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 자료실
HOME > 영상자료 > 한류영상
 
작성일 : 12-04-17 08:42
[K-POP] 일본이 좁다는것을 깨우쳐준 한국가수의위엄
 글쓴이 : 나에요
조회 : 16,570  










2005년 한일 우정의 해 기념공연 중 Desperado 1月3日 (月) コブクロの黒田です 明けましておめでとうございます。2005年一発目の歌、日韓音楽祭どうでしたか?恥ずかしながら僕は今まで韓国の音楽をちゃんと聞いた事がなかったんですが今回初めて生で聞く事が出来てはっきりいって凄かったです。世界は広いなあ、そして日本は狭いなあと感じました。特にリナパークさんのパフォーマンスには出演者殆どの方が楽屋で見てたんですが楽屋内で拍手が起こる程感動しました。世間では韓流ブームが吹き荒れているものの僕は全然興味が無かったのですが(笑)韓国の音楽のレベルの高さを目の当たりにしていずれ韓国の音楽が日本の音楽シーンを席巻する時がくると確信しました。その時に僕等が日本のコブクロです。と胸を張って言えるミュージシャンでありたいなと思います。新年一発目からあんなにいい音楽に触れる事が出来て嬉しい限りです。皆さん今年も一年宜しくお願いします。

1월 3일 (월) 고부쿠로의 kuroda입니다.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십시오. 2005년 첫번째 노래 한일 우정음악제 어떠셨습니까. 부끄럽게도 저는 지금까지 한국의 음악을 제대로 들어본 적이 없었습니다만 이번에 처음 라이브로 들을 수 있었는데 정말 대단했습니다. 세상은 넓구나 그리고 일본은 좁구나 라고 느꼈습니다. 특히 박정현 씨의 퍼포먼스에는 출연자 거의 모든 분들이 대기실에서 보고 있었는데 대기실 내에서 박수가 일 정도로 감동했습니다. 요즘 한류붐이 휘몰아치고 있지만 저는 전혀 흥미가 없었는데요(웃음) 한국의 높은 음악 수준을 보고 한국음악이 일본음악계를 석권할 때가 올 것이라 확신했습니다. 그렇게 되었을 때 우리들 고부쿠로가 일본의 고부쿠로 입니다 라고 자랑스럽게 말할 수 있는 뮤지션이고 싶다고 생각합니다. 새해 첫번째 부터 그렇게 좋은 음악을 접할 수 있어 기쁠 뿐입니다. 여러분 올해도 잘 부탁드립니다.
http://www.kobukuro.com/cgi-bin/diary/diary.cgi?mode=read&y=2005&m=1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영장군 12-04-17 09:36
   
우리나라 최고의 디바가 불렀으니,,

당연한 방응 아니겠슴둥.
fpdlskem 12-04-17 09:37
   
잘 듣고 가유~
darak 12-04-17 09:48
   
잘봤습니다.
블루드래곤 12-04-17 09:53
   
일본가수는 한국가수와 비교자체가 안되죠..
호흡곤란 12-04-17 09:55
   
코타로 오시오 네 유명한 핑거스타일기타리스트임
베말 12-04-17 10:05
   
박정현님과 비교하다닝 ㅋ
Lizzohh 12-04-17 10:08
   
이런데도 우리나라가 아이돌 음악뿐이라고? 흥~
깨달았으면 됐어여.. 그래도 코부쿠로 노래는 좋으니까ㅎ
러블리순규 12-04-17 10:49
   
코부쿠로도 어디 내놓아도 손색 없을 정도의 괜찮은 듀오죠.
일본은 가수가 허접해서 그렇지 곡 자체는 괜찮은 노래 많죠
바지오 12-04-17 12:50
   
관객 반응이 왜이래! 저렇게 잘 불렀고,일본서도 보기 힘든 여가수인데 관객반응이 너무 구리다!
나가수 박수 소리만도 못하네! 괜히 일본 까지 가서 노래 했구만!
팽귄 12-04-17 13:55
   
