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2-08-15 21:53
[한국사] .
 글쓴이 : 흥무대왕a
조회 : 995  

.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파스크란 22-08-15 23:42
   
저때 요동은 태행산맥쪽 요주의 요동 아닌가요?
     
위구르 22-08-16 07:20
   
저 위만조선 당시에는 요수(遼水)가 지금의 요하에서 멀리 떨어진 영정하였습니다. 사서에 보면 그 길이가 1250리라 나오는데 한나라의 리가 416미터니까 곱하면 520미터라서 대릉하 하류에 있는 지금의 반금시 등이 바다에 속해 요하가 지금의 1345키로보다 짧음을 감안해도 지금의 요하일 수는 없습니다. 그 이서지역에서 최근에 있는 대릉하는 지금 길이가 397키로인데 역시 요수가 될 수 없죠.

반면 영정하-상간하-회하 구간으로 이루어진 북경 부근을 흐르는 강은 길이가 747키로지만 지금의 천진시가 바다에 잠겨있던 당시 해안선을 감안해서 빼면 520키로에 가깝습니다. 또 요수가 북동으로 흘러 요동의 서남쪽으로 흘러 바다에 들어간다는 기록이 있는데 지금의 영정하와 대릉하가 부합하지만 대릉하는 1250리에 못 미쳐서 당시 요수가 되기에 불가능합니다.

한서 지리지에는 요서군에 있는 참류수라는 강이 북으로 흘러 바다에 들어간다 했는데 지금의 난하에서 요하까지 있는 강들을 기준으로 보면 북으로 흘러 북극해나 바이칼에 들어가야 하는데 그런 강은 없습니다. 반면 영정하가 기준이라면 그 본 뜻이 요수의 서쪽인 요서군이 동서로 흐르는 영정하의 기준으로는 남쪽에 있어야 하는데 그 지역에는 북으로 흘러 바다에 들어가는 강이 몇 개 있습니다.

또 사기 월절서에 조나라와 제나라, 연나라가 요동을 가졌다고 했는데 지금의 요동이면 조나라와 제나라가 차지할 수가 없습니다. 결국 그 세 나라가 모두 닿는 지역에 요동이 있었다는 뜻인데 그렇다면 지금의 영정하보다 오히려 남쪽인 태행산맥 부근에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런데도 요동군 위치를 저 따위로 비정하며 의심을 안하고 명도전을 연나라 화폐로 단정짓는 글쓴이는 그냥 총체적 난국입니다

https://ko.wikipedia.org/wiki/%EC%9C%B5%EB%94%A9%ED%97%88#/media/%ED%8C%8C%EC%9D%BC:Hai_River_Basin_EN.svg 영정하 지도인데 외국어로 yongding river라고 적힌 강이고 그 글자에서 서쪽으로 나 있는 두 갈래 중에 보다 서남쪽으로 흐르는 쪽이 상간하 - 회하 구간입니다. 북동으로 흐르다가 동남으로 흐르는 형태가 부합합니다

https://www.gasengi.com/main/board.php?bo_table=EastAsia&wr_id=177057&sca=&sfl=wr_content&stx= 이건 제가 보고 배운 글입니다
위구르 22-08-16 04:39
   
사학계 통설을 번지르르하게 옳기셨네요
     
흥무대왕a 22-08-16 06:40
   
합리적인 논의 보다는 감정적인 대응을 하시는군요.
서로 시간 낭비하지 않는 게 좋겠습니다.
차단합니다.
          
위구르 22-08-16 06:48
   
아직 '감정적인 대응'이라는 판단으로 날뛰기에는 이른 단계죠. 정상적인 경우면 '어째서 통설과 같다고 보는가' 혹은 '그럼 통설이 잘못되었단 말이냐'라고 조리있게 묻거나 반박해야 정상 아닙니까? '번지르르'라는 좋은 말을 보고 이리 흥분하시니 화가 나고 감정이 치솟는건 그 쪽 같은데요...
          
위구르 22-08-16 06:51
   
'합리적인 논의 보다는' <- 합리적인 논의를 하기 싫은 사람은 제가 아니라 흥무님으로 보입니다.

전에 님이 쓴 '위구르님이 이 영상을 공유하신 이유는 방4천리가 크다는 걸 강조하고, 삼한의 영토가 한반도 중남부가 아닌 더 큰 영역이라는 걸 주장하기 위함이겠죠.

하지만 무쿠리님은 영상에서 삼한이 한반도 중남부라고 정리했으니... 쩝.'이라는 댓글 기억 하시죠?

대왕님 자신이 쓴 이 댓글의 꼬라지를 먼저 음미하시길 바랍니다.

'하지만 무쿠리님은 영상에서 삼한이 한반도 중남부라고 정리했으니... 쩝'

이거는 어린아이가 심술이 생겨서 화가 나있다가 솟아날 구멍이 하나 생겨서 깝죽대는 모양새와도 같아서 보고 웃었습니다. 여기서 누가 먼저 '감정적인' 대응을 했는지 아시겠죠?

