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0-11-11 18:42
[기타] 한국의 갓
 글쓴이 : 관심병자
조회 : 1,343  

』위서() 동이전()에 의하면 부여 사람들은 모자를 금, 은으로 장식하였고 고구려에서는 대가주부(簿)는 무후책(?)을 소가()는 절풍변()을 착용하였다고 한다. 『후한서()』, 『남제서()』, 『위서()』, 『북사()』, 『남사(』, 『주서()』, 『양서()』, 『수서()』, 『구당서()』, 『당서()』, 『한원()』 등의 문헌에도 고구려 관모에 관한 기록이 보이는데 이에 의하면 무후책과 절풍변 이외에 절풍건, 절풍, 책, 나관, 조우관, 조우절풍변, 변, 피관, 자라소골, 조우소골, 금은녹이무후책 등의 모자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신라에서는 유자례()라고 하는 관과 흑건을 썼다. 통일신라시대에는 남자는 복두와 소립을 , 여자는 관을 썼다는 기록이 『삼국유사()』에 보인다. 고려 때에는 『고려도경()』과 『고려사()』에 의하면 면류관, 오사고모, 복두, 조건, 사모, 고정립, 감투, 평정두건, 전모, 고정모, 유각평건, 사대문라건, 문라건, 문라두건, 죽관 등의 모자를 썼고, 군인들은 복두, 전각복두, 금화대모, 투구, 문라두건, 절각복두, 권착복두, 피변, 피몽수, 오사연모, 문라건을 썼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왕을 비롯하여 서민에 이르기까지 계급에 따라 다양한 모자가 있었으며 그 유물과 기록도 많이 전해지고 있다. 조선시대의 모자로는 면류관, 원유관, 통천관, 익선관, 전립, 복두, 공정책, 양관, 제관, 탕건, 초립, 감투, 평량자, 갓, 방립, 이암, 유각평정건, 조건, 동파관, 충정관, 정자관, 복건, 방건, 와룡관, 유건, 휘항, 풍차, 만선두리, 송낙, 고깔, 대삿갓, 화관, 족두리, 여자용 전립 등이 있었다. 개화기와 일제시대에는 서양의 의복이 전해지면서 실크해트(silk hat), 중절모자, 맥고모자, 파나마모자와 같은 서양의 모자도 들어와 사용하였다.

<일반적 형태 및 특징>

기본적으로는 방립형() ·평량자형()의 2가지 형태로 분류된다. 용구로서 입형() 관모를 쓰기 시작한 것은 삼국시대로 거슬러 올라가며, 나중에 재료 ·수식() ·제작 방법이 다양해지면서 조선시대에 여러 종류의 갓이 출현하였다. 그 중에서 흑립()은 갓의 발달과정에서 볼 때 마지막에 정립된 입제()로서, 조선시대 500년을 이어오는 대표적 관모이다. 따라서 갓이란 광의로는 방립형 ·평량자형에 해당하는 모든 종류의 것을 말하나, 협의로는 흑립을 지칭하는 것으로, 후세의 ‘갓’이란 흑립을 말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e뮤지엄)


http://encykorea.aks.ac.kr/Contents/Item/E0000945

머리를 덮는 부분인 모자()와 얼굴을 가리는 차양부분인 양태()로 이루어진다.

원래 햇볕이나 비와 바람을 가리기 위한 실용적인 용구로서의 쓰개였으나, 재료·형태·제작법이 다양하게 발전하면서 사회성을 가지는 관모로 되었다. 우리 나라의 갓은 형태상으로 볼 때 모자와 양태의 구별이 어려운 방갓형[]과 구별이 뚜렷한 패랭이형[]의 두 계열이 있다.

방갓형의 갓으로는 삿갓[]·방갓[]·전모() 등이 있다. 패랭이형으로는 패랭이·초립()·흑립()·전립()·주립()·백립() 등이 있다. 넓은 의미의 갓이라고 하면 방갓형과 패랭이형에 속하는 모든 종류의 것을 말하나, 일반적으로는 좁은 의미의 갓, 즉 흑립을 말한다.

패랭이·초립의 단계를 거치면서 완성된 흑립은 우리나라의 전형적인 갓으로 정착되면서 사대부나 서민 모두에게 널리 사용되었으며, 섬세하고 미려한 형태로 우리나라 사람의 고유한 멋을 가장 잘 나타내는 의관이 되었다.