좀착각들하지마세요 끌끌 가수들하드웨어는 우리나라가 나을지모르겠지만 노래종류라든지 시장성이라든지 아직얼마든지 한국보다 일본이 넓습니다 그놈의 가창력 좀 짜증날라함 가창말고 뭐있음 기억나는거 한번들 얘기해보시구랴
     
주말엔야구 12-04-17 14:56
   
이상하신분이네...
일본은 음악시장이 더 크다는건 누구나 아는 사실이고 순수하게 가수 가창력만 보면 우리나라가 더 뛰어나다는데 왜 열폭하는거지??
일본은 일본만의 장점이 잇는거고 우린 우리만의 장점이 잇는거지 뭘 그렇게 열폭하시나요?
그리고 어면히 저 동영상과 코멘트는 일본가수가 박정현을보고 와~ 정말 어쩜 저렇게 잘할까 하고 감탄하는내용뿐인데 거기서 왜 일본음반시장이 우리나라 가수들 가창력보다 우수하다고 열내시는지 모르겠네 ㅋ
          
호흡곤란 12-04-17 20:41
   
펭귄님이 말이 틀린건 아녀요 싱어쪽은 일본은 그닥 솔직히 꽝이구요 제이 퓨젼 재쯔쪽은 일본 알아줌니다 전세계에서 많이 팔았구요 티 스퀘어나 카시오페아  자세히는 모르지만 예전에는 빌보드 일위까지 한밴드도 있어요 ㅎㅎ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넘사벽이죠 ... 솔직히 싱어쪽에서는 우리나라가 앞서겠지만 뮤지션 쪽에서는 뒤쳐진다고 생각하는 일인
좀 우리나라가 문제인게 넘 아이돌 가수에 취중한다는 다른 장르는 아예 취급도 안하는 실정임 째즈나 락이나 메탈이나 뉴에이지나 또 우리나라 대표적인 창 이런 쪽에는 관심있는 사람이 거의 없고 방송에서도 아이돌만 외치지 그박에는 소외되는 경향이 솔직히 아이돌 가수 빼고는 우리나라는 들을만한게 없다기 보다 찾기도 힘들고 묻치는 경우가 많아서  락 메탈 째즈는 넘사벽이죠 ...
               
세종대마왕 12-04-18 16:20
   
밴드가 아니라 사카모토라고 60년대 엔카가수가 아시아 최초로 빌보드 1위 했었죠. 과거 일본은 재즈강국이라고 했을만큼 좋은 재즈밴드들 많이 배출했었죠. 메탈도 한때 훌륭한 음반들 많이 배출했었죠. 근데 지금은 그렇지도 않아요. 최근에는 넘사벽은 커녕 오히려 제이 락들이 더 후지더라고요. 더구나 울나라도 과거 훌륭한 밴드들이 많았는데 묻힌 경향이 있고 최근 팝계자체가 블랙뮤직으로 흘러가다보니 국내외적으로도 아이돌이나 알엔비, 힙합 그룹들이 살아남은거죠. 록이나 재즈시장이 또 활발해지면 훌륭한 밴드들이 다시 부각될거에요. 그 전에 소멸되어 가는 불씨들을 살려줘야죠.
     
sksmsrhk 12-04-17 15:15
   
가수는 가창력 연기자는 연기력이 핵심능력입니다. 국가 전체 산업으로봐서는 시장크기나 다양성도 중요한 사항임에는 틀림없으나 가수의 본질은 가창력이니까 이런말들이 나오는 겁니다.
     
뚜야지 12-04-17 15:33
   
가창말고요...일본애들 본인이 인정하는 걸로는 리듬성이 차이가 나고요..일본은 백인 컨트리..한국은 흑인 알앤비..그래서 세계적 추세로 봤을 때 한국쪽이 더 먹히는..
또, 일본가수는 짜여진대로만 불러서 애드립이 약하죠..그래서 현장에서는 좀 다르게 불러줘야 흥이 더 나는데 그게 좀 아쉬운..
근데..뭘 착각하지 말라는 거죠?ㅋ 글보면 한국보다 일본이 좁다라는 이야기는 아닌데..세상이넓고 일본은 좁구나..라고 일본인이 느꼈다는 건데..
     
