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뉴스
HOME > 뉴스 게시판 > 해외뉴스
 
작성일 : 15-01-03 18:19
[미국] 연구자들은 인종에 대해 완전히 잘못된 생각을 해왔다
 글쓴이 : 블루로드
조회 : 9,838  
   http://www.vox.com/2014/12/15/7382941/race-research-social-science [461]


Researchers have been thinking about race all wrong

연구자들은 인종에 대해 완전히 잘못된 생각을 해왔다


Updated by Jenée Desmond-Harris on December 15, 2014, 8:30 a.m. ET



1.jpg


Studies on race are a dime a dozen: researchers examine its relationship to everything from elementary school test scores to who's most likely to develop diabetes to which groups are overrepresented in ethnic militias to who Americans vote for, and we read about the results in news stories that are supposed to help us makes sense of the world.

인종에 대한 연구는 아주 흔하다: 연구자들은 초등학교의 시험 점수에서 부터 누가 제일 당뇨병에 잘 걸릴 것 같은지, 어느 무리가 소수민족 민병대에 많이 참여하고 있는지, 미국 사람들은 어떤 사람에 투표하는지에 까지 인종과의 연관성에 대해서 조사한다, 그리고 우리는 뉴스 기사를 통해 그 성과를 마치 우리는 이 세상에 대해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것처럼 생각하며 읽는다.


But two Ivy League scholars say race is actually much more complicated than decades of social science research has acknowledged, and they're working to change that.

그러나 두 아이비 리그 학자들은 인종이 사회과학이 지난 수십년동안 인정해왔던 것 보다 훨씬 더 복잡하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들은 그것을 바꾸기위해 일하고 있다.


In their paper, "Race a Bundle of Sticks: Designs that Estimate Effects of Seemingly Immutable Characteristics," which will be published in the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 Harvard's Maya Sen and Princeton's Omar Wasow explain that people who do quantitative research on race typically treat it as a single, fixed trait — what scientists call an "immutable characteristic."

Annual Review of Political Science에 발표될 그들의 논문 "한 뭉태기의 막대기로써의 인종: 겉보기에 변하지 않는 형질에 대한 영향을 추정하는 설계"에서, 하버드 대학의 마야 센(Maya Sen)과 프린스턴 대학의 오마르 웨소우(Omar Wasow)는 인종에 대해 계량적 연구를 하는 사람들은 일반적으로 인종을 하나의, 그리고 고정된 형질로 취급한다고 설명한다 - 과학자들은 이것을 "불변의 형질"이라고 부른다.


Instead, they argue, quantitative researchers should acknowledge that any one person's racial identity is more like a collection of many different factors — from skin color, to neighborhood, to language, to socioeconomic status. With this insight, it becomes possible to study race not as a single, unchanging variable, but rather as a "a bundle of sticks" that can be pulled apart and carefully examined one by one.

그들은, 그런게 아니라 계량적 연구자들이 어떤 한 사람의 인종적 정체성은 다른 많은 요소들이 합해진 것과 더욱 유사하다는 것을 인정해야만 한다고 논거를 대며 주장한다 - 많은 다른 요소란 피부색에서 부터 지역, 언어, 사회 경제적 지위 까지 등등. 이러한 통찰력으로, 하나의 변하지 않는 변수로써가 아닌 한 뭉태기의 막대기로써 인종을 연구하는 것이 가능해 졌는데, 이 한뭉태기의 막대기는 막대기 하나 하나를 떼어내 꼼꼼하게 검토할 수 있다는 것이다.



The problem with oversimplifying race

지나치게 단순화된 인종의 문제


2.jpg

Political science and other social science researchers often treat race as an "immutable characteristic" —something that we're born with and keep throughout life. That's how a lot of people do think about it. But this view makes studying the impact of racial categories on our lives really hard.

정치학과 사회과학 연구자들은 인종을 "불변의 형질"로 흔히 취급한다 - "불변의 형질"이란 우리가 태어날 때 부터 가지고 있고, 그리고 전 생애를 통해서 계속 가지게 되는 그 어떤 것. 이것이 많은 사람들이 인종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견해는 우리의 삶에 있어 인종의 범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매우 어렵게 만든다.


Why? First, it means race can't really be manipulated the way other variables can: you can't assign some people to be white, or black, or Latino for the purpose of a controlled experiment.

