 수 있었지.
오늘날 손목시계처럼 부채를 통해 정체성과 계급이 무엇인지 파악할 수 있었어.

외부 장식에 따른 종류
1.다절선: 유명한 종류인데 부채 한 개당 사용하는 대나무 뼈대의 양이 정해져있어.
2.반죽선: 전주의 지역 특산물로 얼룩 덜룩한 반점이 있어.
왕에게 바치는 진상품으로 사용되었지
3.우각선: 소 뿔을 말아 붙인 부채인데, 재료가 비싸고 주로 양반계급의 무인들이 사용했음.
4.내각선: 겉대의 안쪽 부분을 소 뿔로 만들어 잡아주는 형태야
5.대모선: 아주 고급스러운 부채야. 바다거북 등딱지로 만들어져 최고의 부와 명예를 상징하는 부채임.
고위 관리들이 사용했지만 아주 귀한 물건이라 밖에서 자랑할 수 없었어. 
그 소문이 왕의 귀에 들어간다면 강제로 빼앗길 수 있으니..



Mionwang
한국, 일본 장인들의 세밀한 주의력과 정확성은 타의 추종을 불허하는듯!!


-AF
맞아.
오래되서 필요없어지는게 안타까워.
그래도 현대 기술이 훨씬 우월하니까~


-Kuto
그래도 저렇게 수작업으로 만드는걸 존중할 줄 알아야해
저렇게 완벽해지기까지 시간이 얼마나 오래걸렸겠어


I don't know who
와우!
저런 디테일이 필요하다니.. 깜짝 놀랐어!
엄청난 재능이 있는 분이네. 
그의 가족들이 이 전통을 계속 이어나갔으면 좋겠다.
나도 저 사람이 만든 부채 하나 살 수 있다면 영광일듯~!


-Bujuh
오~ 너도 이제 저 부채(fan)의 팬(fan)이 되었구나?


Luka
대형 패션 브랜드가 저 사람과 같이 회사를 차려야해
그리고 이런 사업을 계속 이어갈 수 있도록 수익금도 기부하는거야


Attila_The_Hunk
그냥 영상 보기만 해도 
엄청난 장인이라는걸 바로 알 수 있어
레전드다!!


Zee J
나 부채 좋아하는데 
이 부채는 정말 대단하다고 생각해
언젠가 한국에 간다면 꼭 사고싶어


Red Wine
부채 사고싶은 사람들을 위해 설명란에 웹사이트 링크를 올려줬네!


jmr1068204
젤라틴 바르고나서 다 같이 감쌀 때, 
서로 달라붙지 않도록 어떻게 하는거야?


-rainbow 6
바닥에 일종의.. 못 같은게 있어


Saad Nabil
중국이나 일본 부채랑 많이 다르네!!
예쁘다~!


-Vic Lau
아니, 이 한국 부채는 중국 전통부채를 그대로 따라한거야


-rainbow 6
그런 얘기는 어디서 들은거야?
니가 말하는 그 정보의 출처가 어디냐구


-rainbow 6
그리고 너 말대로 베낀게 맞다면, 저 영상 제목부터 달랐겠지!


-rainbow 6
게다가 한지는 한국에서 만든거지 중국에서 만들어진게 아니야.


-Vic Lau
중국은 수천년은 아닐지라도 수백년 동안 저거랑 똑같은 종류의 부채가 있었어.
동아시아, 특히 일본, 한국, 베트남은 고대 중국에서 빌려온 풍습과 물건들이 아주 흔하다구


-Vic Lau
이 부채가 중국에서 만들어졌다는게 아니야. 
난 그냥 이런 종류의 부채들은 원래 중국에서 기원한거라고 말하는거임


-Vic Lau
그리고 남이 발명한 물건을 내가 다른 이름으로 부른다고 해서
그걸 내가 발명했다는 뜻은 아니잖아?


-rainbow 6
지금 너가 하는 말은
개(dogs)는 늑대(wolves)를 완전히 카피한거라는 말 것처럼 들려


-Vic Lau
고대 중국 부채랑 저 영상속에 나온 부채를 비교해봐
그럼 내가 무슨 말 하는지 이해될거야.


Blender Study
영상 올려줘서 고마워..!
조선시대 부채들이 최고야


Mike Ross
나도 응원하는 마음으로 부채 사고싶다


-Red Wine
설명란에 웹사이트 링크 나와있어.
구매할 수 있을거야


Manu
너무 좋은데?!


