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20-03-02 15:44
[한국사] 조선시대 화가들이 그린 '기묘한' 백두산
 글쓴이 : 러키가이
조회 : 3,081  


조선시대 화가들이 그린 '기묘한' 백두산


국립중앙박물관 18~19세기 북한 명승지 그림 소개한 도록 발간
백두산 등 함경도, 평안도, 황해도 명승 담은 낯선 그림들
일제강점기 그림 속 북한 명승 찍은 유리건판사진도 나와

<관북십승도>의 8폭. 규칙적인 암봉들의 무더기가 모인 백두산과 그 안에 품은 천지를 동그란 연못으로 단순화시켜 그렸다. 관념 산수의 틀을 의식하고 그린 그림으로, 오늘날 우리가 사진이나 그림으로 보는 백두산의 모습과는 크게 다르다.
백두산과 천지가 들어간 <관북십승도>의 8폭 전체 그림. 함경도 험지 갑산 괘궁정에서 조망한 개마고원 위쪽 백두산과 천지의 낯선 모습들이 담겼다.

겨레의 성산 백두산을 조선시대 옛 화가들은 어떻게 묘사해 그렸을까.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는 최근 펴낸 <한국서화도록> 27집에 백두산을 비롯한 함경도, 평안도 일대의 북한 명승지를 그린 18~19세기 실경산수그림의 도판들을 대거 공개했다.

먼저 눈길을 끄는 작품이 백두산과 산 꼭대기의 큰 연못인 천지의 그림이다. 문인 남구만(1629~1711)이 가려 뽑은 함경도 명승 10곳을 사생해 그린 화첩 <관북십승도>에 8번째 폭으로 들어있다. 조선시대 산수그림 가운데 백두산과 천지를 묘사한 것들이 거의 없다는 점에서도 희귀한 작품이다.

화첩 속 백두산은 오늘날 한국인들이 익히 알고 있는 성산(聖山)의 실제 면모와는 큰 차이가 난다. 비교적 좌우대칭을 이룬 허연 암산들이 규칙적으로 중첩되어 정점을 이룬 형세에, 화폭 위 가운뎃부분의 암봉 안에 동그란 연못 모양 천지를 품은 모양새가 특징적이다. 함경도 험지 갑산의 괘궁정이란 곳에서 바라본 개마고원 위의 백두산 조망을 담은 것이라고 전한다. 사진으로 포착하거나 현대 화가들의 사생으로 그린 오늘날 백두산의 장대한 산악 풍경과는 이질적일 정도로 달라 보여 일반인은 당혹감을 느낄 수 있다. 대칭적인 암봉들 아래엔 문양 같은 구름들이 연속적으로 그려져 궁중회화의 전형인 일월오봉도의 장식적 요소와 맥이 닿는 부분도 있다. 이는 당대 나라의 화원들이 백두산의 장엄한 산세와 신비스러운 천지의 전경을 눈으로 목격한 경치에 가깝게 옮기지 않고, 산에서 느껴진 위엄과 권위의 인상을 마음 속 관념의 틀에 맞춰 이미지로 빚어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화첩은 지난해 7~11월 박물관 상설관 서화실에서 조선 실경회화 특별전과 연계된 작품으로 선보인 바 있다. 특별전 출품작은 아니어서 전시기간 집중적인 조명을 받지는 않았다.

<서경명승첩>은 조선 서북지방의 중심지 평양과 인근의 명승들을 화폭에 담은 화첩이다. 그동안 일부 연구자들의 논문에서 다뤄졌으나, 도록을 통해 전모를 내보인 건 처음이라고 한다. 황해도 해주의 명승지 부용당을 그린 〈부용당도〉또한 도록으로는 처음 공개된 주목작이다. 부용당은 해서 팔경의 하나로 꼽힌 정자로 옛 해주읍성 안 서문 근처에 1500년께 세워진 건축유산이다. 조선후기 해주의 실제 정경을 포착한 그림이 오늘날 거의 전해지지 않는 실정이어서 이 부용당 그림은 역사지리적 가치가 크다.

<관서십경도>는 평양 부벽루와 안주 백상루, 성천 강선루, 의주 통군정 등의 관서 지역 명승을 지역의 풍광 특색에 맞게 묘사한 격조 높은 화첩이다. 문화재수집가 동원 이홍근(1900~1980)의 옛 소장품으로 상설관 전시와 지방박물관 기획전 등에 여러차례 소개됐던 명품이다. 이밖에 경북 구미와 안동을 비롯한 낙동강 상류의 명승지 8곳을 그린 19세기 실경산수화 <산수팔경도> 8점도 도록에 실려 오늘날 사라진 ‘노자정(鸕鷀亭)’ 등의 옛 모습을 살펴볼 수 있다.