왜? 첫째, 인종이란 다른 변수들을 다루는 방식으로는 정말로 다룰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당신은 대조 실험(controlled experiment)을 할 목적으로 어떤 사람들을 백인, 또는 흑인 또는 라틴계 사람이 되도록 배정할 수는 없다.


note) Controlled Experiment (대조 실험): 생물학 등에서 실험 재료를 2군으로 나누어 A군에는 실험을 가하고 B군에는 실험을 가하지 않고 두어서 그 실험의 영향을 조사함


Second, because race is assigned at birth, it's tied up with a lot of other things in our lives. It can affect how a person is raised, how they're educated, the opportunities they have, and their outlook. This means that when researchers say they're looking at race, they're also getting all the stuff that goes hand in hand with it, making it impossible to tell whether they're seeing the effects of race itself or something that's a side effect of race or corollated with race.

둘째로는, 인종은 태어날 때 정해지기 때문에, 인종이란 것은 우리들의 삶에 존재하는 다른 많은 것들과 얽혀져 있다. 이렇게 우리에게 얽혀진 많은 것들이, 한 사람이 어떻게 키워지는지, 사람들이 어떻게 교육되어 지는지, 사람들이 가지는 기회, 그리고 사람들의 가치관에 대해 영향을 줄 수 있다. 연구자들은 그들이 인종을 자세히 살피고 있다고 말할때, 그들이 인종 그 자체가 미치는 영향을 보고있는 것인지, 아니면 인종의 부정적인 영향이라는 또는 인종과 상호 관련된 것들을 보고있는 것인지 판단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들면서, 그들은 인종과 연관된 모든 것을 입수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Finally, racial labels can mean different things to different people. "Latino" can refer to a first-generation Mexican American from Los Angeles and a fourth-generation Puerto Rican from the Bronx. So research based on a racial category can capture broad swaths of people who have little in common except the way they choose to describe themselves, creating messy results.

마지막으로, 인종적인 꼬리표는 다른 사람들에는 다른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라틴계 사람"은 로스 엔젤레스에서 태어난 1세대 멕시코계 미국인과 브롱스에서 태어난 4세대 푸에르 토리코계 미국인에게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인종의 범주에 바탕을 둔 연구는 엉망진창인 결과들을 만들어내며, 사람들이 그들 자신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선택한 방식을 제외하고는 공통점이 거의 없는 넓은 범주의 사람들을 포로로 만들수 있다.



How oversimplifying race makes for unhelpful research

단순화된 인종이 어떻게 도움이 안되는 연구로 이어지는가


3.jpg


When researchers ignore all the individual "sticks" and treat race as an immutable characteristic, it "misses a lot of the story," Wasow says.

연구자들이 모든 개개의 "막대기"를 무시하고 인종을 불변의 형질로 취급할 때, "많은 것(story, 줄거리)을 잃어버리게 된다"고 웨소우는 말한다.


Imagine a study that measures racial disparities in test scores by simply comparing results for black kids and white kids. It might tell us that there's a gap between these two groups. But it says very little about why. The lives of African American and white children tend to differ in so many ways that observing such a gap raises more questions than it answers.

흑인 아이와 백인 아이에 대한 시험 성적을 간단히 비교함으로써, 시험 점수로 인종간 차이를 평가한 연구를 상상해보라. 이 연구는 우리에게 이들 두 그룹사이에 차이가 있다는 것을 말해 줄런지는 모른다. 그러나, 이 연구는 왜 그런 차이가 나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설명해 주지 않는다.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삶과 백인 아이들의 삶은 아주 여러 면에서 차이를 보이는 경향이 있는데, 그러한 차이가 답 보다는 더 많은 질문들을 만들어내는 것을 볼 수 있다.


"In a lot of traditional social science, by using a simple measure of race, we are often smoothing over all of this complexity and ignoring all of the ways that what we're calling race might be class, it might be neighborhood, it might be the experiences of our forbearers — it is really the composition of many, many experiences," Wasow says.

"많은 전통적인 사회과학 분야에서, 인종에 대한 간단한 평가척도를 사용함으로써, 우리는 자주 이 모든 복잡한 것들을 간단하게 만들어 버리고, 우리가 인종이라고 부르는 것이 계급일수도 있고, 지역일 수도 있고, 우리의 참고 사는 사람들의 체험일 수도 있는, 이 모든 면들 또한 자주 무시하고 있다 - 인종이란 것은 정말 많고도 많은 경험이 모여진 것이다,"라고 웨소우는 말한다.


Worse, he says, these studies that simply point to race as a cause of different life outcomes miss the chance for policy interventions.

더더욱 나쁜 것은, 다른 삶으로 나타난 결과에 대한 원인으로 단순히 인종을 지목하는 이러한 연구는 정부의 정책이 개입할 기회를 놓치게 만든다고 그는 말한다.


