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반응
(구)사회/문화 해외반응
HOME > 해외반응 > 사회/문화 해외반응
[WD] 해외네티즌 "한국 영화에 나오는 남성들의 멋진 생활 공간" 해외반응
등록일 : 22-04-06 19:44  (조회 : 31,983) 글자확대/축소 확대 축소 | 프린트


영화 조용한 세상(2006)나오는 장면 같습니다.
한국 영화에 나오는 남성들의 멋진 생활 공간


000.jpg




<댓글>

alexander248
TV에서 봤던 내가 가장 좋아하는 남성 공간은 '갯마을 차차차'라는 K드라마에 나왔어.
남녀주인공 집이 다 멋있지만 특히 남자 집이 더 마음에 들어.
https://i.imgur.com/MjbS20X.jpg


ㄴmochibathwater
책, 사진, 카메라...
홍반장 집을 투어로 만들었으면 좋겠다.


ㄴdan_oppa
나도 갯마을 차차차' 정말 좋아해.
영혼을 치유해주는 드라마야.
솔직히 그 해변 마을에 살면 완전 꿈같은 일일 것 같아.


ㄴIMIndyJones
dan_oppa/나도 너무 좋아하는 드라마야.
확실히 힐링 드라마고 내가 원하는 사랑과 삶의 모습이 닮겨져 있어.
보는 동안 행복했어.


ㄴdan_oppa
IMIndyJones/맞아.
그리고 OST '로맨틱 선데이'들으면 행복해지고 공진마을 자꾸 생각나더라고.


ㄴIMIndyJones
dan_oppa/가끔 들으면 마음이 차분해져.ㅋㅋㅋ


ㄴobi21
홍보 영상을 보니까 좀 유치해 보인던데 실제 그래?
아니면 포스터를 그렇게 만든거야?


ㄴdan_oppa
obi21/도시 여자가 시골 남자를 만나서 사랑에 빠지는 내용이니까 약간 오글거리는 내용이 있어.
근데 다른 캐릭터 이야기들도 탄탄해서 사이드 캐릭터까지 마음에 들어.


ㄴpiemakerdeadwaker
나도 그 쇼에 대해서 많이 들었어.
어떤 드라마야?
일상을 다루는 드라마야?


ㄴdan_oppa
piemakerdeadwaker/맞아.
일상을 보여주면서 주변의 작은 순간을 즐기고 잘 살라는 드라마야.
보게되면 마을, 모든 캐릭터, 해변, 그리고 ost까지 모두 사랑하게 될거야.
'김씨 편의점' 다 끝나고 나서의 아쉬움을 채운 드라마야.
'겟마을 차차차'를 다 보고서는 그 아쉬움을 '동백꽃 필 무렵'으로 채우고 있어.


gyunexX
게시된 사진은 한국 영화 조용한 세상(2006)에 나오는 장면이야.


tommy-b-goode
근데 난 한국에 살고 있는데 여기 아파트는 별로야.
매우 작고, 비싸고, 창문도 작고.
더 작은 곳은 욕조나 오븐도 없어.
좀 신기한 건 모든 아파트의 바닥 난방은 잘 되어있다는거야.
그게 정말 마음에 들어.


ㄴOvulatingScrotum
tommy-b-goode/서울의 저렴한 아파트를 주로 이야기하는 것 같은데.
원래 한국의 오래된 아파트에서는 오븐이 흔하지 않아.
왜냐하면 오븐 자체가 최근까지 잘 쓰이지도 않았으니까.


ㄴgyunexX
tommy-b-goode/여기에 또 다른 아파트 장면이 있는데 현실과 다르다는거야?
https://imgur.com/a/YovitZs


ㄴSodaCanBob
gyunexX/사이즈는 실제 한국 가정이 사는 것과 비슷해 보이기는해.
적어도 내가 방문했던 집과는 비슷해보여.
중산층, 교외쪽 가정.
근데 사진속의 벽돌 스타일은 좀 현실과 다르고 거실도 좀 커보이기도 하고.