미노 12-04-17 19:33
   
니가 모른다고 한국의 음악은 가창력 말고 아무것도 없다느니 일본이 다양하다느니
개드립치지 맙시다. 주류시장에서 아이돌만 쭐쭐 빠는 건 일본이나 한국이나 마찬가지고
비주류 시장으로 가야 비로소 다양한 음악을 접할 수 있는데... 그 부분에서 한국보다
일본이 돈 벌기 용이한 구조를 지닌 것 뿐이지 일본 음악가들이 한국 음악가에 비해
음악성이 높다거나 예술성이 뛰어난 건 아닙니다. 모를 땐 닥치고 있어야 중간이라도 가죠.

.....
          
불멸의혼 12-04-17 20:11
   
ㅎ_ㅎ 냅두세요. 그러니 펭귄이죠.
가생의 12-04-17 14:58
   
ㅎㅎ 잘봤습니다
팽귄 12-04-17 15:51
   
가창력 짱먹어서 우리나라에서도 인기는탑인가보죠?  가창력으로 지금케이팝이인기많다고 생각들하나보죠? 결국엔 노래그자체가좋아야하고 좀더 오래 질리지않을려면 다양해야함 그런부분에서 아직 일본한테안되죠  가창력하나로 일본바르니 기분들다 좋으셧쎄요?
     
뚜야지 12-04-17 16:39
   
자꾸 댓글 달아서 미안하기도 한데요ㅋ 우선 님이 왜 이 게시판에 들어오셨는지 모르겠고요..
그냥 일본음악 좋아하시면 그 사이트가서 좋아하시면 될텐데..굳이ㅋ
그리고 다양성에 관해서는요...님이 게을러서 그래요...우리나라 방송이 아이돌 위주로 보이지만...스케치북..열린음악회..EBS 공감..가요무대..7080..아름다운 콘서트..클래식오딧세이..탑밴드(2시즌 예정) 그 외의 케이블(예를 들면 슈퍼스타 K도 언더 활동애들 많이 나오고요..끝났지만 이소라,박정현이 진행하던 프로그램도 있고요..)..찾아보면 다양하게 들을 수 있습니다..
물론 티켓 사이트 들어가면 다양한 공연도 직접 찾아가실 수 있고요..
일본보다 좁을 수 있지만 다양하지 않은 것은 아닙니다..
그리고 우리나라 노래가 왜 좋지 않다고 하시는지 모르겠는데요..제 생각은요..노래 자체로 우위를 점하기는 힘들고요..왜냐면 그 나라 음악은 그 나라사람들 다수가 좋아하면 되거든요..
마지막으로 님이 이런 글보기 힘드시고..일본이 상처받는거 싫으시면 이 사이트에 오지마세요..
저는 괜찮은데 님이 상처받으십니다..
     
미노 12-04-17 19:34
   
한국 음악인들에 대해 쥐뿔 아는 것도 없으니 이런 댓글을 달게 되는 겁니다..
일빠질은 똑같은 일빠들과 모여서 합시다.
     
불멸의혼 12-04-17 20:16
   
에혀.. 그렇게 일본이 좋으면 한글 쓰지 마시고 일본어 쓰세요. 그리고 이 나라 자체를 떠나시고
이 사이트 자체를 오지 않았으면 하네요. 그리고 일본이라는 나라의 뮤지션이 수준이 낮다는거
그리고 음악성이 다양하지 않다는 말도 안했는데 뜬금없이 님의 댓글로 인해서 이런 상황까지
왔다는게 참..
     