Sam
이 영상 보고나니까 
왠지 사람들 가득한 방에서 저 부채 자랑하고싶은 기분이야..
아무렇지 않은 듯 가방에서 꺼내는거지.. 
모두들 쳐다보고! ㅋㅋ


K
아름다운 전통이야
만약 우리 세상이 저런 아름다움과 창의성에 더 집중한다면 
전쟁이나 혐오같은데 쓸 시간이 줄어들텐데


Ben Blakemore
저 사람.. 정말 대단하다!!


Benson
나도 큰 부채 하나 가지고싶어!!


luis colmenares
저 분에게 말해줘
방금 팬 한명 더 생겼다고 


2.._6..i._
이 영상 너무 마음에 들어


Andrew Small
열대기후에 살고 있는 사람으로서.. 난 그냥 에어컨쓸래
더위를 식히려고 이미 뜨거운 공기를 부채질하는건 아무 소용없거든


-Robert Gonzales
일반적인 부채 하나로도 꽤 큰 온도차이를 만들어낼 수 있어


oddly Satisfying videos 
아주 흥미로운 영상이야


KEN BOGUS
중국은 자기들이 이 부채를 만들었다고 말하겠지


HULL GRAFFITI
바람 좀 쐬는것 치고는 일이 너무 많은 것 같은데


Michelle Smith
저거 중국 전통이야.
중국에서 온거라구


N Baua
인도사람들은 대나무로 부채뿐만 아니라 바구니, 그릇도 많이 만들었어.
장난감이나 다른 공예품을 만드는 장인들도 있었고..
오래전 인도인들이 가지고 있는 지식은 중국 등 다른 나라와 
종이제작 기술이나 다른 기술들을 교환하면서 퍼져나갔지.
그래서 이런 전통들이 서로 비슷한 영향을 가지고 있는거야 


Rsquare Aaron
대단하다 정말 멋지네


Kevin C
나무를 무척 좋아하나봐


-Sylvain LE GUEN
대나무는 나무가 아니야. 
풀이지


Jelison Tejada
현대적인 기술을 사용해서 만든다면
350년 됐다고 말할 수 없지~~~




번역기자:위갓알리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Creative Commons License
번역기자 : 위갓알리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그린비2 22-03-15 18:49
   
어헝.. 1등~
호닷 22-03-15 19:14
   
댓글에 중국 묻었네.
     
호닷 22-03-15 19:18
   
합죽선(접선) 은 고려가 시초이다.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62332
          
다같은생수 22-03-15 19:35
   
정보 고맙습니다 ~
          
생각하며삽… 22-03-16 04:22
   
영어잘하시는분  저유툽영상가서 댓글에 써주셨으면 좋겠다 ㅠㅠ
          
천추옹 22-03-16 06:29
   
링크보니 일본이라는디
               
호닷 22-03-16 09:20
   
두개 기원설이 있다는 글을 그렇게 이해하면 정말 글을 어떻게 읽는 거임?
가출한술래 22-03-15 19:16
   
잘봤습니다,
user386 22-03-15 19:22
   
짱궤들 또 시작이네... 진짜 지들건 다 때려부시고 불태워서 놓고...ㅋ
니들이 원조인건 딱 하나 밖에 없어... 알지?...ㅋ
     
다같은생수 22-03-15 19:35
   
우한 바이러스!
     
짬고냥이 22-03-15 20:21
   
꼴리나????
수염차 22-03-15 19:34
   
머든지 지들이 원조.....
그놈의 지긋지긋한 중화사상....

우주는 중국이 원조.....머 이런건가
PaulSmith 22-03-15 19:42
   
동아시아 문화는 다 자기꺼라고 생각하는 중꿔~ ㅋ
골드에그 22-03-15 20:16
   
잘봤습니다.
하나박 22-03-15 20:45
   
근데 짱 골라들은 왜 저리도 우기는 거지? 저게 우겨서 지들거라고 인정되더라도 이미지 최악인 더럽고 미개한 역겨운 짱 개인건 변하지 않을텐데
EIOEI 22-03-15 20:49
   
