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반응
(구)사회/문화 해외반응
HOME > 해외반응 > 사회/문화 해외반응
[WD] 해외네티즌 "전세계를 집어삼키는 K팝,영화,드라마등" 해외반응
등록일 : 22-04-06 14:12  (조회 : 25,045) 글자확대/축소 확대 축소 | 프린트

지난 25일, 오징어게임 레딧에 올라온 한류열풍을 비유한 그림과 댓글반응입니다.

<주제 이미지>
전세계를 집어삼키는 K팝과 드라마, 기생충, 오징어게임


000.jpg



<댓글반응>



ROADHOG_IS_MY_WAIFU
부산행: 나는 안보이나?


-Distinct-Love-5192
미나리: 나는..? ㅠㅠ


-Randomesscool
지금 우리 학교는: 나도 무시하는거..?


-TOMdMAK
나도 지우학 재밌게 보긴했는데 오징어게임만큼은 아니었어
그래서 오징어게임 뒤에 크게 그려넣는건 말이 안돼


-NemesisRouge
근데 부산행이 세계적으로 흥행한거야? 
개봉하고 몇 년동안 못 들어봤거든
난 부산행을 유튜브 호러채널에서 처음 알게 됐어
훌륭한 영화였지만 기생충이나 오징어게임, 심지어 강남스타일이랑 비교해도
임팩트가 적었다고 생각해.


-TOMdMAK
부산행은 전 세계가 아는 정도는 아닌것 같아


-kaicyr21
부산행 별로였다고 생각하는 사람 없어?


-coughingfrog
여긴 오징어게임 레딧인데 여기서 물어볼 질문은 아닌듯


-kaicyr21
왜? 난 오징어게임 너무 좋아해.
그냥 부산행은 그다지 크게 기억에 안남는것 같아서..
나랑 생각이 다를 수도 있지 뭐~ 
그냥 나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이 또 있나 궁금했을뿐이야.


Sk-yline1
저 빨간 파도가 이 모든걸 시작한 전설의 노래지
바로.. 강남스타일


-TOMdMAK
맞아! 강남스타일이 아니었다면 
서구권에서 BTS를 발견하지 못했을수도 있어


-Uvuvewvewvew
BTS는 2017년쯤 미국에서 유명해졌어.
강남스타일은 그보다 5년 빨리 나온 노래고 그땐 BTS가 데뷔하기도 전이었지.
그 시기에 BTS가 아닌 다른 그룹들이 유명해졌을수도 있는거야. 


-TOMdMAK
다른 그룹들은 BTS노래만큼 중독성이 없던거 아닐까
강남스타일이 서양 사람들로 하여금 K팝을 받아들일 수 있는 판을 깔아준거야.
동의하기 어렵다면 딱히 할 말이 없네~


-Uvuvewvewvew
진정해~ 싸이가 K팝의 성공과 아무 관련이 없다는 말을 하려는게 아니야.
서양 사람들에게 K팝을 소개해줬고 더 친숙해질 수 있도록 해줬지.
하지만 나를 포함해 내 주변 사람들은 강남스타일이라는 노래는 들어도 
K팝에 대해 더 알고싶어하고 궁금해하진 않았었거든. 
그리고 그때 이미 다른 가수들도 많이 있었고 좋은 노래도 많았지만 훗날 BTS만큼의 인기를 끌진 못했어.
BTS는 2013년에 데뷔해서 2017년쯤 세계적인 인기를 끌었지
BTS랑 블랙핑크의 인기가 높아지면서 그 후에 나온 젊은 K팝 가수들의 인기도 많아지기 시작한거야.
만약 싸이의 노래가 나온 직후에 BTS가 유명해진거라면 싸이가 그 길을 닦았다고 말 했겠지만 시기상으로 봐도 
그건 사실이 아니잖아.


-TOMdMAK
BTS의 인기를 부정하는건 아니야. 
하지만 싸이가 아니었다면 서양사람들은 BTS의 음악도 그냥 무시해버렸을거야.
강남스타일의 경험이 있기때문에 K팝에 더 오픈 마인드가 된거지.


ClayDavis_410
기생충으로 궁금증이 생겼고
오징어게임으로 관심이 생겼어


50me0ne4n0n789
지금 우리 학교는!!


Naga_polarbeardog
이 다음 물결은 '지금 우리 학교는'이야


-TOMdMAK
오징어게임만큼 성공한건 아니잖아.
그러니 오징어게임 파도 뒤에 있을 순 없지


-D_crane
난 지우학 별로 ㅋㅋ
양궁소녀빼고 다 싫던데


-ZurAajanaikatzurada
뭐? 청산이도? 
대체 청산이를 누가 싫어할 수 있단 말이야??


