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경제 게시판
 
작성일 : 18-08-30 18:53
[금융] "미국이 또 다른 금융위기 자초한다"
 글쓴이 : 부두
조회 : 2,156  

008년 미국 월가의 대표적 투자은행인 리먼브러더스가 붕괴하고 뒤이어 거대 은행들이 거액의 구제금융을 받으면서 전 세계 경제에 재앙을 몰고왔다. 지난 10년의 상당 기간 동안 미 경제는 성장했고 증시는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금융위기의 어둠에서 점진적으로 벗어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점진적 상승세에 취해 월가와 의회, 정부가 10년 전 위기를 낳은 실수를 되풀이하고 있다고 미국 뉴욕타임스(NYT)가 강력 경고했다.

NYT 논설진(editorial board)은 '다음 금융위기를 부른다'(Inviting the Next Financial Crisis) 제목의 칼럼에서 "미 정부와 의회는 10년 전 금융위기의 교훈을 망각한 듯 거품 양산에 동조하고 있다"며 "미국인 대부분의 삶이 윤택해지기는커녕 더 큰 위기의 절벽으로 조금씩 내몰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NYT에 따르면 미국의 금융시스템과 실물경제는 10년 전보다 굳건한 기반 위에 서 있다. 노동자 임금은 가까스로 물가상승률을 따라잡고 있지만 10%대였던 실업률은 3.9%로 크게 떨어졌다. 한때 압류 광풍이 불기도 했던 주택시장은 다시 소생했다. 곳곳의 집값이 신고가를 기록하고 있다. 혈세에 의지하며 비틀거리던 은행들은 다시 곳간에 돈을 쓸어담고 있다.

NYT는 "경제회복의 주요 동인은 버락 오바마 행정부와 연방준비제도(연준), 의회의 신속한 대응이었다"고 분석했다. 의회와 행정부는 1조달러 가까운 재정을 실물경제에 투입했다. 연준은 제로금리와 양적완화 정책을 통해 금융시스템에 산소호흡기를 댔다. 의회는 도드-프랭크법을 제정, 금융기관이 남의 돈으로 파생상품 도박을 벌이기 어렵게 만들었다. 도드-프랭크법 덕분에 소비자금융보호국이 신설돼 약탈적 대출관행으로부터 소비자를 보호했다.

하지만 미국 경제는 아직 완전히 회복되지 않았다고 NYT는 지적한다. 이달 중순 공개된 샌프란시스코연방은행의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가 발생하지 않았다면 미국의 1인당 국내총생산(GDP)은 현 수준보다 평균 7만달러가 더 높아야 한다. 보고서는 "미국 경제가 금융위기로 잃어버린 몫을 앞으로도 되찾기 어려울 것"이라는 충격적인 분석을 내놨다.

NYT는 "평균치라는 말에 많은 의미가 감춰져 있다"며 "미국인들이 금융위기로부터 받은 고통은 균질하지 않았다. 못 사는 사람일수록 더 큰 고통을 받았다"고 지적했다.

미국 시장조사업체 퓨리서치센터 보고서에 따르면 연소득 4만2500달러 이하의 저소득 3인 가구의 경우 순자산 중간값(median)이 2007년 1만8500달러에서 2016년 1만800달러로 42% 감소했다. 연소득 4만2500달러에서 12만7600달러 범위의 중산층 3인 가구의 경우 순자산 중간값은 16만3300달러에서 11만100달러로 33% 줄었다. 반면 연소득 12만7600달러 이상의 고소득 3인 가구 순자산 중간값은 74만100달러에서 81만800달러로 오히려 10% 가까이 상승했다. 금융위기의 고통은 저소득층이 가장 크게 받은 반면, 경제회복의 혜택은 고소득층이 가장 많이 누렸다는 결론이 나온다.

금융위기와 그에 대한 정부의 대응이 장기 추세를 악화시켰다. 대부분의 가구소득은 정체된 반면 최상위 1% 가구의 몫은 더 늘어났다. NYT는 "오바마 행정부와 의회는 금융위기 초반 은행을 구제하는 데 중점을 두는 큰 실수를 저질렀다"며 "주택압류와 실직에 직면한 대다수 미국 가구를 직접 도와주는 데에는 상대적으로 소홀했다"고 지적했다.

미 노동통계국에 따르면 2001년 경제산출물의 노동자 몫은 64%였다. 하지만 점진적으로 줄어들다 금융위기 직후 56%로 급락했다. 노동자의 소득상승은 정체된 반면, 기업들의 이익상승은 가팔라졌기 때문이다. 특히 애플이나 구글 페이스북 등 거대 기술기업들이 이익의 대부분을 가져가고 있다.