For example, you can point to a black-white test score gap, but that doesn't tell you anything about what you might fix to close it.

예를 들자면, 당신은 흑인과 백인의 시험점수 차이를 지적할 수 있다, 그러나 그것은 당신이 그 차이를 줄이기위해 고칠 수도 있는 것에 대해 그 어떤 것도 당신에게 말해주지 않는다.


However, if you were to look at race in more detail and identified one "stick" that was responsible for black kids having lower test scores — say, access to better nutrition  — that might provide something to work with in terms of solutions.

그렇지만, 만역 당신이 인종에 대해 더욱 세세하게 관찰해 봤었다면 그리고 흑인 아이들이 낮은 시험점수를 받는 원인이 된 하나의 “막대기”를 찾아 봤었더라면 - 이를테면, 좀 더 나은 영양 분 섭취 - 해결책적인 측면에서 뭔가 영향을 미치는 어떤 것을 제공해 줄 수도 있을 것이다.


Here's another example: imagine a study that measures the impact of a campaign ad in which racial cues are being manipulated to change voting behavior. Wasow says this type of research can produce confusing results, too, if it doesn't look deeper into what exactly about race is being triggered by the ad and causing people to vote differently. Is it possible that it's a signal related to just one or two sticks, like socioeconomic status, or language? In the paper, he and Sen argue that researchers need to be precise about what type of cues are at work in their studies on bias, what "sticks" they relate to, and how these sticks are associated with race as a whole.

또 다른 예가 있다: 투표 행태를 바꾸기 위해 인종의 행동을 결정하는 자극(racial cues)이 조작되고 있는 캠패인 광고의 영향을 평가하는 연구를 상상해 보라. 웨소우는 만약 이런 연구가 인종에 대해 정확히 어떤 것이 그러한 광고에 의해 반응을 일으키는지 그리고 사람들이 다르게 투표하게 만드는지 깊이 들여다보지 않는다면, 이런 식의 연구 또한 혼란한 결론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말한다,  인종의 징표가 사회경제적 지위 또는 언어처럼 단순히 한개 또는 두개의 막대기와 연결되는게 가능한 것인가? 이 논문에서, 그와 센은 연구자들이 어떤 종류의 표식(or 특별한 반응을 결정하는 자극들)들이 편견 있는 그들의 연구에 영향을 주는지, 어떤 “막대기들”이 징표들과 관련 되는지, 그리고 어떻게 이런 막대기들이 전체적으로 인종과 관련이 되는지에 대해 정확히 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Why it makes sense to think of race as a "bundle of sticks"

왜 인종을 “한 뭉태기의 막대기”로 생각하는게 이치에 맞는가?


4.jpg


"The core idea in the paper is that it is possible to study effects of race if we move away from a simple, fixed, biologically-determined model to a more complicated, fluid and socially-determined model," says Wasow.

“이 논문의 핵심 개념은 우리가 만약  간단하고, 고정되고, 생물학적으로 결정된 모델로 부터 탈피해서 더욱 복잡하고, 유연하고, 사회적으로 결정된 모델로 옮겨간다면 인종의 영향을 (제대로) 연구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이다,”라고 웨소우는 말한다.


The proposal is to take the idea that race is a social construct — which is gaining a cultural foothold as more people realize how complicated racial identity can be — and translate it to research.

이 제안은 인종이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 이라는 개념을 취한 것이고 - 이 말은 더 많은 사람들이 인종의 정체성이 얼마나 복잡한지 깨달음으로써 문화적인 발판을 얻는 것 - 그리고 그것(인종이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을 연구로 옮기자는 것이다.


Wasow and Sen propose that the "bundle of sticks" that make up racial categories includes things like societal values, status hierarchies, culture traits, physical attributes, diet, religion, ancestry, institutional power relationships, and education. Many of those traits are tightly linked to what we think of as race, but the key is that they can also be manipulated in the context of an experiment.

웨소우와 센은 사회의 가치, 지위 계층, 문화 특성, 신체적 특징, 음식, 종교, 조상, 제도적 권력 관계, 그리고 교육과 같은 것들을 포함해 인종의 범주를 형성하는 “한 뭉태기의 막대기”를 제안한다. 이러한 많은 특징들은 우리가 인종이라고 생각하는 것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지만, 중요한 점은 이런 것들 또한 실험이라는 맥락에서 조작될 수도 있다는 것이다.


5.jpg

We could get better information on how race affects our lives, they argue, if researchers who study race would acknowledge this and carefully examine just one "stick" at a time: "Thinking about race as having constituent parts can clarify what precisely is being estimated when scholars attempt to understand how race and ethnicity operate in the world."