말랑한감자 12-04-18 00:27
   
가수한테 가창력이 중요한게 당연한거 아닌가여?
동방신기 일본콘서트에 그많은 일본이이 보러가는데 팽귄님이 동방신기대신 동방신기 노래부르면 일본사람들이 그걸 보러갈까여? 가수는 닥치고 가창력이 기본입니다
자동차 디자인은 무진장 좋고 혁신적인데 엔진이 열라게 구려서 시속10킬로도 속도를 못네거나 브레이크가 되다가 안되다가 한다던가 핸들이 안돌아가도 팽귄님은 그차 멋진 디자인만 보가 그차사서 타고 다니실건가여??
가수한테 가창력 뻬고 머있냐는 정신나간 소린 처음 들어보네여
일빠신거 같은데 안질리려면 노래자체가 좋아야 한다고여?
우리나라 노래가 머가 어때서여? 노래 좋기만 한데여 안질리고....  일본노래가 그렇게 좋은건 팽귄님의 개인적인 취향일 뿐입니다 다른 사람한테 강요하지 마세요
노래가 다양해야 한다고여? 일본방송에서 하는 애기 고대로 따라적으셨네 일본노래가 한국노래보다 다양지 아닌지는 한국노래부터 다 들어보고 와서 애기하시져
글구 다양한게 좋든 그렇지 안은게 좋든 개인취향일 뿐입니다 강요하지 마세여
     
세종대마왕 12-04-18 16:37
   
솔직히 이 정도면 자성이 아니라 자학이라고 생각이 드네요. 어디서 노래 한번 찾아보지도 않고 넷상에서 떠돌아 다니는 글만 보고 '우리나라는 다양성이 없어.'라고 단정지으시는지 모르겠네요. 조금만 더 돌아 다녀보세요. 저희들이 바보같이 '무조건 k-pop이 짱, 가창력이 짱' 이라고 하는 분들만 있으신줄 아십니까? 님이야 말로 지천에 깔려있는 좋은 음반들은 찾아보지도 않고 단정을 지어 말씀하시는데 일본도 대중음악시장에 떠도는 음반들은 아이돌 음반들이 대부분입니다. 팝시장마저도다양성이 많이 줄어든 상태고요. 역으로 여쭤봅시다? 최근 일본에 어떤 밴드들이 오리콘을 장악했나요? 최근 음반시장을 올킬한 버스커버스커는 케이팝인가요?
지미페이지 12-04-17 15:56
   
팽귄님이 좀 뜬금없이 독설(?)을 해서 기분이 상한 분들도 있는 것 같은데
표현이 거칠어서 그렇지 팽귄님말도 일리는 있습니다.

우리나라 가요 소비자들의 가장 큰 문제점은 음악을 너무 가창 위주로 인식한다는 점이죠.
'가수'라는 단어 자체도 그런데요.
'가수라는 말 자체가 노래하는 사람이라는 뜻이니 가수는 일단 노래를 잘하는 게 갑이다' 이게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으로 통하는 논리죠.
실제 시장에서는 꼭 노래 잘하는 가수가 성공하는 것도 아니면서 말입니다.

문제는 '음악=노래'가 아닌데 너무 '노래'로만 파악한다는 점입니다.

서양에서는 '뮤지션'이나 '아티스트'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하죠.
그런데 우리나라에서는 그런 말보다는 '가수'라는 말만 쓰다시피하니까 음악이 다양하게 발전하지 못하는 점이 있습니다.

특히 음악의 기본이라고 할 수 있는 밴드 음악이 번창하지 못하는 것도 그런 인식에 기인한다고 봐야겠죠.

역사적으로 위대한 음악가들이 다 노래 잘하는 사람은 아닙니다.

특히 대중음악에서만 봐도 비틀즈가 가창력때문에 위대한 건 아니죠.
지미 헨드릭스가 노래를 잘해서 신이라는 소리를 듣는 것도 아니고,
밥 딜런도 마찬가지죠.

일본 음악계를 쓸데없이 과대평가할 필요도 없고
우리 음악계를 폄하할 필요도 없죠.
나름대로 장단점이 있고 우리도 좋은 음악가들이 많이 있습니다.

다만 소비 시장을 놓고 보면 우리나라가 너무 다양성이 부족하고 '노래'위주인 건 사실이죠.
     
양앵민이 12-04-17 19:10
   
자신이 찾아보지 않는다고 없는게 아니죠. 물론 대중들이 추구하는 음악이 아이돌쪽인건 사실이지만
그건 일본도 마찬가지 입니다. 뭔 팽귄이 잘났다고 아는체하는게 꼴 사납네요. 머리 깡통인거 인증하는 것도 아니고 말이죠. 지 논리에 지가 당하는 것도 모를꺼에요. 자극적인 댓글싸고.
반박글 달리면 논제회피로 다른 댓글싸서 여기저기 똥치우느랴 바쁜 우리들만 불쌍한거죠.
결국 지가 말한 본질적인 문제에 대한 대답은 회피한제 지 의견만 내세우는 전형적인 깡통
     
미노 12-04-17 20:02
   
양앵민이님 말씀처럼 자기가 모른다고 없는 게 아니랍니다. 지미님....