만약 저 댓글에서 제가 똑같이 '합리적인 논의 보다는 감정적인 대응을 하시는군요.
서로 시간 낭비하지 않는 게 좋겠습니다.
차단합니다.' 라고 썼으면 날 비웃으면서 반박도 못하고 튄다며 자긍심을 느끼셨겠죠

감방친구 박사님의 연구들을 훔쳐서 글을 써놓고 그 분한테 정작 중요한 점들은 못 배우셨나봅니다
위구르 22-08-16 06:56
   
사실 제가 위 같이 댓글을 쓴 데는 어느 정도 감정이 들어갔음이 사실입니다. 대왕님의 주장이 너무 형편없어 보여서 방심했기 때문이죠. 이리 쉽게 마음에 상처를 입는 고결하신 인간인줄 알아야 했는데 말입니다
위구르 22-08-16 07:03
   
1. 서안평의 위치
2. 락랑군의 위치
3. 임둔군의 위치
4. 현토군의 위치
5. 고대 료수와 료동의 위치
6. 고대 압록강의 위치
7. 고구려의 영토
8. 부여의 영토
9. 方을 둘레로 해석

제가 최근 댓글에서 제 오류가 1개라면 대왕님의 오류는 9-10개라고 했음은 이로 인함입니다. 다 틀리게 주장을 하면서 고치지 않았으며 특히 '方을 둘레로 해석'한 경우는 황당해서 웃어줄 가치도 없을 정도였습니다. 그에 대해 a님은 '네이버 한자사전'에 나온 뜻을 유일한 근거로 들이미는 어리석음을 발휘하기까지 했으니 도무지 기본이 안되었음을 바로 알 수 있었습니다.

밑바닥에서라도 발전을 하고 싶으시다면 차단 운운할 정도로 그리 감정적이어서는 안됩니다. 예전의 수X리나 XX롱콘같은 버러지들도 헛소리를 끝까지 늘어놓을지언정 차단을 선언하고 튀지는 않았습니다. 그런 밑바닥 수준 밑에 또 무슨 수준이 있을지 궁금해집니다
 
 
Total 5,23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101 [한국사] [논문소개]복기대교수의 임둔태수장에 관한 논문 결… (1) 하이시윤 03-04 828
5100 [한국사] 윤내현교수 (4) 하이시윤 03-03 921
5099 [한국사] 김정민이는 애초에 역사학 논문하나없이 (4) 하이시윤 03-03 969
5098 [한국사] 사이비역사학자 김정민 (15) 하이시윤 03-03 1170
5097 [한국사] 김정민 박사, 책보고와 인터뷰 ㅣ한국사의 혁명 2인 (13) 파스크란 02-23 1880
5096 [한국사] 파스크란님의 글이 역사학 글이 안되는 이유 (27) 하이시윤 02-20 989
5095 [한국사] 운남 대리국이 후백제였다 (2) 파스크란 02-20 1378
5094 [한국사] 등주(登州),청주(靑州)만 찾아도 고려의 산동 강역을 … (15) 파스크란 02-20 1179
5093 [한국사] 역사관련 자료를 찾을때 유용한 사이트 모음 (4) 파스크란 02-19 834
5092 [한국사] 축의 시대 (2) 하이시윤 02-19 756
5091 [한국사] 고구려인의 재산목록 1호는 수레였다 (1) 하이시윤 02-19 873
5090 [한국사] 강소성 양주 고려 왕성과 그 영토 (3) 파스크란 02-19 822
5089 [한국사] 송나라 고지도에 나타난 고려 서북계 (1) 하이시윤 02-19 975
5088 [한국사] 유사사학의 신종 수법 (44) 위구르 02-19 771
5087 [한국사] "환빠" vs 기존주류학계 이라는 대립구도의 문제점 (49) 하이시윤 02-18 862
5086 [한국사] 한국사=한민족사 (10) 하이시윤 02-18 654
5085 [한국사] 세계4대평원 중 하나인 만주의 동북평원을 기반으로 … 하이시윤 02-18 824
5084 [한국사] 고려 태조의 본명 왕봉규, 그는 신라천주절도사였다 (97) 파스크란 01-19 3536
5083 [한국사] 해수면 상승 시뮬레이터를 돌려보기 (56) 파스크란 01-17 2172
5082 [한국사] 삼국사기에 기록된 광활한 신라영토 부여족 01-13 1960
5081 [한국사] 역사왜곡 적극 대응한다더니.. 위안부 내용 역사교과… (18) 천의무봉 01-12 1139
5080 [한국사] 구한말 식사량 (3) 천의무봉 01-07 1588
5079 [한국사] 고구려 요동성 찾기 놀이 (19) 파스크란 01-04 1763
5078 [한국사] 연개소문 무덤찾기 놀이 (7) 파스크란 01-03 1681
5077 [한국사] 신라와 백제의 격전지. 침구에 대한 고찰 파스크란 01-02 907
5076 [한국사] 대청광여도 (고지도 해석 영상) (4) 파스크란 01-01 1169
5075 [한국사] 17분 요약, 지금껏 속았던, 낙랑군(한사군), 대방위치 (24) 파스크란 12-28 1692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