만약 인종을 연구하는 연구자들이 이런 것들을 인정하고 그리고 신중하게 한번에 단 하나만의 “막대기”를 평가했다면, 우리는 인종이 우리의 삶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더 나은 정보를 얻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 라고 그들은 주장한다: 학자들이 인종과 민족성이 이 세계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이해하려고 시도할때, 어떤 것이 정확히 평가되어 지는지 확실하게 밝힐 수 있는 구성 요소로 이루어진 인종에 대해 생각하면서 말이다.


Here's a chart from their paper that contrasts the popular framework of looking at race with the constructivist/"bundle of sticks" one they embrace:

여기에 그들의 논문으로 부터 가져 온 도표가 하나 있는데, 이 도표는 인종을 보는 유명한 사고방식(프레임웍)을 그들이 포용하는 구성주의자들의 “막대기의 뭉테기”들에  대비해 놓은 것이다.


Screen_Shot_2014-12-03_at_1.10.05_PM.0.jpg

6.JPG

표 1: 조작화(operationalization) 인종에 접근을 위한 “불변희 형질들” 대 “막대기들의 뭉테기” 의 요약


Note) Operationalization (조작화, 조작주의): 리서치 디자인(연구 설계, 데이터의 수집정보와 분석의 연구에 대한 계획)에 있어, 특히 심리학, 사회과학 그리고 생명과학에서, Operationalization (조작화, 조작주의)는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없는 현상의 측정을 정의하는 과정이며, 그러나 이의 실제는 다른 현상에 의해 보여진다.




Which stick in the racial bundle is really affecting our lives?

인종의 뭉테기 속에서 어떤 막대기가 우리들의 삶에 진짜 영향을 주는가?


7.jpg


Wasow and Sen write that, by focusing their studies on a single element (or stick), researchers can get much better information on the particular ways in which race as shapes life outcomes.

웨소우와 센은, 그들의 연구를 하나의 요소(또는 작대기)에 집중함으로써, 연구자들이 인종이 삶의 결과를 만들어낸다라는 특정한 방식에 있어 훨씬 더 나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고 썼다.


Remember when polls showed that African-Americans in California voted against the legalization of same-sex marriage at higher rates than whites? Wasow said examining the impact of the individual sticks that make up race helps revealed the actual factors that influenced opinions on the issue.  In this case, religiosity was much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being against gay marriage than was race. Understanding the role that one stick played gives us much more accurate and richer information about voting behavior than simply saying, "black voters oppose gay marriage."

여론조사가 캘리포니아에 사는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동성결혼 합법화에 백인들 보다 더 높은 비율로 반대투표를 했었다는 걸 보여줬던 때를 기억하는가? 웨소우는 인종을 형성하는 개개 막대기의 영향을 검토하는 것이 그 이슈에 대한 여론에 영향을 주는 실제적인 요인들을 밝히는데 도움을 준다고 말했다. 이 경우에 인종보다는 종교적 독실함(지나치게 종교적인 것)이  훨씬 더 강력하게 동성결혼에 반대하는 것과 연관이 있었다. 한 막대기가 하는 역활을 이해한다는 것은 간단히 “흑인 투표자들은 동성결혼에 반대한다”라고 말하는 것보다 투표 행태에 대한 훨씬 더 정확하고 풍부한 정보를 우리에게 제공한다.


This "bundle of sticks approach" can also be useful when researchers are trying to determine how racial bias affects public opinion, political behavior, and hiring choices. Using signals of race — such as by varying a dialect over the phone when inquiring about housing or by varying the apparent ethnicity of a name on a resume when applying for jobs — they can  measure levels of racial discrimination without needing to expose someone to the whole bundle that is race.

이 “한 뭉테기의 막대기 접근방법”은 연구자들이 인종적 편견이 대중의 여론, 정치적 행태 그리고 고용인의 선택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려고 시도할때 또한 유용할 수 있다. 인종의 표식을 사용하여 - 주택에 대해 문의할때 전화 상에서 사투리에 변화를 줌으로써 또는 일자리에 지원할때 이력서에 있는 민족성이 눈에 뜨이는 이름에 변화를 줌으로써 - 연구자들은 전체 뭉테기인 인종에 대해 어떤 사람을 들어낼 필요 없이 인종차별의 정도를 측정할 수 있다.


Wasow acknowledges that there are many important questions that are beyond the scope of this approach. "The framework we outline is particularly useful for scholars attempting to measure effects of race in experiments or studies that are like experiments. To study the role of race in historical processes or institutional bias where it may not be possible to run experiments, other methods may be more appropriate."