MIT와 하버드대, 취리히대학이 공동 작성한 2017년 보고서에 따르면 거대 기술기업들이 고용하는 인원은 상대적으로 적지만 시장 지배력과 그에 따른 수익은 막대하다. 따라서 노동자에게 돌아갈 몫은 더 줄어든다.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후보 시절 월가의 탐욕, 독과점을 꾀하는 기업들의 인수합병 짝짓기에 강경한 자세를 취하겠다고 공약했다. 또 버려진 노동자를 돌보겠다고 약속했다. 이 덕분에 트럼프는 오바마 지지 우세 지역에서도 많은 표를 얻어 대통령에 당선됐다.

NYT는 "하지만 당선 이후 트럼프 행정부와 공화당은 전통적인 극우 보수집단처럼 행동하고 있다"며 "월가의 탐욕엔 솜방망이 처벌, 기업의 독과점엔 수수방관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기업의 이익은 치솟고 버려진 노동자들에 대한 보호망은 더욱 허물어지고 있다"고 비판했다.

지난해 공화당은 향후 10년 간 1조5000억달러에 이르는 기업과 부자 감세안을 통과시키며 트럼프 정권의 최대 입법 승리라고 자축했다. 해당 감세안은 부유한 투자자에게 영구적 감세조치를 허용한 반면 노동계층의 가족에겐 2025년이면 자동적으로 소멸되는 약간의 혜택만 부여하고 있다. NYT는 "그 결과 소득불평등은 더욱 커질 것이고, 과도한 여윳돈이 금융과 경제에 투하되면서 장장 9년간 확장돼 과열된 경기를 더 뜨겁게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주가는 감세안 이후 가파르게 치솟고 있다. 많은 전문가들은 아직 시장이 과대평가된 것은 아니며 여전히 상승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는 2007~2008년 금융위기 직전 난무하던 내용과 매우 유사하다.

예일대 경제학자이자 노벨경제학상 수상자인 로버트 실러 교수가 고안한 케이스실러지수에 따르면 미국의 금융시장과 부동산시장은 10년 전보다 더 과대평가돼 있다. 실러 교수에 따르면 S&P500주가지수의 주가수익비율(PER) 보정치는 32.29다. 즉 1달러의 수익을 얻기 위해 32.29달러를 투입해야 한다는 의미다. 실러 교수는 "글로벌 금융위기로 치닫던 2007~2008년의 PER도 28을 넘지 않았다"고 경고한 바 있다.

NYT는 "의회와 행정부는 물론 현 상황의 위급함을 잘 알고 있을 연준까지도 지난 10년 동안 적용돼 온 금융규제를 허물려 하면서 또 다른 금융위기의 씨앗을 뿌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올 5월 의회는 도드-프랭크법의 일부 규정을 폐기했다. '스트레스 테스트' 등 엄격한 금융 규제를 받는 은행의 자산 기준을 기존 500억달러 이상에서 2500억달러 이상으로 높였다. 의회의 취지는 소규모 지역 은행을 돕는다는 것이었지만, 워낙 범위가 높게 상향돼 이제는 규제 대상 은행이 10곳도 채 안되는 상황에 이르렀다.

게다가 연준이나 금융 당국은 은행들이 예금자의 돈으로 고위험 투자를 하지 못하도록 한 '볼커룰'도 완화하려 한다. 또 은행의 자기자본 비율을 낮춰주려고도 한다. 그렇게 되면 씨티그룹이나 JP모간체이스 등 거대 은행은 주주들로부터 자본을 확충하기보다 이곳저곳에서 돈을 빌려 수익사업을 하려 할 것이다.

지난해 연방 금융당국은 AIG의 덩치가 금융위기 당시보다 작아졌다며 '시스템적으로 중요한 금융기관'에서 제외했다. 이는 당국의 혹독한 규제를 벗어난다는 의미다. AIG는 금융위기 당시 파산 직전으로 내몰려 미 정부로부터 모두 1825억달러의 구제금융을 받았던 문제아다. 또 파생상품으로 얽힌 여러 거대은행들에게도 큰 리스크를 이전시킨 바 있다. 이전보다 규모가 작아졌다고는 하지만 AIG는 여전히 금융 시스템 내 복잡한 거래관계를 갖고 있다.

현 정부가 금융규제를 되돌리는 신속함에 많은 경제학자들의 큰 우려를 표하고 있다. 시카고대 경제학자이자 인도 중앙은행 총재를 지낸 라구람 라잔은 "1930년대 엄격한 금융규제안이 허물어지는 데엔 30~40년이 걸렸다"며 "하지만 지금의 속도는 10년 내 모든 규제를 없앨 만큼 빠르다"고 지적했다.

