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뉴스
HOME > 뉴스 게시판 > 해외뉴스
 
작성일 : 14-12-18 13:15
[미국] 미국과 세계를 변화시키는 세계화에 있어 5가지 주요 추세들
 글쓴이 : 블루로드
조회 : 5,597  
   http://www.huffingtonpost.com/edward-goldberg/the-globalization-5---ho… [448]

Edward Goldberg
Adjunct Professor, Zicklin Graduate School of Business, Baruch College; Adjunct faculty NYU's Center For Global Affairs, President of Annisa Group

The 5 Key Trends 
in Globalization That Are Changing America and the World

미국과 세계를 변화시키는 세계화에 있어
5가지 주요 추세들

It is the season of lists: best movies, best books, and so on. Since I teach and write on globalization and international political economy, I thought I should continue a tradition I started several years ago of creating a different type of list: a geo-political-economic list -- a list of the globalization top five from an American perspective.
Why only five? Because I am only giving an overview, a macro look at how globalization is now shaping or will shape America. More than five and the list would become less an overview and more a detailed analysis.

목록의 계절이 왔다: 최고의 영화들, 최고의 책들 등등. 내가 세계화와 국제정치경제학에 대해 가르치고 서술한 이래, 나는 내가 전통을 계속 이어야만 한다고 생각했었다. 이 전통은 내가 몇년전에 시작한 것으로 다른 형태의 목록을 만드는 것이었다: 지구정치경제학 목록 --  미국의 관점에서 본 범세계적인 주요 5가지 리스트.

왜 단지 5가지 뿐인가? 나는 개략적으로 전체에 대한 윤곽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즉, 범세계화가 현재  미국을 변화시키고 있는 것인가 아니면 변화시킬 것인가에 대한 거시적 관점에 관한 것이다. 5가지 이상의 리스트는 덜 개관적이 되며, 더 자세한 분석이 될수 있을 것이다.


1. America Is Roaring Back
Seven years ago, with America's economy leading the world into economic mayhem, many questioned America's political and economic authority to be the world's leader.
But as Warren Buffet said, "It has never paid to bet against America." Through wise, but politically erratic actions such as the stimulus, the auto bailouts, the stress test for banks, along with the Feds QE policy, the administration has re-fired the American economic engine. Combined with America's energy boom, the United States has re-emerged as the leading, growing -- not declining -- economic power.
Ironically, the fact that the American economy is the least globalized of the major economies has also helped. As a percent of GNP, exports account for 52 percent of the German economy, 32 percent of the UK's, 27 percent of China's but only 14 percent of America's. This lesser dependency on exports has help shelter the US economy from the EU slowdown, while allowing the benefits of energy savings to ricochet more powerfully throughout the country.

1. 미국이 활력을 되찾고 있다
7년전, 세계를 이끌던 미국 경제가 혼란속으로 빠짐에 따라, 많은 사람들이 미국의 정치적 그리고 경제적 영향력이 세계의 리더가 될 수 있는지 의심을 가졌었다. 

그러나 워렌 버핏이 말했듯이, "미국의 반대에 서서 잘된 사람이 없다”. 현명하지만 정치적으로 변덕스러운 조치들 - 예를 들자면 연방정부의 양적완화(QE, Quantitative Easing) 정책과 함께 경기부양책, 자동차회사들에 대한 긴급구제, 은행들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 - 을 통해, 행정부는 미국 경제의 엔진을 재점화했다. (이러한 조치들의 결과가) 미국의 에너지 붐과 맞물리며, 미국은 선도적이며, 성장하는 - 쇠퇴가 아니고 - 경제 강국으로 다시 부상했다. 

역설적이게도, 미국의 경제가 주요 경제강국 중에 세계화가 가장 덜된 국가라는 사실이 또한 도움을 줬다. GNP에 대해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독일 경제는 52%를, 영국 경제는 32%를, 중국 경제는 27%를 수출에 의존한다. 그러나 미국 경제에 있어 수출이 차지하는 비중은 단 14%이다. 전국적으로 더욱 많은 보상을 해주는 에너지절약의 혜택을 허용하는 동안, 이렇게 수출에 대한 경제 의존성 더 적었던 것이 EU의 경기둔화로 부터 미국 경제를  보호하는데 도움이 되었다.