갓은 상투 튼 머리에 망건()과 탕건()을 쓰고 그 위에 쓰는데, 외출 때나 의례행사 등 의관을 갖추어야 할 때 사용되었다. 또한, 갓은 흑칠()이 본색이지만, 용도에 따라서는 그 색을 달리하였다.

붉은 옻칠을 한 주립은 무관 당상관이 융복()을 입을 때 착용하였고, 백립은 상복()에 착용했다. 다만 일반에서는 대상을 지낸 후 담제까지 썼고, 국상()이 있을 때도 썼다. 의례를 가장 중요시했던 조선시대 남자들의 대사회적 용도로 사용했던 갓은 위엄과 체모를 상징하는 의미를 가지게 되었고, 그에 따라 갓에 얽힌 여러 이야기는 물론 해학적이며 풍자적인 속담들이 나타나기도 했다.

(1) 고대: 갓의 역사는 멀리 고대에 소급되며, 그 시초형()은 경주 금령총()에서 출토된 입형백화피모()와 고구려 고분인 감신총() 벽화에 나오는 모자와 양태의 구별이 뚜렷한 패랭이형의 갓을 쓴 수렵인물에서 볼 수 있다.

문헌상으로는 ≪삼국유사≫에 신라 원성왕이 꿈에 복두()를 벗고 소립()을 썼다는 기록이 있어 갓은 삼국시대에도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2) 고려: 고려시대에 와서는 관리들의 관모로 제정됨으로써 신분이나 관직을 나타내는 사회적 의의를 가지게 되었다. 그에 관한 최초의 기록으로는 1357년(공민왕 6)에 문무백관에게 갓을 쓰도록 한 것인데, 이어 1367년 7월에는 아문()의 정3품 이하 관원들에게 각기 품수에 따라 백옥·청옥·수정 등으로 장식된 흑립을 착용하도록 하였다.

또한, 1374년 4월에는 재상()·중방()·각문()이 모두 갓을 착용하도록 하였는데, 그때의 갓은 재료나 제작기술상 조선시대의 흑립과는 다르나 형태는 패랭이형일 것이다.

(3) 조선: 갓은 고려말에서 조선 초에 걸쳐 패랭이·초립의 단계를 거쳐 흑립으로 발전되었다. 태종 때 한때 백관들이 갓을 쓰고 궁궐에 출입한 적이 있었으나, “조로()에 우설일()이 아닌데도 대소관리()가 착립()하고 있어 미편(便)하다.”고 하여, 이듬해부터 조정에서는 사모()를 쓰게 되고 갓은 편복(便)에 착용하게 되었다. 다양했던 관모 중 가장 널리 사용되었던 갓은 특히 양반층에서 즐겨 썼다.

(4) 근대: 1894년 단발령의 시행으로 중절모자가 등장하지만 갓은 계속 착용되었다. 1895년에는 천인층()에게도 갓을 쓰도록 허락하고 패랭이 쓰는 것을 금함으로써, 의관제도에 귀천의 차별이 사라지고 모든 사람들에게 일반화되었다. 조선의 갓 문화는 계속 이어져 민족항일기의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의관 갖추기를 잃지 않았고, 지금도 두루마기에 갓을 쓴 모습을 볼 수 있다.

한자로 ‘흑립()’ 또는 ‘입자()’로 표기되기도 하는 갓은 성인남자용으로 그 형태는 위보다 아래가 조금 넓은 원통형의 모옥(), 즉 모자집과 아래가 약간 우긋하게 곡선을 이루고 있는 양태, 즉 차양부분으로 이루어지며, 갓을 머리에 고정시키기 위한 갓끈[]이 있다.

갓은 싸기(갓싸개)의 종류에 따라 진사립()·음양사립()·음양립()·포립()·마미립() 등으로 나뉘고, 신분에 따라 달리 착용되었다.

(1) 진사립: 머리카락보다 더 가늘게 다듬은 죽사()로 갓모자와 양태를 네겹으로 엮고, 그 위에 중국산 촉사를 한올한올 입혀서 칠을 한 것으로, 왕이나 귀인이 착용하던 극상품()이다. 왕이 쓰는 이른바 어립()에는 은각 밑뿌리에 당사()를 물들여서 꼰 홍사()를 감는다.

(2) 음양사립: 갓모자는 말총으로 곱게 엮고 양태만 죽사에다 촉사를 올려 옻칠한 것이다. 진사립의 다음 등품이며, 은각 밑뿌리에는 청사()를 두른다.

(3) 음양립: 말총으로 만든 갓모자인 총모자에 양태는 죽사를 쓰나 양태 위는 촉사 대신 생초()를 입혀 옻칠한 것이다. 음양사립 다음 등품이며, 음양립부터 아래 등품의 것은 은각 밑뿌리에 녹사()를 두른다.