한국인들이 가창력을 중시하는 면이 있긴 하지만 가수에게 가창력을 요구하는 건 당연한 일이고
대중들이 풍부한 표현력을 지닌 가수에게 마저 날카롭게 가창의 기준을 들이대지는 않으니
지미님의 말씀은 설득력이 없네요. 한국에서도 뮤지션이나 아티스트라는 표현은 많이 씁니다.
음악을 '노래' 로만 인식하는 건 아이돌 좋아하는 소년소녀들 얘기구요.
너무 주관적이고 부정적인 시각으로 글을 쓰셨네요.
 
한국 음악은 다양성이 부족한 게 아니라 비주류 시장이 작을 뿐입니다.  장르의 다양성은 세계
어디에 내놔도 뒤지지 않죠. 한국의 밴드 음악이나 비주류 음악들이 크게 활성화 되지 못하는
가장 큰 이유는 그들이 설 무대가 없고 대중이 그들을 접할 기회가 없다는 건데요.. 저도 이 점은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일본은 참 인디 음악인들이 돈 벌어 먹고살기 좋은 구조지요.

ps - 밴드 음악이라고 하면 다들 일본 타령들을 하는데... 사실 일본 인디계는 슬슬 매너리즘의
길을 걷기 시작했고 정말 신선하고 보석같은 인재들은 한국에서 철철 흘러 넘치고 있답니다.
이들을 키워주지 못한다는 게 너무나도 속상하네요 ㅠ_ㅠ
          
지미페이지 12-04-17 20:28
   
제 글을 대충 읽으신 듯합니다.

저는 우리나라의 '소비시장'이 다양하지 못하다고 했습니다.

저도 음악을 좋아하는 사람이기 때문에 인디 음악도 많이 듣습니다.
아이돌 음악이나 발라드/뽕짝이 한국 음악의 전부가 아니라는 것 쯤은 당연히 알고 있습니다.

아티스트의 다양성과 소비 취향의 다양성은 분명히 다른 얘기입니다.

어느 나라나 주류 씬은 몇가지 패턴이 있죠.
그건 미국이든 일본이든 마찬가지입니다.

쏠림은 어디에나 있지만 우리나라는 그게 좀 더 심한 편이고
그런 천편일률적인 취향은 가창 위주로 음악을 드는 습관때문이기도 하다는 얘기입니다.

말씀하셨듯이 우리나라가 비주류 시장이 작다는 얘기고
주류 시장도 좀 왜곡되어 있다는 얘기를 한 것입니다.

저는 일본 음악의 수준이 높다고 말한 적이 없습니다.
일본 밴드 음악이 수준 높다는 말도 한 적없고 그렇게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솔직히 일본은 소비시장이 다양한데 비해 아티스트의 수준이 높다는 생각은 들지 않습니다.

스포츠로 비교하자면 프로팀은 한국보다 훨씬 많지만 그 중 최고만 모아서 국가대표를 만들면 한국보다 높은 수준이 아니라고 얘기하면 이해가 될 듯 하네요.
한국은 마켓이 너무 작아서 프로 팀은 적지만 국대를 만들면 일본보다 잘하는 경우도 많고.

저도 한국 인디에 관심이 많고 정말 실력있고 좀 더 사랑받을만한데 그렇지못해서 안타까운 경우가 많습니다.

'일본은 참 인디 음악인들이 돈 벌어 먹고살기 좋은 구조'라고 말씀하신 그 얘기를 한 것입니다.

그리고 한국인들이 음악을 '노래'로만 인식하는 건 아이돌 좋아하는소년소녀들 얘기가 절대 아닙니다.
오히려 기성세대 얘기죠.

가창 위주로 음악을 듣는 습관이 천편일률적인 발라드와 뽕짝 위주의 음악시장을 만든 것이죠.
아이돌 음악은 오히려 가창위주에서 벗어난 면도 있습니다.