Demonwolfmaster
이 다음 물결은 "UMMA"가 될거야


-ZurAajanaikatzurada
오 그건 어떤거야? 정보좀 


Aanginthere
난 한국 미디어가 서구 엔터에서 주류가 되어가는게 너무 좋아.
일단 K드라마나 예능을 보고나서 다른 해외 매체들에도 관심을 가졌으면 좋겠어.
내가 봤던 최고의 드라마 중 몇개는 일본이랑 대만꺼였거든.
이렇게 아시아 미디어에 대한 관심이 계속 유지됐으면 좋겠다


DenJamMac
'사랑의 불시착'을 잊지 말라구


WafffleStomper
저 그림에 '부산행'이 빠졌잖아


creampiebuni
BTS는 따로 떼서 큰 파도 하나 그려줘야 하는거 아니냐 ㅋㅋ


-Psgxo
맞아. 솔직히 지금까지 가장 큰 영향력은 BTS지.
아마 지금 전세계에서 가장 인기많은 사람들일걸


-creampiebuni
방탄의 인기는 충격적일정도야. 
난 나름 초반부터 BTS팬이었는데, 세상이 이렇게 격하게 반응하는건 처음 봐


-ZurAajanaikatzurada
저 말에 누가 반박할 수 있을까?
요즘 진짜 어딜가나 BTS야. 엄청나다구


The_Bearded_Squid
난 '스위트 홈'도 꽤 재밌었다고 생각해.
보고있으면 내가 워리어가 되는 느낌이었어


TheMeanGirl
난 한국 영화 너무 좋아하는데 '기생충'은 싫었어.
나 혼자만 싫어하는듯..


UnitedTomorrow7410
'사랑의 불시착'은 훨씬 더 많은 관심을 받아야 하는 작품이야.
각본이 최고였어


-ZurAajanaikatzurada
내 시청 리스트에 넣어둬야겠다. 고마워!


-92sn
'사랑의 불시착' 드라마 자체는 재밌었지만 최고까지는 아니었어.
K드라마를 이제 막 보기 시작했구나?
최고의 각본이라면 '시그널', '킹덤', '미스터 선샤인', '미생'이지


triggerhappygurl
다음 물결은 '파친코'가 될거야. 추가해둬


CookiesToGo
저기 BTS는 따로 떼어서 그려줄만 하지 않나


pinoPout
BTS를 까먹었잖아! 


-NukaGurl77
BTS 버터랑 다이나마이트 최고!!


murkreney
흠 K팝이 오징어게임보다 더 유명할거 같은데;;


-Shy-Bi-Birdie
K팝 팬이 아닌 사람들 중에도 
오징어게임에 빠진 사람들은 정말 많아(대부분 우리 직장 동료들)


Distinct-Love-5192
그리고 이제, '파친코'의 시간이다.


soulfulcandy
이 다음은 물결은 '오징어게임2'가 될거야


Wonderful-Variation
'설국열차'도 저기 어디 있어야 할 것 같은데?
내가 본 첫 번째 한국 영화였어


Truthgamer2
난 솔직히 '오징어게임'보다 '기생충'을 더 재밌게 봤어
아 '부산행'도!


Nomorethrowaways12
사실 난 '기생충'이 '오징어게임'보다 임팩트가 컸다고 생각해.
최고의 작품상도 받았잖아


DarkRepresentative25
블랙핑크 파도도 하나 그려줄 필요가 있음


-Kallith926
저기 K팝이라고 써있잖아


PleasantMud
코리안 웨이브라고 써있어서 
새로운 코로나 바이러스 변종인 줄 알고 깜짝 놀랐네


Mother_Clue6405
K드라마는 저거 다 합친것보다 커야해
그리고 BTS가 빠졌잖아. 


bruiseballet
난 14살때부터 K팝을 좋아했고, K드라마도 봤어
지금은 일도 하고, 세금도 내는 성인이 되었는데 
이제 K드라마와 K팝을 좋아한다고해서 더 이상 괴짜/너드 취급받지 않는 시대가 됐어.



번역기자:위갓알리 
해외 네티즌 반응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위 출처의 변형,삭제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또한 어떠한 형태로든 가생이닷컴 모든 번역물의 2차 가공,편집등은 절대 허용하지 않습니다.