2. Deflation -- Possibly a New Global Economic Contagion
For the first time since the early 1930s, there is a serious threat of global economic disorder from deflation. What makes today's version of deflation truly worrisome is that it has developed concurrently from different strains around the world.
In the US, as in the rest of the industrialized world, we see it as the down side of the oil boom. But America is also being affected by disintermediation -- the technologically induced removal of intermediaries in the supply chain. People used to buy hard copy books for $20 but now can buy them online for $9. The price of a taxi medallion in New York has dropped by 17 percent because of Uber. We can even see disintermediation's footprints in the fact that corporate profits are rising more quickly than sales. Falling prices might seem wonderful in the short-term; in the long run they are extremely detrimental to an economy. The value of assets fall, consumers hold back purchases, wages do not grow and the burden of debt is magnified.
Due to its growth spurt, deflation in the United States is held in check -- for now. The problem for the US is the rest of the world, and the exportability of deflation. China is candidate number one in this regard, with its severely over built manufacturing capacity, that is forcing factories into a fight to the bottom, to cut prices on exports. In the Eurozone, where deflation has begun to flirt with the economy, leadership for various political and cultural reasons has found it difficult to develop a course of action. And of course there is Japan.

2. 디플레이션 -- 아마도 새로운 세계적인 경제 전염
1930년에 초반 이래 처음으로, 디플레이션으로 인한 세계적인 경제장애라는 심각한 위협이 있다. 오늘날의 디플레이션 버전이 진정으로 걱정되게 만드는 것은 이 디플레이션이 전세계의 각기 다른 (경제적) 경색으로 부터 동시에 발생한다는 것이다. 

산업화된 세계의 나라들과 마찬가지로, 미국에서 우리는 이것을 오일 붐의 부작용이라고 본다. 그러나 미국 또한 탈(금융)중개화(disintermediation)로 인해 영향을 받아 왔다 -- 탈(금융)중개화란 서플라이체인에서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중간 중개자들(투자대행, 도매상, 소매상, 브로커등)이 제거되는 현상이다. 사람들은 인쇄된 책들을 20달러에 계속 사왔지만, 지금은 그 책들을 온라인에서 9달러에 살수 있다. 뉴욕에서 택시 영업 면허증의 가격이 우버때문에17% 떨어졌다. 우리는 기업 이익이 매출보다 더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에서 탈(금융)중개화의 족적을 볼 수도 있다.  가격하락은 단기적으로 멋지게 보일 수도 있다; 장기적으로 가격하락은 경제에 매우 해롭다. 자산의 가치가 떨어지고, 소비자가 구매를 망설이고, 임금이 오르지 않으며, 채무에 대한 부담이 커지게 된다. 

 탈(금융)중개화(disintermediation)의 급성장으로 인해 미국에서 디플레이션은 억제되고 있다 -- 현재로선 말이다. 미국에 있어 문제는 세계의 나머지 국가들이며, 그리고 디플레이션의 수출가능성이다. 이와 관련해서 중국은 1순위 후보자인데, 이는 중국이 심각할 정도로 과하게 만들어 놓은 제조 능력 때문이며, 이는 공장들이 수출 가격을 깍으며 밑바닥에 닿을때 까지 싸우도록 강요하고 있다. 디플레이션이 경제에 장난을 걸기 시작한 유로지역에서는 다양한 정치적 문화적 이유들로 인해 지도부가 일련의 정책을 제대로 만들에 내는데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물론 일본도 있다.


3. Oh Where, Oh Where, Has Manufacturing Gone?
Technologically driven disintermediation and its sidekick, automation and growing new technologies such as 3D printing, are causing a global shift away from the economic value of manufacturing. Since the invention of the spinning jenny in 1764 and Watt's steam engine in 1781, manufacturing and the people it employs have been the underlying basis of modern economies. Now this is changing.
The world is shifting very rapidly from the manufacturing age to the age of human capital.
In the United States this phenomenon is today visible in the lack of growth in middle class wages. In China, the nucleus of global manufacturing, the problem is more acute. How does China continue to compete on the bottom end of the manufacturing spectrum against lower wage-based countries and on the upper end in heavy industrial manufacturing against the United States with its automated facilities and cheap energy?