10년 전 금융위기를 미리 경고한 바 있는 라잔 교수는 "최근 허물어지고 있는 금융규제안이 2008년 이전에도 있었다면, 위기는 그리 심하지 않았거나 아예 위기 자체를 막을 수 있었을 것"이라며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의 기업과 개인이 더 많은 빚을 지고 있는 상황에서 현재의 탈규제 흐름은 조만간 경제적 위기를 가속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NYT는 "현재 투자자들은 '스타트업'이라는 이름만 붙으면 묻지도 따지지도 않고 수십억달러를 퍼부으며 거품을 계속 키워가고 있다"며 "이런데도 정부와 의회는 10년 전 금융위기의 교훈을 망각한 듯 거품 양산에 동조하고 있다. 미국인 대부분의 삶이 윤택해지기는커녕 더 큰 위기의 절벽으로 조금씩 내몰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https://www.naeil.com/news_view/?id_art=287061


저도 저 기사에 매우 공감합니다

미국 경제는 겉으로는 좋지만 불평등으로 인해 뿌리가 매우 부실하다고 봅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베이비오일 18-08-30 20:58
   
경제사에서 일국의 중앙은행이 경기후퇴로 인해 이자율을 낮게 유지하면 시간이 문제일뿐 미래에 반드시 버블이

발생합니다 미국도 2001년 IT버블의 붕괴로 경기침체를 넘어 불황이 보이자 연방준비은행이 기준금리를 거의 제로

에 맞춰 대출이 폭증했고 2008년 리먼사태의 씨앗이 됐죠 낮은 이자율로 인해 많은 미국인들은 자신들이 상환할 수

있는 능력을 초과하여 무모하게 차용을 했고 이건 주택가격이 계속 상승할 것이라는 믿음이 있기에 가능했죠 많

은 주택대출 공급업자들도 가계들이 과도한 주택담보 대출을 하도록 유도했고 부적격 가계에도 주택담보 대출

상품을 팔기 시작 했고 주택담보 대출 중개인들은 이런 위험한 대출 상품을 보유하지 않고 수수료를 받고 재판매

함 여기서 버블이 기하급수적으로 커짐 투자은행들은 이런 위험한 주택담보 대출을 주택대출 담보부 증권으로

상품을 만든후 이 상품의 위험성을 인지하지 못한 연기금 등의 매수인에게 수수료를 받고 재판매 다시 버블 증가

이때 부채 증서의 위험도를 평가하는 신용평가기관들이 이토록 위험한 주택대출 담보부 증권에 높은 등급을 줌

등급평가는 자신들만의 꼴리는 잣대를 기준으로 함 또 금융규제기관도 이런 위험도 높은 등급의 주택담보부 증

권의 위험성을 인지하지 못했고 금융제도 전반에 얽히고 얽힌 재판매 된 상품에 대한 자료도 없었음

중앙정부도 수년에 걸쳐 주택 소유를 권장하는 정책을 시행했기에 주택담보부 증권의 위험성을 인지했던 인지

하지 못했던 버블붕괴 직전까지 개입하기 어려운 정치적 상황이었음 페니 메이와 프레디 맥을 설립하면서 까지

주택담보 대출이자에 대한 세금공제와 주택담보 대출을 촉진했던 중앙정부는 불안정한 재무상태의 가계들이 주

택 구입을 위해 담보대출을 하는 것을 막을 의지는 절대 없었음

결론적으로 2008년의 금융위기는 미국의 중앙정부가 주택버블의 위험성을 인지하지 못했고 여러 요소가 맞물려

터진 버블붕괴임 지금 다시 그런 버블붕괴가 일어날까 하면 여러가지 이유로 안일어날듯

먼저 자산가격의 폭등이나 폭락이 있어야함 버블붕괴의 전조임 투기적 거품이 자산가격의 영원한 상승을 믿었던

차용자들의 믿음이 깨지고 공포가 일어나면서 매물폭탄이 터지면 자산가격의 폭락이 시작되죠

그다음 금융기관의 파산이 일어나는데 2008년에 일어났던 현상이죠 지금은 은행의 레버리지율이 높아서 파산은

힘듬 그다음이 신뢰하락 신용경색 경기침체인데 미국은 2008년에 크게 데이고 은행의 레버리지율을 크게 높임

연방준비은행, 미국 통화감독국, 연방예금보험공사 모두 상업은행을 규제함 미국 증권거래 위원회는 투자은행과

투자신탁회사를 규제함 미국 개별 주 기관들은 보험회사를 규제함 규제가 2008년에 비해 상당함

2008년에 크게 데이고 도드-프랭크 법령에 의거 미국 재무장관이 의장인 금융규제 위원회를 설립 이건 주로

신용등급이 취약한 민간 신용등급기관을 감독하는건데 금융기업이 자신들의 상품을 판매할 때 공정성 투명성

확보가 주목적 지금 이걸 규제 푼다는 것은 2008년 처럼 주택버블을 의도적으로 키우겠다는 뜻

경제사로 보면 금융위기는 경기변동의 주요원인이고 경제정책의 주요 추진체였음 중앙은행이 최종 대부자로

행동해야 함
베이비오일 18-08-30 21:09
   
부유층과 빈곤층 사이의 증가하는 소득격차의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겠지만 '교육과 기술간의 경주'라는 책에서