제가 가생이 죽돌이도 아니고해서 분위기 파악을 못한 부분도 있는 것 같습니다.

팽귄님 의견이 무조건 맞다고 한 것도 아니고 일리 있는 부분도 있다고 생각해서 겸사겸사 제 생각을 말한 것 뿐인데 뭐 생각이 다른 분들이 있을 수도 있는거죠.
               
미노 12-04-17 22:13
   
한국의 비주류 소비시장이 작은 것을 '대중들의 취향이 가창 위주, 천편일률적' 이라고
매도하는 것은 어불성설입니다. 대중에게 기회가 제공되지 않는 것이 본질적 문제지요.
음악산업을 쥐락펴락하며 설치는 무리들께서 비주류 시장에 관심들이 없으시다 보니
굳이 제 발로 찾아 헤매는 사람들이 아니고선 쉬이 접할 수가 없는 상황입니다.

일본은 비주류 음악들이 드라마, 애니메이션 등의 OST며 CF, 콘서트 방영, 심야음방
등으로 꾸준히 기회가 마련되기 때문에 자연스레 구매력이 생길 수 밖에 없죠.
한국은 그런 기반 자체가 없기 때문에 시장이 클래야 클 수가 없는 것인데 그것을
각국 대중들의 수준이나 취향으로 생각하시다니요.... -_-;;;

요즘 가창력을 뽐내는 오디션 프로그램이 우후죽순 생겨나면서 한국이나 일본이나
'한국 가수는 가창력뿐' 이라는 성급한 일반화의 오류를 범하시는 분들이 많은데
주류 대중가요의 겉만 핥지말고 좀 더 깊이 보라고 말씀드리고 싶네요. 

저라고 님보다 음악에 대해 더 많이 깊이 안다는 건 아니지만 적어도 한국의
음악인과 대중이 얼마나 높은 수준의 음악성을 지녔는지는 알고 있습니다.
일부의 취향을 전체적인 것으로 확대하지 않으셨으면 좋겠네요.

또한 [한국인들이 음악을 '노래'로만 인식하는 건 아이돌 좋아하는소년소녀들
얘기가 절대 아닙니다. 오히려 기성세대 얘기죠. 가창 위주로 음악을 듣는 습관이
천편일률적인 발라드와 뽕짝 위주의 음악시장을 만든 것이죠] 라는 말씀도
저는 동의하기 어렵습니다. 80년대 민주화 바람과 함께 표현력이 풍부한
뮤지션들이 한국 가요계에 대거 등장하던 시절을 생각해보세요. 오히려 지금
자녀세대들 보다 부모세대들이 듣던 가요가 가창보다는 멜로디, 가사, 표현력 등
음악성과 예술성이 우선이었지요.

대중들이 가창이 요구하기 시작한 건 아이돌이 등장하면서 부터라는 생각이 드네요.
1세대 아이돌들이 퍼포먼스나 음향시스템을 문제 삼으면서 열에 아홉 립씽크를
하기 시작했고, 붕어가수라고 불리던 그들이 주류시장의 주요부분을 차지하면서
점차 지친 대중들이 가창력 좋은 가수를 찾게 된 것 같아요.
어쨌거나 단지 가창력만 뛰어난 가수더러 훌륭하다고 말하는 대중은 없습니다.. 

주류시장 왜곡에 대해서도.. 우려하시는 것처럼 무조건 아이돌 위주로 돌아가고
있는 것만은 아니에요. 뮤뱅, 인가 등의 얼라들이 주로 보는 황금시간대 음방은
아이돌 천하지만 얼라들 꿈나라로 가고 으르신들 보시는 심야 음방엔 각 장르별로
뮤지션들의 활약이 활발하니 너무 부정적으로만 생각치 말고 좋은 면도 보셨으면
좋겠네요.

저는 앞으로 한국의 비주류 시장도 점점 발전하지리라고 굳게 믿고 있습니다.