3. 아 어디로, 아 어디로, 제조업이 가버렸나?
기술의 발달에 의해 진전되는 탈(금융)중개화와 이의 조수 - 즉 생산자동화와 성장하고 있는 새로운 기술들인 3D 프린팅과 같은 것 - 들이 제조업의 경제적인 가치에 세계적인 변화를 야기하고 있다. 1764년 방적기와 1781년 와트의 증기기관의 발명이래, 이런 기계를 채용한 제조업과 사람들은 현대 경제의 기본이 되는 바탕이었다. 지금 이것이 변하고 있다.

세계는 제조업의 시대에서 인적 자본의 시대로 매우 빠르게 이동하고 있다.

미국에서 이 현상이 오늘날 중산층 급여에 있어 인상이 부족하다는데서 보인다. 세계 제조업의 핵심인 중국에서 그 문제는 더욱 심각하다. 더 낮은 임금을 기반으로 하는 나라들과는 최저급 제조업 영역에서 그리고 거대 산업 제조업에 있어 상단에서는 자동화된 시설과 저가의 에너지를 가진 미국에, 중국은 어떻게 경쟁을 계속해 나갈 것인지?  


4. Germany -- Redux
From an economic and historic perspective the most interesting development this year has not been watching Putin's 19th century fantasy or the slowing of China's growth, but watching the evolution of Germany from a leading merchant state into a growing global force. Under the leadership of Angela Merkel, pressured by the counter-productive actions of Putin and the demise of the so-called post war balance between Germany and France, Kissinger's famous statement about not knowing which number the United States should call in Europe is now irrelevant. It is Germanys' number.

4. 돌아온 독일
경제와 역사적인 관점에서 올해 가장 흥미로운 발전은 푸틴의 19세기적인 환상이나 중국의 발전속도가 느려지는 것을 보는게 아니라, 그러나  선도적인 무역상의 나라에서 세계적인 영향력을 가진 나라로 성장하는 독일의 진화를 보는 것이다. 앙겔라 메르켈의 주도 하에, 그녀는 푸틴의 역효과를 낳는 행동으로 그리고 독일과 프랑스 사이의 이른바  전후 균형(post-war balance)이라는 것의 종말로 압박을 받고 있음, 미국이 유럽에 어떤 번호로 전화해야 할지 모른다는 키신저의 유명한 말은 이제는 시대에 뒤떨어진 것이 되어버렸다. 이젠 독일의 전화번호다.


5. AGING -- And Immigration as the Antidote
Aging populations, combined with low birth rates, are probably the single common denominator among the leading industrial nations; the one exception being the United States. The question these countries face is how they maintain their standard of living, as retiring baby boomers start to overtake the ability of the balance of the population to support boomer retirement while creating new economic growth. Ironically the opposite problem is occurring in much of the non-industrial world where the birth rate is exploding.
In Japan more than 20 percent of the population is over 65. The Japanese government estimates that if conditions stay on the same trajectory 40 percent of the population will be over 65 by 2060.
The European Commission has stated:
"The proportion of people of working age in the EU is shrinking while the relative number of those retired is expanding. The share of older persons in the total population will increase significantly in the coming decades which will lead to an increased burden on those of working age to provide for the social expenditure required by the ageing population for a range of related services."
In China, Helen (Hong) Qiao, chief Greater China economist at Morgan Stanley has asked the question, "Will China Grow Old Before Getting Rich?"
What makes The United States different is immigration. According to the Fiscal Times, "It's only because of immigration that the U.S. doesn't find itself in the same economic conundrum as Japan, China, South Korea, and Europe.
The U.S. is exceptionally young among OECD nations, it's the country's immigrants that are keeping the population balanced and preventing it from becoming like Japan, Korea, and much of Europe.
Without immigration the U.S. would, in other words, have sub-replacement birth numbers like every other OECD nation. And it would, presumably, suffer a similar economic malaise caused in large measure by this demographic structural reconstruction of their populations."