웨소우는 이 접근 방법의 범위를 벗어난 중요한 질문들이 많이 있다는 것을 인정한다. “우리가 개략적으로 윤곽을 잡은 틀은 실험에서 인종의 영향을 평가하려는 학자들 또는 실험 비슷한 연구들에 특별히 유용하다. 실험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도 있는 역사적인 과정에 있어 인종의 역활 또는 제도적 편견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다른 방법들이 더 적절할 수도 있을 것이다.


Either way, says Wasow, the key is recognizing that race is comprised of many parts, and that opens up the possibility of studying some individual "sticks" in isolation. This, he said, "helps us see what's actually doing the work," when it comes to how race affects our lives - which after all, is really what most of us want to understand.

어느 쪽이든, 제일 중요한 것은 인종은 많은 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것과 개개의 일부 “막대기들”을 분리해서 연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 놓았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라고 웨소우는 말한다. 인종이 우리 삶에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도달했을 때 - 결국 우리들 대부분이 정말로 이해하기를 원하는 것, 이것이 “무엇이 실제로 그 일을 하는지 알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고 그는 말했다.


번역: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 www.gasengi.com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폭스2 15-01-07 07:10
   
잘보고갑니다
강산 15-01-08 01:32
   
요약본없을까요.
 
 
Total 2,03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해외뉴스 게시판입니다. (7) 가생이 11-16 150337
1680 [영국] 죽음의 차(혼다,토요타,닛산)를 몰아 본 적이 있나요? (14) 전광석화 05-22 10215
1679 [일본] 4월 무역적자 8089억엔, 22개월 최장 연속 (18) vvv2013vvv 05-22 10209
1678 [일본] 日 정부 침묵한 이유은? (24) 민동이 04-04 10182
1677 [영국] 이혼녀가 왕자의 신부, 영국국교회는 어떻게 할까? (10) 진실게임 02-27 10179
1676 [일본] 한국 대통령 취임식을 80분이나 생중계한 NHK (2C) (33) doysglmetp 02-26 10175
1675 [일본] 일본의 서브 컬쳐, 한국에 침투한 이유와 무대 (20) 유랑선비 09-05 10100
1674 [미국] ABC 뉴스 "마스크 착용, 누구의 말을 들어야하나" (5) 싸뱅 03-31 10097
1673 [일본] W배, 관전 후의 한국 팬들도 쓰레기 줍기..."일본의 흉내겠지""… (27) 메스카포 06-20 10053
1672 [일본] 데쌍트, 18년만에 적자 전환 (26) 스랜트 02-10 10043
1671 [일본] [JP] 북한의 비상식적인 행위 연발...U-22 일본 대표 스탭에게 주… (1) 김불빛 10-02 10042
1670 [러시아] 푸틴 미국과 서방세계를 까는 영상 (16) 인간성황 05-30 10010
1669 [캐나다] 비씨주 접종률 70%넘기며 생긴 변화 (7) 목수 07-10 10007
1668 [일본] 기생충 식중독에 패닉- 일본 (20) 스랜트 11-17 9991
1667 [미국] 미국인과 일본인: 서로에 대한 생각 (10) 블루로드 04-08 9977
1666 [일본] 트와이스, '주간 아사히' 2018년 1월 15일자 기사 (5) 피씨타임 01-23 9972
1665 [남미] 세계 아이폰6과 아이폰 6PLUS 가격비교표 (15) 꼬께이로 11-20 9969
1664 [호주] 호주 중앙은행 원화 강세에 베팅하다. (WSJ 3월3일자 기사) (10) 서울뺀질이 03-04 9955
1663 [유럽] 프랑스 방송에 출연한 강경화 외교부 장관 (4) 싸뱅 04-15 9949
1662 [미국] 한국이 어린 아이들과 함께 여행하는 것이 왜 그렇게 재미 있… (4) 차가버섯 06-20 9936
1661 [유럽] 지금 베를린은 한식 열풍 (14) doysglmetp 11-24 9934
1660 [중국] 중국인 평균 임금 (9) Landscape 01-14 9925
1659 [미국] 미국 LA 연안에 정어리떼 몰살 ---지구가 왜? (26) Nephilim 03-09 9887
1658 [미국] 세계 군사무기 수출국 (7) 빅풋 02-16 9875
1657 [미국] 연구자들은 인종에 대해 완전히 잘못된 생각을 해왔다 (2) 블루로드 01-03 9839
1656 [미국] "네 정체가 뭐니?!" 캐릭터 닮은 귀여운 오징어 포착 (6) 예랑 08-16 9800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