*노골적인 인종차별성 댓글 및 부적절한 글은 통보없이 삭제 합니다.(또는 댓글 금지조치)
-운영팀-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Creative Commons License
번역기자 : 위갓알리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김박사 22-04-06 14:18
   
저런짤까지 나오다니 정말 세상 많이 변했습니다.
저 어릴때는 저런거 생각도 못했는데 말이죠...ㅎㅎ
골드에그 22-04-06 14:18
   
잘봤습니다.
메종 22-04-06 14:30
   
잘봤습니다
ㅇㅓ예 22-04-06 14:33
   
오징어겜 스레드 인거 보니 거기에대한 글이 많을수 밖에요
81mOP 22-04-06 14:55
   
이제 K드라마와 K팝을 좋아한다고해서 더 이상 괴짜/너드 취급받지 않는 시대가 됐어.
------------------------------------------------------------------------------------------------------------

이게 제일 고무적인 내용임

이제껏 한류가 서양에서 매니악한 이미지의 마이너 서브 컬쳐처럼 여겨졌는데
지금은 조금씩 주류에 다가가는 느낌...

이게 현재 한류에서 가장 큰 성과임
레떼느님 22-04-06 15:35
   
오징어게임 보다 큰 파도가 게임(롤,스타,배그)이고, 그것보다 큰게 bts 죠.
     
김박사 22-04-06 15:54
   
글쎄요. 게임을 무시한다거나 게임에서의 한국 위상을 무시하는것은 아니지만
전세계적으로 전연령대와 성별을 모두 다 따져봤을때
게임계에서 한국의 위상에 대해서 아는 사람보다 오징어 게임 아는 사람이 더 많을겁니다.
우리나라에서도 게임에 관심있는 일부(주로 10~30대 남성)을 제외하면
게임에 대해서 한국의 위상에 대해서 모르는 사람이 더 많습니다.
반면 오징어 게임은 나이 많으신 울 아버지나 울회사 이사도 알고 있을 정도구요.
오징어 게임은 사회현상으로까지 번져서 우리나라 뉴스뿐 아니라 미국이나 유럽의 뉴스에 까지 나올 정도인데 게임에서 한국의 위상이 해외에서도 사회현상이 된다거나 해외 뉴스에 나올 정도는 아니잖아요.
     
푹찍 22-04-06 18:41
   
롤 모르는 미취학 아동 할매 할배 아재 아지매 아가씨 들도 오징어 게임은 알던데 ㅋ
     
원형 22-04-07 01:57
   
한국 게임은 문화적인 영향력이 없죠. 롤은 그래도 걸그룹이라도 만들었지.
그렇지만 10~30대 남성위주 그것도 온라인 게임을 하는 사람들에 한해서죠.
bts는 여성위주고

오징어 게임은 게임을 하지 않고 bts를 몰라도 아는 수준이된것이죠. 팬 결집력은 bts가 클지 몰라도.
          
이젠 22-04-07 18:31
   
오징어 게임과의 영향력 크기 비교는 별론으로, BTS가 여성 위주라는 평가엔 동의하기 어렵네요. 열성팬은 여성이 많을지 몰라도 연령과 성별에서 남자, 특히 아재팬들도 많습니다. 비틀즈나 퀸, 마잭이 여성팬만 있다고 보지 않듯이요.
     
ashuie 22-04-08 00:58
   
문화적영향력은 BTS가 더 높은게 당연하고,
딱 매출 및 순이익으로만 따지자면 한드 영화 케이팝 케이푸드 싹다 합친것에 몇배는
한국게임이 혼자 벌어들이고 있죠
커서 22-04-06 15:54
   
잘봤습니다~^^
나는나비다 22-04-06 16:24
   
제 생각에 강남스타일은 서구권에 영향을 주었다기 보다 우리나라 음악계에 영향을 준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어라? 우리나라 말로도 인기를 끌 수 있내? 라는 가능성을 보여준 사건이였죠.
첫번째 물결이라고 봐도 될듯.
수염차 22-04-06 16:35
   
잘봣습니다^^
선준 22-04-06 16:51
   
잘 봤습니다
Tobi 22-04-06 18:00
   
잘 봤습니다..
arsinoe 22-04-06 18:45
   
오겜 시즌2 나오면 그냥 묻지마 1위 찍고 시작하겠네..ㅋ
시즌1이 너무 넘사벽 성적 거둬서 아무래도 그보단 성적 떨어질듯.
터미네이터 말곤 1 능가한 2 없지 않나? 잘해봐야 본전치기지.
carlitos36 22-04-06 18:59
   
잘봤습니다
개구락지 22-04-06 19:12
   
솔직히 영화,드라마,음악산업보다는 게임산업이 모든산업을 씹어먹습니다.
매출,수익은 모든산업 합친것보다 벌어들이는게 많고 문화파급효과도 다른거보다
월등합니다..로스트아크같이 글로벌게임도 계속나와줘야 한국이미지 재고에 큰도움이 됩니다.
     