5. 고령화 -- 그리고 해독제으로서의 이민
낮은 출산율과 함께 인구 고령화는 아마도 주요 산업 국가들 사이에서 하나의 공통 분모일 것이다; 하나의 예외는 미국. 이들 국가가 직면한 문제는 어떻게 이들 국가가 국민들의 삶의 수준을 유지하느냐 하는 것인데, 이는 베이비 붐 세대의 은퇴가 새로운 경제 성장을 창출하면서 베이비 붐 세대의 은퇴를 지원하는 인구 균형의 능력을 초과하기 시작했기 때문이다. 역설적이게도 정반대의 문제가 출산율이 폭발하는 산업화되지 않은 대부분의 나라에서 발생한다. 

일본에서는 20% 이상의 인구가 65세 이상이다. 일본정부는 모든 상황이 동일한 경로에 머문다면 2060년 쯤에는 40%의 인구가 65세 이상일 것으로 예상한다.  

유럽 위원회(EC)는 
“EU에서 일하는 연령대 사람들의 비율이 줄어 들고 있는 반면 은퇴하는 사람들의 상대적인 숫자는 늘고 있다. 총인구에 있어 노년층의 점유율은 앞으로 수십년간 상당히 늘어날 것이며, 이는 다양한 관련 서비스가 필요한 노인 인구로 인해 요구되는 사회복지지출을 제공하기 위해서 일하는 연련층에게 늘어난 부담으로 이어질 될 것이다”
라고 발표했다.

중국에서 모간스탠리에서 일하는 수석 중국경제전문가  헬렌 (홍) 치아오가 “중국이 부자가 되기 전에 늙어버릴 것인가?”라고 물었었다.

미국을 다르게 만드는 것은 이민이다. Fiscal Times에 따르면, 미국이 일본, 중국, 대한민국 그리고 유럽처럼 동일한 경제적인 난제 속에서 자신을 찾을 수 없는 것은 단순히 이민 때문이다 (미국은 이민 때문에 일본, 중국, 대한민국 그리고 유럽처럼 동일한 경제적인 문제를 가지고 있지 않다). 

미국은 OECD 국가들 중에서 예외적으로 젊으며, 이 나라의 이민자들은 균형잡힌 인구를 유지하며, 일본, 대한민국 그리고 많은 유럽국가들과 같이 되는 것을 방지한다.

바꾸어 말하자면, 이민 없이는 미국은 모든 OECD 국가들과 마찬가지로 출산율이  현 인구를 유지할 수 없을 것이다 (sub-replacement birth numbers). 그리고,  짐작컨데 그것은 (이민 없이는) 인구집단의 인구통계학적인 구조적 재건시 꽤 많이 발생되는 비슷한 경제적 불안을 겪을 것이다."



번역: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ㅁㄴㄴㅁㄴ 14-12-18 13:25
   
다른건 잘모르겠고 5번은 미국을 보면 우리나라는 2035년 부터 인구줄고 예상으로
미국은 2100년도 까지 인구 계속늘던데 이게 다 이민 때문이군요...
결국 미국의 힘은 바로 1년에 수천만 이민의 힘.....
미국의 패권은 지구가 죽지 않는한 평생 갈듯....
요즘은 뉴스에 중국,일본,한국도 넣는걸보니 꽤 한국이 유명해진 모양
     
진실게임 14-12-18 13:34
   
유명한 국가를 든게 아니라
빠른 고령화 대표적인 국가란 거라서 별로 바람직하진 않죠.
     