(4) 포립: 총모자와 죽사로 엮은 양태로 되어 있고, 양태 위는 명주나 얇은 베를 입혀 옻칠한 것이다.

(5) 마미립: 종립(), 혹은 마종립()이라고도 하며, 말총으로 갓모자와 양태를 엮어 만든 것이다. ≪경국대전≫에는 종립은 사족()들의 것으로 되어 있고, ≪대전후속록 ≫에는 당상관 이하는 착용을 금하는 기록이 있으므로, 조선 중기까지는 당상관 이상에서만 착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흑립이 사서()의 통상관모로 일반화되는 동안에도 양태의 크기나 장식·재료 등은 신분에 따라 달랐다.

시속에 따라 갓모자의 높이와 양태의 넓이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갓의 모양이 구체적으로 논의된 것은 1485년(성종 20) 3월 “입자의 모양이 승립()과 같으니 이를 개정하라.”고 하는 기록에서부터이다.

당시의 갓은 모자의 정상이 둥그렇고 테가 넓은 형태였다. 연산군 초에는 둥글던 모정()이 조금 뾰족하게 변하였고, 이 후부터 모자의 모양이 위는 좁고 아래는 넓은 원통형으로 된 것이라 생각된다.

1504년(연산군 10) 5월에는 모자가 높고 양태가 작은 새로운 형태의 갓을 만들도록 하였으나, 잘 지켜지지 않았다. 따라서, 1530년(중종 25) 5월에는 모자의 높이나 양태의 넓이를 절충한 새로운 형태의 갓을 만들도록 하였다.

그러나 중종 말기에는 모자의 높이가 극도로 높아지고 양태는 극히 좁아졌으며, 명종초에는 모자의 높이와 양태의 넓이를 적당히 가감하여 만든 경쾌한 형태의 ‘김순고입자()’가 등장하였다. 그러다가 곧 다시 모자는 점점 낮아지고 양태는 우산을 펼친 모양처럼 넓어졌다.

1556년(명종 1) 입제()의 개정이 다시 논의되었으나, 주로 모자가 낮고 양태는 극히 넓은 형태의 갓이 명종 말기까지 쓰였다. 그러나 선조 때에는 초년부터 모자가 높고 양태가 좁아지기 시작하여 말년까지 계속되었다.

광해군 때에는 그와 반대로 양태가 극히 넓어지고 모자가 아주 낮아져 안반처럼 넓은 양태에 마치 주발을 엎어놓은 것 같은 모양의 갓이 유행되었다. 넓은 양태의 갓이 인조 말부터는 갑자기 모자도 높아져서 이른바 ‘큰갓’이 되었으며, 효종 때까지 변함없이 사용되었다.

또, 숙종 때는 한때 모자가 낮고 양태가 좁은 ‘작은갓[]’이 유행했다. 그러나 영·정조 때의 갓은 그 시대의 풍속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양태가 비교적 넓었다. 거기에 밀화나 호박·대모 등으로 만든 갓끈을 가슴 밑으로 길게 늘어뜨려 그 멋을 한층 더하였다.

순조 말기에는 양태가 더욱 넓어져서 종전의 어깨를 덮을 정도에서 앉은 사람을 완전히 덮을 정도가 되었는데, 흥선대원군 집정 이후 사회개혁의 일환으로 종래의 ‘큰갓’은 ‘작은갓’으로 변화되었다. 완고한 것으로만 되어 있던 선비의 의관, 특히 그들이 중히 여기던 갓이 이렇듯 시속에 따라 변천해왔다는 것은 재미있는 일이라 하겠다.

갓은 질이 좋은 대나무를 아주 가늘게 쪼개어서 실올처럼 가늘고 길게 다듬어서 양태와 모자를 만들어 붙인 다음 싸기를 하고 옻칠하여 완성한다. 따라서, 갓을 완성하는 데는 세 공정을 거치게 된다.

세죽사()나 말총으로 갓모자를 만드는 일과 머리카락같이 가는 대로 양태를 엮는 일, 또 갓방에서 갓모자와 양태를 서로 모아 갓을 완성하는 일로서, 이 세 공정은 각각 따로 행해지는 것이 예사였다.

갓을 모으는 일 중에서는 양태가 아래로 우긋하게 곡선을 이루도록 모양잡는 일, 속칭 ‘버렁잡는다’고 하는 일이 가장 숙련을 요하는 일이다. 제주도의 총모자와 거제도의 양태가 특히 유명하였다.