원래 한자도 중국꺼가 아님
     
수염차 22-03-15 21:39
   
우리 한민족이 포함된 동이족과  한족도 포함된 기타등등 민족들이
다양한곳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만들어진 표의문자가 한자죠
     
ckseoul777 22-03-18 20:16
   
우리 세종대왕님께서 한글을 만들지않으셨다면 
어쩌면 한자를 사용할줄도모른는데 진짜
생각만으로도 끔찍스럽네요!!!
딸기매운탕 22-03-15 21:22
   
짱ㄲ들 또 ㅈㄹ거리네
레드만 22-03-15 22:34
   
흥미있어 찾아보니
"쥘부채는 우리나라에서 발달되어 중국에 전해진 것이다. 즉 1123년 송나라 사신 서긍徐兢이 지은 『선화봉사고려도경宣和奉使高麗圖經』에 “고려인들은 한겨울에도 부채를 들고 다니는데 접었다 폈다 하는 신기한 것이다.”고 하였다. 육당 최남선崔南善도 『고사통故事通』에서 “중국 부채는 원래 단선 뿐이더니 북송 때 고려로부터 접선이 들어가게 되었는데, 중국에서도 그것을 모방하여 나름대로 접부채가 일반화되었다”라고 하였다."
라고함.,
     
행복의뜨락 22-03-15 23:41
   
북송(北宋) 시기부터, 고려와 일본으로부터 아름다운 절선(折扇)이 끊임없이 중국으로 유입되자, 상대적으로 보잘 것 없던 중국의 절선은 거의 사라지게 되었다. 남송(南宋) 이후, 역사학자들이 절선(折扇)을 “물 건너 온 물건”이라는 뜻의 “박래품(舶來品)”이라고 생각한 것도 일리가 있는 것 같다.​

사실, 절선(折扇)은 중국이 원산지이긴 하지만, 북송 때 고려나 일본에서 들어온 절선(折扇)이 송나라의 것을 훨씬 능가할 정도로 아름답고 정교하였다. 유명한 소동파(蘇東坡) 같은 사람도 “(고려나 일본에서 들어온 접이식 부채의) 정교하고 치밀함은 중국이 따를 수 있는 것이 아니다”라고 칭송했으니, 역사 문헌에서 중국 학자들이 절선(折扇)을 외국에서 온 것이라고 착각(?)한 것도 무리는 아닌 것 같다.

중국 부채의 유래와 역사
https://m.blog.naver.com/cytchoi/221454798766
          
두둠칫 22-03-16 00:09
   
응? 제가 알기론 기원이 정확하지 않아서 한,중,일 다 원조 논란이 좀 있지만
일본의 최신 세계사 중 한 자료에는 고려에서 유래했다고 적힌 글이 있다하고
중국최초 관련자료에는 [송나라 사람 곽약허의 도화견문지에는 "신종 희녕 병진
(고려 문종 30년 1076년)겨울에 고려 사신 최사훈이가 접부채를 사용하였다] 라는데
이 블로그장은 대체 어떤 자료를 보고 중국이 원산지라고 단정짓는 걸까요?
그 자료 출처가 궁금한데 정작 안적혀있고 그냥 중국이 원산지라고?
          
o루루o 22-03-16 13:50
   
왠지 중국말만 나르는 연변족애 블로그 같음.
Tobi 22-03-15 23:12
   
잘 봤습니다..
감독 22-03-16 01:00
   
잘 봤습니다.
Tarot 22-03-16 01:19
   
중국인들에게 말해줘야죠. 공자는 한국인은 아닌데...한족 즉 중국인도 아니야. ㅋ
중국인들이 공자는 중국인이다를 듣고 싶어서 한국인이냐 아니냐 묻는데 절대 중국인라 하지 마시고 은나라 사람이라고 해주시길.
바두기 22-03-16 03:08
   
잘봤습니다.
자기자신 22-03-16 03:15
   
잘 봤어요
성자재블린 22-03-16 06:10
   
언제부터인가 한국 전통 문화 소개하는 영상에는 꼭 중국바퀴들이 달라 붙네
carlitos36 22-03-16 10:00
   
잘봤습니다
모를뿐 22-03-16 17:58
   
ㅉㄱ는 박멸이 답!!!
ckseoul777 22-03-18 20:13
   
잘보고갑니다 ^^
에페 22-03-25 14:25
   
벙역고맙습니다
에페 22-03-25 14:25
   
전통문화
ㅇㄹㄴ 22-04-03 06:51
   
잘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