전광석화 14-12-18 13:35
   
요즘 지구의 분위기를 보면...조금 과장해서 말하면
지구인들은 "Korea"라는 단어만 봐도, 좋아서 난리나는 듯.
진실게임 14-12-18 13:33
   
[5줄 요약]
1.  미국의 경제체력 회복
2. 세계 각지에서 디플레이션 압력 발생
3. 제조업 보다는 고도의 인적자본의 시대
4. 독일이 유럽의 주인공으로 등장
5. 세계의 고령화 대 미국의 이민정책
전광석화 14-12-18 13:51
   
5. 고령화 -- 그리고 해독제으로서의 이민
이 부분은 아주 아주 맘에 안 드는 부분입니다.

이민을 받아 들인 모든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발생하는 현상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경제가 안 좋아짐 ( 따라서 각종 복지 혜택 축소 )
# 빈부격차 심화 (기존의 서민층의 소득 수준은, 부유층에 비해서 더 떨어짐)
# 중산층의 감소 (중산층중의 많은 사람들이 저소득층으로 이동)
# 이민자들은 대대손손 극빈층을 형성. 이민자들에 의한 범죄가 아주 많이 발생
# 범죄 발생건수 급상승, 잔악 범죄율이 크게 늘어남
#### 부유층들은 상대적으로 더 부자가 됨 ( 절대적으로 부자가 되는 것이 아니라, 중산층과 저소득층의 수입이 더 줄어들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더 부자가 되는 것 뿐임. 실제로는 부유층도 소득 감소)

그러나, 예외는 있습니다.
한국인이나 북유럽 이민자들은 위에서 적은 문제들을 일으키지 않습니다.
( 지구상에서 한국인과 북유럽인들을 제외하면, 나머지 이민자들은 끝없이 문제를 일으킵니다. )
     
진실게임 14-12-18 14:11
   
한국인도 문제 많이 일으켰죠.

가난하고 먹고 살길 없는 사람들이 문제 안일으키는 경우는 어디에도 없습니다. 문제를 일으킬 수 밖에 없는 위치니까요.
남미에서 한류 불기전에는 한국 이민자들 현지 사회와 충돌 많았어요. 농사 지으라고 데려다 놓았더니 도시 빈민층으로 흘러들어가서 거기서 살아보겠다고 설치니 공권력으로 부터도 미움받는 거...
일본에서도 번듯한 직장을 가질 수 없었던 조선인들이 많이 야꾸자로 나서고 거기 연계된 빠찡코로 연결됩니다. 지금도 빠칭코는 교포 사업으로 인식되어 있고...
미국에서도 LA사태 같이 흑인사회와 충돌 있었고...

북유럽인들이 문제 안일으키긴요. 걔들이 범세계적으로 쳐들어가서 점령하고 분단하고 현지인들 학살해서 세계가 지금 모습이 된 건데... 걔들이 하층민이 아니었을 뿐이지 분탕은 최고로 친 거죠.
          
전광석화 14-12-18 14:55
   
남미...아주 아주 위험한 곳이지요.
남미에 갔다 온 사람들 말을 들으면,
비행기에서 내렸다가, 다시 살아서 비행기를 탈 수 있으면 성공했다 라고 해도 되겠더군요.
그런 곳에서 농사를 지으면, 당연히 나쁜 놈들이 총칼들고 와서 수확한 것을 다 빼앗가 가겠지요. 어쩔 수 없이 도시 빈민층으로 흘러 들어갈 수 밖에 없겠군요.

일본...두 말할 필요 없지요.
한국인이라는 이유만으로 철저하게 탄압하는 국가....
일부 한국인들이 야쿠자 세계로 진출했다면 그 이유는 상당수, 일본 정부가 그렇게 될 수 밖에 없도록 일부러 유도를 했다...라고 말할 수 있군요.

미국 LA 폭동사태 : 이건 한국인이 잘못한 건 하나도 없지요.
그냥 열심히 일해서, 빈민 지역의 상가 지역의 상가들을 장만해서 장사를 한 것일 뿐.
경찰에 의한 한 흑인의 죽음에 대해서, 흑인들이 폭동을 일으켜서 상점들을 약탈을 했기 때문에,
한국인들이 피해를 본 것일 뿐.