ㄴtommy-b-goode
gyunexX/내 요점은 실제는 저렇지 않다는거야.
오히려 고향에 돌아가거나 다른 나라에가면 집은 훨씬 더 좋을거야.


ㄴdoublevsn
tommy-b-goode/너는 니 경험을 너무 일반화 시키는 것 같아.
다른 나라에서도 자기가 경험 한 것을 가지고 전체로 일반화 시키는 거랑 마찬가지잖아.
마치 미국의 앨라배마에 사는 사람의 경험이 모든 미국을 대표할 수 없는 것 처럼.


ㄴtommy-b-goode
doublevsn/난 한국에서 6년 넘게 살았고 서울뿐만아니라 다른 도시에서도 살았어.
그냥 내가 살았었던 다른 나라와 비교한거야.
한국에 대해서 불평한게 아니야.
여기서 계속 살기로 결정했는데, 그것만 봐도 아니라는걸 알 수 있잖아?
그냥 한국의 주택 상황이 마음에 안든다는 거야.


ㄴxakeri
doublevsn/서울에 살기 비싸다는데 왜 화를 내고 그래?


ㄴdoublevsn
xakeri/내 말 어디에 서울이 언급되었는데?
또 서울에 살기 비싸지 않다는 언급이 내 말 어디에 있어?
그냥 일반화 시키는 것에 대한 비판이야.


ㄴxakeri
doublevsn/그냥 아무것도 아닌일에 화내는 것 같아서.


ㄴdoublevsn
xakeri/글에 대한 해명을 요구한다고 해서 그게 화내는거야?


ㄴSodaCanBob
나도 한국에서 4년을 살았는데 기본적으로 미디어에서의 모습과 현실은 달라.
근데 그건 서양과 다른게 아니야.
서양 미디어에도 현실과 다른 삶의 모습이 많이 나오잖아.
그리고 한국집하면 온돌이 진짜 그리워.


ㄴcybervseas
기본적으로 한국 미디어도 '프렌즈' 드라마처럼 현실과 다른 아파트를 보여주는 것 같아.


ㄴtommy-b-goode
cybervseas/내가 봐도 그런 것 같아.


ㄴorbjuice
cybervseas/그게 사람들을 더 일하게 해서 그런 집에 살고 싶게 만들려고 하는걸까?
그런 집 보면 더 살고 싶어지잖아.


ㄴcybervseas
orbjuice/무슨 의도인지는 모르지만 니 말이 맞을 수도 있어.
뉴욕의 실제 아파트를 보면 너무 좁아서 거기서 촬영을 하거나 연기를 하는게 힘들 것 같아.
또 뉴욕 밖의 사람들이 뉴욕의 실제 모습을 영화나 드라마로 보면 공감하기도 힘들고.


ㄴPhillyTaco
orbjuice/그런 의도까지는 모르겠고, 보통 우리 실제와 다른 삶을 모습을 보는 걸 사람들이 좋아하잖아.
평범한 사람이 풍족하게 사는 모습은 당연히 말이 안되지만 그런 걸 시청자들은 더 보고 싶어하는거니까.


ㄴespresso_chain
'프렌즈' 방영 당시 90년대에는 미국은 집세가 그렇게 높지 않았어.


ㄴcybervseas
espresso_chain/맨하튼의 건물 최상층에 카페 종업원과 요리사가 살고 있는게 말이 되는거야?
그래서 할머니에게서 임대에서 살고 있다는 말이 나온거잖아.


fishformula
사진의 의자와 오디오 앰프만 해도 우리집 물건들의 75% 가치는 차지하겠다.


ㄴHighClassDaddy
난 저 오디오 하나만으로도 우리집 다 살 수 있을 것 같아.


DollarStoreKanye
저 사진처럼 임스 라운지 가구는 그렇게 비싼데도 거의 필수품처럼 인터넷 여기저기 자주 나온다니까.
요즘에 밈처럼 느껴져.