PS - 인디에 관심을 조금만 가져도 발에 다이아몬드가 막 채이는 게 느껴지죠.
그런 인재들이 활약할 곳이 없어 자꾸 일본이나 미국으로 빠져나가는 것이
너무나.. 이 갈리게 한스럽습니다.
               
세종대마왕 12-04-18 16:51
   
가창력 위주로 음악을 듣는 습관들이라면 오히려 아이돌이 사장되어갔겠죠. 아이돌은 그들만의 문화를 형성했을 뿐이지. 세련된 댄스음악을 제대로 내는 음악인들이 많아진건 오히려 대중음악계의 수훈이라고 봐야죠. 다만 음반시장의 한계가 문제인데 제 생각엔 이건 우리만 겪는 문제는 아니라고 봅니다. 일본도 그렇고 팝시장도 그렇고 인디밴드들에게 그리 밝은 전망들은 없는것 같습니다. 기본적인 음반 구입 숫자들이 줄어 들면서 모두가 살아남기가 힘들어 진거죠. 그와 중에 아이돌들이 시장을 키워나갔던 것이고 모두가 그러한 구조속에 휩쓸리기엔 우리나라 음악수준들은 꽤 높은 편이라는 것이죠. 자꾸 방송 삼사에서 끌어내고 소개 시키면서 꺼져가는 불씨를 살려나가는게 가장 중요하다고 봅니다.
사용하 12-04-17 17:39
   
꼬맹이들 노는데서...


꼬맹이 1 : 와 쟤 노래 잘한다.

꼬맹이 2,3,4 : 어 그래~

꼬맹이 5 :
좀착각들하지마세요 끌끌 하드웨어는 꼬맹이1이 나을지모르겠지만 노래음반이라던가 집안 재산이라든지 아직 얼마든지 '우리집이' 넓습니다 그놈의 가창력 좀 짜증날라함 가창말고 뭐있음 기억나는거 한번들 얘기해보시구랴

꼬맹이 1,2,3,4 : 병신 질알 똥싸고 자빠졌네 ㅋ
     
영장군 12-04-18 20:06
   
냐하하...

멀 이렇게 적확한,,욱기닷..
레나페어리 12-04-17 19:12
   
무슨 ㅎㅎㅎ
예를 드려거든 좀 주제에 맞게 하시는게..

해당 게시물은 당연히 가수의 가창력에 관한 겁니다 그래서 가창력 얘기를 주로 하는데
뜬금없이 뮤지션이나 시장이나 장르가 다양하다고 다른 주제를 꺼내 오면 어쩌란겁니까?

일본이 좋은 음악가가 많은건 사실입니다. 위에 언급하셨듯이 단순히 가창력등 연기력 부분이 아닌
보이는 부분도 중요하기 때문에 그쪽으로 치중하다보니 (소위 아이돌계열) 점점 다른쪽으로
가게 된거죠

일본에 좋은 뮤지션이 없다고 했나요?
반박 댓글이 붙는건 주제와 맞지도 않고 단순히 난 너희가 갖지 못한 다른 시각을 갖고 있어
라고 정말 모르는지 아는지도 확실하지 않은 상태에서 단정 짓고 말하셨기 때문입니다
첫번째 12-04-17 19:12
   
잘보고갑니다
스누피 12-04-17 19:36
   
기타치시는분 사실 세계적으로 엄청나게 유명한 기타리스트입니다ㅎㅎ
아 코타로 아저씨 이렇게 보니 반갑군용ㅋㅋㅋ
mainlogo 12-04-17 22:55
   
레알...
music 12-04-17 23:15
   
가창력이라....?

별로 관심없는 이야기..
귓싸대기 12-04-18 08:19
   
일본 비주류가 그렇게 잘 대접받고 있다고 느끼시면..

일본가서 재즈해 보세요.

울나라와 마찮가지로..