북유럽인들이 해외를 침략은 많이 했지요.
본인이 말하는 것은, 침략이 아니라 이민을 말하는 것임.
1960년대 이후부터인가 북유럽 국가들끼리는 서로 이민을 어느 정도 했었는데, 다른 국가에 정착을 했을 때, 최하 빈민층으로 떨어지는 경우는 있어도, 범죄자가 되는 경우는 거의 없지요.
블루로드 14-12-18 16:44
   
그리 길지 않은 내용이지만, 국제정치경제학의 전문가인 Edward Goldberg 교수가 전문가답게 날카로운 통찰력으로 중요한 것들만 뽑아 간략하게 잘 표현한 것 같습니다.

Edward 교수는 세계화로 변화되는 경제를 미국의 관점에서 썼는데, 이를 글쓴이인 는 미국을 기준으로 생각을 펼졌지만, 글쓴이가 언급한 트렌드를 우리 경제의 관점에서 보면 어떨까하는 생각에 저의 의견을 올려봅니다.

1. 한국의 경제는 계속 활력을 가질 수 있을 것인가?
우리는 미국과 달리 수출이 우리 경제에서 담당하는 부분이 57% (2013년 1월 기준)으로 세계 최고수준이라, 7년전 시작된 세계적인 경기불황에 따른 디플레이션 위험 또한 세계 최고수준이었습니다. 이에 따른 우리정부의 경제정책은 인위적인 원화가치의 하락을 통한 수출기조 유지 또는 확대, 4대강을 위시한 토목 건설경기 부양으로 일부 내수기업 안정화로 크게 볼수가 있고, 이후 저유가 시대가 도래하면서 제조업 중심의 우리 경제가 혜택을 보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정부의 인위적인 경기부양 조치가 세계화된 세계경제 속에서 미래 한국의 경제성장 엔진으로 작동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이지는 않습니다. 돈을 많이 벌고 앞으로 더 벌수 있다고 보인다면,  그 나라의 통화가치는 올라갈 수 밖에 없으니, 상대적으로 낮은 가치의 원화를 유지한다는 것이 불가능하고, 또한 더 이상 저가로 수출을 확대하는 것 또한 불가능 할 수 밖에 없으니까요. 그리고, 4대강 개발을 통해서 많은 토목 건설관련 소, 중, 대기업들이 혜택을 받았는데, 어찌보면 아직도 상당부분 인력에 의존하는 이 산업분야가 미래 한국경제의 엔진을 안정적으로 달리게 할 수 있는 힘으로 작동하기는 어렵다고 봅니다.

글쓴이의 관점에서 보자면, 우리는 미국과 달리 세계화가 세계 최고수준으로 많이 되어 있어서, 세계적인 경기불황에 부정적인 영향을 제일 많이 받게 되는 나라입니다.
 
따라서, 세계화된 세계 경제속에서 세계적인 불황의 위협에 의해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수출증대도 중요하지만) 내수경제를 대폭적으로 늘려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내수의 중심인 중산층과 서민층이 소비를 늘릴 수 있도록 이들의 가용소득이 늘어날 수 있는 정책을 펴야 한다고 봅니다. 그리고, 석유가격이 언제까지나 싸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경쟁국 대비 저가에너지원 확충과 에너지소비를 줄일 수 있는 효율 높은 제조설비를 기업들이 갖출 수 있도록 정부가 세제혜택과 저리융자 등의 유도정책을 펴야할 것 같습니다.

그래도 문제가 남는 것이 공기업들의 너무나 엄청난 부채비율과 비효율적인 경영, 그리고 금융권의 높은 주택담보대출 비율 - 거꾸로 말하면, 높은 개인부채 - 등인데, 이는 지속적인 경제성장에 크게 부담이 될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2014년 9월 기준 1219조원에 달하는 개인부채(이는 주로 아파트와 집을 사기 위해 주택담보로 은행에서 빌린 돈)로, 고소득층 중산층 서민층 할 것없이 돈을 대부분 집에 묶어 놓아서 소비할 수 있는 돈이 적기 때문에 내수경제 확대에 제일 큰 걸림돌이 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정부가 이 문제를 현명하게 풀어야 할 것 같은데, 우리의 집에 대한 관념과 과거 부동산투기로 맛본 꿀맛 때문에 결코 쉽지는 않을 것 같습니다. 그런데, 최근 정부의 일련의 조치를 보면, 부동산 부양쪽으로 방향을 돌렸는데, 이는 부동산 가격을 올려서 아파트에 묶이는 일반인들의 돈을 더 키우는 결과가 되어, 실질적인 내수경제 확대에는 더욱 부정적인 효과를 보일 것 같습니다.