DryFin 22-04-07 00:01
   
게임 <<<<<<<넘사벽<<<<<<<<< 영화, 드라마, 음악
문화파급력 수준임
     
원형 22-04-07 02:02
   
게임의 문화 파급효과를 말해야하는데 그런것 없죠. 그러니 로스트 아크 같은 소리하고 있는거고

게임한다고 한식먹고 싶어지나? 치맥하고 싶어져?
게임한다고 코리안 바베큐 먹나? 맛과 건강때문에 먹지
게임한다고 김치먹고 싶나
게임한다고 한드 보려고 하나
게임한다고 한국 음악듣나
게임한다고 한국 여행오나
게임한다고 한국 화장품 쓰나
게임한다고 한국 에와서 성형하나?

모두 드라마보다 ost듣고 음악듣고 화장품 사고 드라마 ost부른 아이돌 음악듣고 아이들 팬되고 여행오고 등등으로 순환구조지.

그리고 차라리 일본 게임은 게다짝이라도 나오지만  한국게임에 뭐가 나오는데?
우뢰매 22-04-06 19:13
   
멋모르는 저 서구인들은 한류가 일시적인 현상이니,갑자기 유행한 거라고 하겠지만.
제가 생각하기엔 K드라마,영화,KPOP 등은 다 단계를 차곡차곡 밟아왔다고 생각하는.

세계79억 인구의 60%가 사는 아시아에서..중국만 약 15억,인도 14억,그외 일본,동남아 등의 1억이 넘는 국가들까지.
(제가 학창시절엔 세계인구 50억이라고 배웠는데.50억 지구촌하면서.와~세계인구가 그 사이 폭발적으로..)
이 거대한 시장에..벌써 수십년 전부터 서서히 그 문화팬덤이 만들어져 왔는데.
정작 저 서구인들이 현재 일본이나 동남아를 여행가도 거리에 KPOP이 흘러나올 정도로.
지금은 저들이 이 아시아라는 큰 시장에 자기물건을 팔 때,그 큰 문화팬덤을 무시하지못할 수준이 되니..
그걸 마켓팅에 이용하곤하는.

애초에 한류의 시작은.
한국이란 나라도 모르고 어디붙어있는지도 모르며 관심없던 저 중동이나 동남아,서구에서.
우리 건설사들이 도로,교량,빌딩을 짓고 또 우리기업들이 진출해서 품질좋은 한국제품을 팔고하면서..
그렇게 초기에 우리내 아버지세대들이 한국이란 나라를 알리고 그 이미지를 제고하면서 초석을 다진거라고 보는.

그리고 그룹아이돌이 난무하는 이 KPOP의 훨씬 이전에,전 K드라마가 있었다고 생각하는.
싸이의 강남스타일(2012)이 KPOP을 알리는데 선구자적인 역할을 했고 그걸 바톤받아 BTS가 폭발시켰다지만.
벌써 약 20년 전에 저 이란 및 중동에선 대장금 시청률이 90%까지 나올 정도로 인기있었고.(그 후에 주몽까지.)
https://blog.naver.com/jenuse/222197538489 역대드라마 시청률 및 대장금 해외시청률~
옆 나라 일본에선 겨울연가 욘사마부터 시작해서 KPOP에 한식까지 쭈욱 이어져온 것.


이렇듯,초기에 KPOP은 저런 드라마의 OST로 쓰이면서.
(미국의 어떤 동아시아 학자는 겨울연가의 그 OST만 들어도 드라마의 장면이 떠올라 감정에 젖어..
눈물이 나온다고할 정도로.)
"아 OST도 좋네."하면서 해외에 알려지기 시작한 것이고
그렇게 한류의 초기엔 KPOP보다 먼저 주옥같은 우리의 K드라마가 있었다고 생각함.
그 드라마로 인해 OST도 인기를 얻고 해외팬들이 듣게되면서..
자연히 KPOP으로의 관심전환이 된거라 생각하는.

그리곤 기현상이 생기는 게..그 해외팬들이 자기가 태어나기 이전의 노래인
현진영의 "흐린 기억속의 그대"나 H.O.T의 "캔디",박지윤의 "성인식"등 올드KPOP(?)까지 찾아듣게 되는..
가출한술래 22-04-06 19:21
   
잘봤습니다,
ildong 22-04-06 20:11
   
잘봤습니다~~~
바두기 22-04-06 20:17
   
잘봤습니다.
ㅇㄹㄴ 22-04-07 01:43
   
잘봤습니다.
자기자신 22-04-07 03:20
   
잘 봤어요
ashuie 22-04-08 00:54
   
-TOMdMAK
맞아! 강남스타일이 아니었다면
서구권에서 BTS를 발견하지 못했을수도 있어

===============

이건 좀 충격인데
보기엔 너무 극과극인데
연관성이 찾아보니 재밌네요ㅋㅋ
에페 22-04-08 14:17
   
잘봤습니다
에페 22-04-08 14:17
   
feel so hig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