ㄴSipikay
니가 본 것들은 오리지널 보다 복제품일 가능성이 더 높아.
거의 99%는 복제품일거야.


ㄴDollarStoreKanye
Sipikay/맞아.
거의 다 복제품이야.


uniptf
한국 영화보면 저렇게 멋진 공간을 보여주지만 저런 곳에서 잔인하게 살해도 당하고 고문도 당하고 아니면 유령이 나오는 등 끔찍한 장면도 많더라고.


ㄴhamstu
며칠전에 '올드보이' 봤는데, 확실히 그렇더라고.


Inkosum
나도 저 의자 자주 봤는데.
사람들이 왜 그렇게 좋아하는거야?
뭔가 특별한거야?


ㄴGaspacho21
유명한 디자이너가 만들었고, 다른 의자와 다른 특징도 바로 보이고, 실제 편하기도 하니까.
https://en.wikipedia.org/wiki/Eames_Lounge_Chair


ㄴAdamN
50년대 유명 디자이너가 만든건데 아직도 팬들이 많아.
거기에 아주 편하기도 하고.


misterandosan
저런 공간은 마치 무라카미 하루키에게 어울리는 공강같기도 하다.


ZaheerAlGhul
집 자체가 멋있네.
난 기생충의 집도 마음에 들어.


Thanthea
나도 저 의자 있는데, 진짜 편해.


BianchiSkeleton
근데 저렇게 오디오 설처하면 그렇게 좋을 것 같지는 않는데.


_Tet_
'그 해 우리는'보면 남주 생활 공간이나 작업 스튜디오도 정말 멋져.


bigfleets
분위기 멋지다.


Sufficient_Avocado76
나는 '올드보이' 악당의 펜트하우스가 가장 마음에 드는 곳이야.


cheesygarlicpizza
방금 '공작도시'(K드라마) 다 봤어.
인테리어 디자인에 대해서 잘모르면 한번 보기를 추천해.


A70MU
근데 저 의자는 어디든 있더라고.


piemakerdeadwaker
이런 거 마음에 든다.
더 많이 게시 좀 해줘.



번역기자:알라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Creative Commons License
번역기자 : 알라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하얀사람 22-04-06 19:56
   
서른일곱번~...*.*
     
우뢰매 22-04-06 20:43
   
한동안 조용하다가...이 X큐고양이 나타날 것 예감이 들더니..역시나~~ㅋㅋ

사랑하는 거 알징~! ㅋ
          
영원히같이 22-04-06 20:53
   
두분 친구세요?;
               
우뢰매 22-04-06 20:56
   
아뇨~ 생판 모르는 수컷 둘인데요.ㅡㅡ;;
그냥 너무 자주봐서 친밀감이(?) ㅎㅎ
그냥 혼자하는 짝사랑이어라~!

나이가 들수록...머 님님? 분분?? 그런 것보다 사람을 더 친근하게 대하는..
그런 친구처럼 대하는 자세가 더 필요한 듯..나이에 따라 격식을 차리고 차별하는 것보다~
당신도 사람이고 나도 사람인데하면서..

요즘 20대 사회초년생이 직장에 들어가면..
고령화로 인해,대한민국 직장 평균나이가 40대 중반이라고 하더이다.
옛날같으면 거의 머 자기 아버지뻘과 일해야하는..
그런 살아온 세대가 틀리고 생각이 틀릴 수도 있지만.
그럴수록 서로의 차이를 이해/존중하고,다가서서 더 친근하게 지내려는 자세가 필요한 듯~
차후에 지금 10대가 사회에 진출할 무렵엔 거의 직장 평균연령이 40대후반에서 50대일건데.
그러면 그게 평균연령이니..그 20대랑 자기 일을 가르치는 사수(?) 50~60대와 같이 일할 수도 있다는 얘기..
거기서 세대갈등이 생기고 꼰대니하면서 무시하기도 하고.."요즘 애들은~~~?"하면서 서로?!