이렇게 만들어진 갓(흑립)은 인류가 고안해낸 관모 중 세계에서 으뜸가는 제일 화사한 관모이다. 머리에 얹되 쓴 것 같지도 않게 가볍고, 섬세하게 짜여진 차양 위에 내리쬐는 햇살은 얼굴에 엷은 그림자를 드리워 은근한 아름다움을 표출한다.

그러면서도 양태가 넓은 갓을 쓰고 좌정하면 이에서 위풍이 당당하고 기품 있는 선비의 모습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갓 제작법은 ‘갓일’이라는 명칭으로 1964년 12월 24일 중요무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되었고, 현재의 기능보유자는 김인()과 정춘모()이다.

(1) 갓 끈: 원래는 갓을 머리 위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턱 밑에 매는 실용적 구실을 하던 부분인데, 차츰 재료가 다양해지면서 장식적인 구실도 겸하였다.

헝겊으로 만든 포백영(), 옥·마노·호박·산호·금패·밀화·수정 등으로 만든 주영() 및 대로 만든 죽영()이 있다. 갓끈은 갓을 쓰면 일단 턱 밑에서 고정시킨 뒤 내려뜨리지만, 주영·죽영은 그냥 장식으로 길게 가슴 밑까지 내려뜨리고 따로 검은 헝겊 끈으로 고정시키기도 하였다.

≪세종실록≫에 의하면 1442년(세종 24) 9월 옥석()·번옥() 및 마노 등으로 만든 갓끈은 당상관 이상에게만 허용하고, 향리에게는 옥·마노는 물론 산호·수정으로 만든 것조차 금했던 기록이 있다.

≪경국대전≫ 예전() 의장조(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19,97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85312
19567 [한국사] . (8) 흥무대왕a 08-15 1071
19566 [기타] 선비와 거란은 단군의후예, 동이의 역사 관심병자 08-14 1138
19565 [한국사] 방OO리의 의미 2/2 (7) 위구르 08-13 936
19564 [한국사] . (13) 흥무대왕a 08-10 1281
19563 [한국사] 방OO리의 의미 1/2 (4) 위구르 08-09 1019
19562 [한국사] 발해의 통설 영토로 본 방의 개념 위구르 08-09 1209
19561 [한국사] 발해 중경 현덕부의 위치 확인 위구르 08-09 1148
19560 [기타] 기자 조선 / 한 군현 /고구려 서계 위치 (2) 관심병자 08-09 1257
19559 [기타] . (8) 흥무대왕a 08-08 974
19558 [한국사] 일본의 백제 왕족 성씨 분석 (다타라(多多良), 우라(… (2) 보리스진 08-07 1601
19557 [기타] 외국 드립이 되어버린 한글 (7) 관심병자 08-05 1185
19556 [한국사] 낙랑군 변천사와 평양성 (13) 흥무대왕a 08-02 1296
19555 [한국사] 삼국지에 나온 삼한의 면적 (19) 위구르 08-02 1527
19554 [한국사] . (6) 흥무대왕a 08-01 1303
19553 [중국] 간장게장은 중국 전통음식이다 (2) 살강살강 07-31 1239
19552 [기타] 부여 말갈 관계 가설 (1) 관심병자 07-26 917
19551 [기타] 기자조선에 대하여 관심병자 07-25 748
19550 [기타] 고인돌 1140개 불가리아, 부여족 후예 ‘불가르족’이… (1) 관심병자 07-19 2441
19549 [기타] 마자르족 말갈족? (4) 관심병자 07-18 2022
19548 [기타] 말갈족 관심병자 07-18 1074
19547 [기타] 신라 관심병자 07-18 991
19546 [기타] 일본인들이 키가 작고, 체격이 왜소한 이유 (1) 관심병자 07-17 2024
19545 [한국사] 2022.7.13. 마한 고분 8기(만경강) 발굴 성과 / YTN 조지아나 07-14 1099
19544 [한국사] 한국고대사, 아라가야 도부호 추정년대 ? 중요 사안… (2) 조지아나 07-13 1298
19543 [기타] [인도] 타밀 도부호 100개 site 모두 디지탈 DB 추진-심… 조지아나 07-12 1066
19542 [기타] 고구려가 삼국통일을 하지 않은것에 대해 잡설 (1) 관심병자 07-12 1345
19541 [기타] 인도 타밀 유물중 관심을끄는것, 토기방울,거대 항아… 조지아나 07-12 1014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