현재 싯점에서 글쓴이 관점으로 보자면, 결국 우리나라는 세계경제 불황에 취약한 나라로 남을 것이며, 우리 경제의 활력을 계속 유지 또는 상승 시키기에는 좀 부족해 보입니다.
폭스2 14-12-19 06:43
   
잘보고갑니다
 
 
Total 2,03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해외뉴스 게시판입니다. (7) 가생이 11-16 148560
2030 [일본] [JP] 북한의 비상식적인 행위 연발...U-22 일본 대표 스탭에게 주… (1) 김불빛 10-02 9175
2029 [일본] 3월 23일] 일본판 대학 랭킹 2023 - 高校生新聞 (13) 드슈 03-23 16285
2028 [일본] 3년 만에 행동제한 풀린 새해 전날 풍경. (3) 드슈 12-31 12335
2027 [일본] 급식대란] 물가상승으로 급식 현장은 한계에 이르러. (13) 드슈 12-23 15336
2026 [일본] 일본폭설] 사망6명, 중상19명, 관련 조사중 사망자 7명. (3) 드슈 12-23 9201
2025 [일본] 부등교 24만, 부등교를 아시나요? (5) 드슈 12-11 8287
2024 [일본] 10월 경상수지, 641억엔 적자 (6) 드슈 12-08 5213
2023 [일본] 통일교 피해자 구제 법안, 중의원을 통과 드슈 12-08 4068
2022 [일본] 화제) 핀잔하는 80대 노인을 내동댕이 친 남자 체포 (7) 드슈 12-02 4888
2021 [일본] 신임 총무대신에 마츠모토 다케아키 (1) 드슈 11-21 4661
2020 [일본] 키시다 내각, 정권발족이래 최저 지지율 30.5% (3) 드슈 11-21 1752
2019 [일본] 방위비 증액 재원, 법인세 증세로 기울다. (4) 드슈 11-17 4284
2018 [일본] 게이세이(京成) 전철 탈선 드슈 11-17 1875
2017 [일본] 신형 코로나 감염자 급속 증가 드슈 11-15 4485
2016 [일본] 키시다 내각 "대신들의 사임 도미노" (1) 드슈 11-15 1467
2015 [일본] 키시다 총리, 미-중-러 참가 회의에서 중국을 지목 비판 (1) 드슈 11-14 3555
2014 [일본] 고등학교 입시, 영어 스피킹 테스트 보호자들이 중지 호소 (2) 드슈 11-09 1940
2013 [일본] 【여론조사】키시다 내각의 지지율 36% '최저' 마침내 3… (3) 드슈 11-07 3928
2012 [영국] 미스테리한 미이라의 조상을 알게되다 (6) 다잇글힘 11-16 31790
2011 [영국] 성서에 나오는 소돔의 멸망은 실제? "요르단 계곡에서 운석 폭… (60) 다잇글힘 11-07 28539
2010 [영국] (논쟁) Gain of Function by 네이쳐 (1) 다잇글힘 11-05 10880
2009 [중국] ‘中 부총리 성폭행’ 폭로 뒤엔 권력 암투? 시진핑의 숙청설 … (13) 즐겁다 11-04 33844
2008 [동남아] [베트남]아스트라제네카 백신, 예방 효과 74% (14) 라이프프라 10-02 32000
2007 [영국] 오징어게임과 관련된 이론들 (스포주의) (1) 도밍구 10-02 11393
2006 [미국] SARS형 바이러스들은 매년 수십만번 동물사람간 점프할수 있다 (3) 다잇글힘 09-28 7972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