저는 저 분을 잘 모르지만은..그냥 머 기분나쁘지않게,친근하게 받아들일거라 생각하기에~
     
수염차 22-04-07 05:15
   
횟수를 기억하다니....
정말 대단한 기억력 ㅋ
지구만세 22-04-06 20:00
   
저방은 별로 좋아보이지 않은데

7~80년대 스타일 같기도하고
     
ㄹㄹㄹ 22-04-06 20:27
   
우리나라 사람들과 서구권 사람들(또는 그에 영향받은 아시아) 취향은 많이 다른것 같아요

우리는 식민지 전쟁 가난등 근대 역사에 자신감이 없어서인지 전통보다 새거,삐까뻔쩍한거 최신유행을 쫒아가야 멋진거고 오래된 스타일은 낡은거 후진거로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거 같아요~저역시 그렇습니다 ㅋ

잘은 모르지만 스타일도 고전적이고 양놈들은 저런걸 부티난다 하더라구요 저런 가구들도 (오리지널인지 모르겠지만)수천 수억 호가하는 놈들도 많고 아날로그 진공관 앰프만해도 가격이 ㅎㅎㅎ

빈티지 클래식 뭐 그런거죠
          
굿잡스 22-04-06 22:28
   
울나라도 여전히 전통 한옥을 고집하거나 개량 한옥집을 선호하고 좋아하는 추세군요(옛날 시골집도 실내 서까래등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현대식으로 보수)

http://happy.designhouse.co.kr/magazine/magazine_view?info_id=80462

https://m.cafe.daum.net/moosimjae/4cHp/4702?q=

그냥 저런건 우리에겐 전통?적 이미지보다(우리나라는 수천년 이어온 전통 한옥과 아름다운 담장길, 실내의 다양한 고유 무늬의 창틀이나 문, 실내 전통 인테리어등이 개량 한옥으로 넘어오면서 이어져 이미 정립)

옷의 유행처럼 현대의 시기별 트렌드로  보는 경향이 강한듯 하군요.

(몇십년 전만해도 초기 아파트는 주택보다 선호도 역시 상당히 박했고

저런 실내 집 인테리어는 시기별로 트렌드 감성에 따라 유행도 변화하거나 다양화)
바두기 22-04-06 20:22
   
잘봣습니다.
골드에그 22-04-06 20:23
   
잘봤습니다.
메종 22-04-06 20:27
   
잘봤습니다
맥거리 22-04-07 00:03
   
오디오는 저렇게 벽에 붙이고 좁게 붙여 놓으면 제대로된 소리 안나온다고 알고있는데..그냥 장식으로 해놓은거 같아요.
ㅇㄹㄴ 22-04-07 01:43
   
잘봤습니다
이고르 22-04-07 02:12
   
탄노이 턴베리SE, 매킨토시 앰프, 요것만 해도 기천만원 훌쩍 넘어가니 뭐.
자기자신 22-04-07 03:20
   
잘 보고가요
수염차 22-04-07 05:16
   
잘봣습니다^^
이젠 22-04-07 08:08
   
전 중간에 자기 경험을 일반화시키지 말라고 한 쪽이 맞는 소리 하는 것 같은데 외국인들이 이해를 못하네요. 심지어 무려 6년! 살아서 잘안다는 식의 얘기까지. ㅎㅎ
일단 아파트의 가구는 인테리어 하기 나름인데, 이게 외국인은 아파트를 소유가 아닌 렌트 거주지 개념으로 봐서 그런지, 자기들이 사는 소형 아파트나 오피스텔 위주로 생각하더라고요.
carlitos36 22-04-07 09:49
   
잘봤습니다
Tobi 22-04-07 11:53
   
잘 봤습니다..
가출한술래 22-04-07 19:46
   
잘봤습니다
에페 22-04-08 14:22
   
잘봤습니다
에페 22-04-08 14:22
   
번역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