황해도 해주에 있던 옛 누정을 그린 <부용당도>. 국립중앙박물관이 <한국서화도록> 27집을 통해 처음 도판을 공개했다.
일제강점기 찍은 해주 부용당 유리건판사진. <한국서화도록> 27집에 <부용당>도판과 함께 공개됐다.

도록 내용은 국립중앙박물관 누리집에서 피디에프(PDF) 파일로 바로 검색할 수 있다. 화첩 속 북한 지역 일부 명승들을 일제강점기 찾아가 촬영한 유리건판 사진들도 함께 실려 비교감상을 돕는다. 이재호 미술부 학예연구사는 “알려지지 않은 북한 지역의 조선후기 실경산수화를 소개하고 최신 연구성과와 상세한 해설, 근대기 사진자료까지 실어 조선시대 명승그림의 면모를 새롭게 알렸다는데서 도록 발간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노형석 기자 nuge@hani.co.kr, 도판·사진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러키가이 20-03-02 15:44
   
 
 
Total 5,26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268 [한국사] 우리 고대사 #7 : 맥족의 이동 윈도우폰 03-22 251
5267 [한국사] 우리 고대사 #12 : 한민족과 재가승 윈도우폰 03-22 292
5266 [한국사] 우리 고대사 #11 : 한반도의 왜(倭) 윈도우폰 03-22 172
5265 [한국사] 우리 고대사 #10 : 진국의 한(韓)족 윈도우폰 03-22 299
5264 [한국사] 우리 고대사 #9 : 고조선 유민과 신라 윈도우폰 03-22 113
5263 [한국사] 우리 고대사 #8 : 고조선의 이동 윈도우폰 03-22 252
5262 [한국사] 우리 고대사 #6 : 예족의 이동 윈도우폰 03-22 92
5261 [한국사] 우리 고대사 #5 : 맥족과 예족 윈도우폰 03-22 260
5260 [한국사] 우리 고대사 #4 : 단군조선과 토템 윈도우폰 03-22 104
5259 [한국사] 우리 고대사 #3 : 홍산문화와 적봉지역 주민 윈도우폰 03-22 273
5258 [한국사] 우리 고대사 #2 : 하화족과 동이족 윈도우폰 03-22 116
5257 [한국사] 우리 고대사 #1 : 우리 민족의 조상 윈도우폰 03-22 302
5256 [한국사] 《인류와 한국조선의 변천사 - 한경대전》 (1) 에피소드 03-21 161
5255 [한국사] 아래 지도에 대한 내 관점... 고조선 중심의 열국시대… (4) 윈도우폰 03-21 391
5254 [한국사] 위만조선 시기 판도 (2) 위구르 03-20 266
5253 [한국사] 우리는 동이가 아니다. (2) 윈도우폰 03-19 578
5252 [한국사] 2022년 고고학계의 경주 월성 발굴조사 보고서 (6) 홈사피엔스 03-19 269
5251 [한국사] 삼국사기 이해 (1)신라사 (7) 홈사피엔스 03-16 589
5250 [한국사] 《(고)조선의 "가르침"과 직접민주주의 "국민의원"》 에피소드 03-14 333
5249 [한국사] 《고구려 최초의 이름은 '홀본(일본)' 이다》 에피소드 03-14 552
5248 [한국사] 《안문관,연운16주,송나라.. 화하족 관점 대륙계보》 에피소드 03-09 697
5247 [한국사] [한겨례] 2024/3/8 [단독] 고대 일본 권력층 무덤 장식품… (2) 외계인7 03-09 494
5246 [한국사] 《고려 조상님들이 건축한, 서경(북경성)의 모습》 (7) 에피소드 03-08 645
5245 [한국사] 발해 멸망 이유 - 야율아보기의 쿠데타 (4) 하늘하늘섬 03-05 1873
5244 [한국사] 역사적 관점에서 조심해야할 사항 (8) 하이시윤 03-04 584
5243 [한국사] [ FACT ] 역사학자 <임용한> , 고려거란전쟁 전투씬… 아비바스 03-04 474
5242 [한국사] 《고려도경으로 알수있는 정확한 "고려 서경" 위치》 (2) 에피소드 03-03 625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