알바생활 하면서.. 해야할껄요?...-0-;;;

-----------

어디서 하냐는것보다. .. 무엇을 어떻게 하고있느냐가 조금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나다이눔아 12-04-18 14:05
   
잘보고가요~
김이수 12-04-18 14:13
   
전 가창력이고 다양성이고 자시고 펭귄이라는 분은 일단 비유 자체가 잘못 되었고
이 글 올린 분도 그냥 박정현 빠스러울 뿐인거 같습니다.
둘 다 별로고 똑같아 뵈네요.
밑에도 박정현 동영상 올리면서 일본인들이 경악을 했다 이러는데
경악은 커녕 반응이 완전 안습 수준이죠. 왜 그렇게 애써 왜곡하는지 모르겠습니다
그냥 박정현 노래 잘 불렀는데 일본 반응 왜이러냐 이렇게 올리면 안되는 이유가 뭔지
흩어진낙엽 12-04-18 20:35
   
다들 외? 자기생각만주장 하시는지 무슨 의견이든 남에게 계속적으로 이야기하는건 강요고 제가 좋아하는말중에

그건 니생각이고.....
마룻 12-04-18 22:14
   
진짜 일빠는 바퀴벌레 수준의 사고력을 지니고 있구만ㅋㅋ
     
미호 12-04-18 23:01
   
왜그러세요.. 바퀴벌레가 더 똑똑하단 말이예요 ㅠㅠㅠ
바퀴벌레한테 미안해지네..
소시 12-04-22 17:41
   
잘보고갑니다~
블루★ 13-01-16 15:31
   
...
블루★ 13-01-16 15:31
   
패스
 
 
Total 72,41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유튜브 보이스영상 원천 차단 가생이 06-29 114458
공지 [공지] 품번 공유자 강력조치 가생이 03-13 146094
공지 [공지] 한류영상 등록시 주의사항 및 한류영상 판단기준(2012… (34) 가생이 02-29 359528
72059 [K-POP] 일본이 좁다는것을 깨우쳐준 한국가수의위엄 (46) 나에요 04-17 16571
72058 [K-POP] 와 태연 쩌네 ㅡ,ㅡ;; (33) 4번타자은… 07-11 16561
72057 [일본방송] [10/11/19]BS후지프라임-한국걸그룹(자막有)(풀버전) (196) 협살 11-20 16556
72056 [스포츠] 이대호 시즌 14호 동점 솔로포!! +@ 이틀 연속 멀티히… (17) 종현 09-03 16551
72055 [스포츠] [자막] 김태균 15호 만루 홈런 (35) 드래곤피쉬 06-07 16550
72054 [스포츠] 이대호 5호투런홈런 (16) 투애니원 05-10 16548
72053 [중국방송] 불쌍한 한경 (62) 엥가 12-21 16533
72052 [스포츠] [NPB]이대호 시즌 15호 홈런 영상 (5) 종현 09-13 16531
72051 [기타] 한국 연예계 중국인 의존율 증가 (방탄보이 댓글은 … (195) 아키홀릭 12-08 16530
72050 [문화] 연개소문은 왜 투르크에 사신을 보냈나 (3) 미스터빅 08-31 16514
72049 [스포츠] . (6) 오캐럿 02-21 16485
72048 [스포츠] [EPL현지해설]손흥민 라멜라 논쟁,현지해설진 반응은? (9) 러키가이 10-03 16483
72047 [일본방송] 140118 윤아 日 TBS 체육회TV 몰래 카메라 자막 (26) 쁘힝 01-20 16470
72046 [스포츠] . (11) 협살 08-15 16468
72045 [스포츠] 손흥민 리그 2호골 결승골! 시즌 5호! (13) 뿔피리 09-25 16468
72044 [기타해외] 중국에서 유행이라는 한국어 욕 (26) 삐삐삣 03-30 16456
72043 [문화] 불닭볶음면 시식하는 영국인들 (82) 암코양이 02-10 16446
72042 [스포츠] [판쓸이] 오승환 1이닝 3K 16세이브 [2015.06.06] 한신vs니… (10) 판쓸이 06-06 16445
72041 [기타] 별그대 중화권에서 인기폭발중... (19) 투애니원 03-01 16427
72040 [K-POP] K-POP 본가의 후덜덜한 모습 (49) 블루샤크 08-25 16415
72039 [기타] 양아치 제압하는 러시아 태권도 세계챔피언 (31) 미스터빅 09-19 16409
72038 [스포츠] 김연아-소치올림픽 프리 일본해설 자막(8분버전) (8) same 02-26 16408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