소득 불균형의 증가는 주로 교육의 정체에서 비롯된다고 정의 함 숙련근로자는 신기술을 적용하고 관리하는데

필요하지만 비숙련 근로자는 시대에 뒤떨어져 필요가 없어지면 도태된다고 그 격차가 점점 벌어져 1980년에

대학교육에 1년을 쏟으면 근로자의 임금이 7.6% 성장했지만 2005년엔 12.9%가 성장했다고 함

같은 기간 대학원 각 1년은 7.3% 14.2%로 증가했다고 함

즉 노동소득 내에서도 숙련 비숙련 근로자의 임금이 교육의 정도에 의해 많이 벌어짐
멀리뛰기 21-01-02 14:43
   
[금융] "미국이 또 다른 금융위기 자초한다" 감사^^
멀리뛰기 21-01-08 14:33
   
[금융] "미국이 또 다른 금융위기 자초한다" 감사합니다.
 
 
Total 22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72 [금융] 외환거래 사전신고 의무폐지 (11) 가민수 07-17 3452
171 [금융] '제2의 IMF' 우려... "한국경제가 흔들리고 있다" (6) 가민수 07-07 3765
170 [금융] 아시아 신흥국들 갈수록 어려워지는 이유...FEAT.연쇄 디… ㅓㅜㅑ 06-24 2265
169 [금융] 가상화페 테라 루나 질문입니다 (4) 케인즈 05-26 2595
168 [금융] 소상공인 이자 절반은 은행에서 부담하는건가. (5) 땡말벌11 05-16 3413
167 [금융] 자료) 일본의 가계 저축 및 부채 현황 (7) 이름없는자 05-12 4347
166 [금융] 금리가 계속 오르는데 변동금리 적금이 없다는데...... 땡말벌11 05-11 1757
165 [금융] 에디슨EV와 쌍용차 이야기 (1) 므흣합니다 04-09 2613
164 [금융] 자본조달시장 개혁이 필요한 이유 므흣합니다 03-18 962
163 [금융] 미국 경제 전문가 '한국을 따라 해야 일본 경제에 미… 꼬마와팻맨 03-09 6333
162 [금융] 짐 로저스 “통일의 경제효과 굉장할 것 일본, 한국의 번… (4) 꼬마와팻맨 02-25 7109
161 [금융] 국내 개인투자자본의 이탈 + 우크라이나 관련 정세 + 국… (14) 므흣합니다 02-13 7451
160 [금융] 한국 경제의 충격감내 회복력 (11) 이름없는자 02-09 7021
159 [금융] GDP 대비 외환 보유 상위권 국가 (9) 이름없는자 02-07 8772
158 [금융] 최악의 금융후진국 대한민국 (23) 므흣합니다 01-30 8140
157 [금융] 도둑놈들 소굴 (14) 므흣합니다 01-26 4672
156 [금융] 경제정책의 대규모 변화예고(천국과 지옥) (6) 므흣합니다 12-25 4906
155 [금융] 중개형 ISA 다들 만드셨나요 (1) 힁국 12-17 2249
154 [금융] 금융의 지배, '앵글로색슨 자본주의'의 정체 (3) 케이비 12-12 3329
153 [금융] 증권사 기준금리 오르자마자 빚투 이자 인상 ‘만지작’ (4) 사랑하며 11-29 1928
152 [금융] 다우 13개월 만에 최대 급락…Fed '테이퍼링 시계' … (1) 사랑하며 11-29 1402
151 [금융] 지표금리 상승·대출규제에...주담대·신용대출 금리 치… (3) 사랑하며 11-27 1918
150 [금융] “백신, 오미크론에도 여전히 효과”···“美증시, 월요… (3) 사랑하며 11-27 3211
149 [금융] 가계·자영업자 패닉…빚폭탄 경고등 (4) 사랑하며 11-25 1702
148 [금융] 빚내 집산 '영끌·빚투족' 주담대 '年6%대 시대… (4) 사랑하며 11-25 1633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