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9-09-30 10:19
[북한] 비록..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7편. 북한 건국과정..
 글쓴이 : 돌통
조회 : 1,809  

7. 조만식과 소군정






겉으로는 협력, 속으로는 갈등 구조


 




蘇군정과 조만식의 관계는 미묘했다. 해방이 됐으니 자주독립국


가를 세워야겠다고 생각하는 완강한 민족주의자 고당과, 변경국


가를 소비에트화하려는 소련군 사이에는 처음부터 엄청난 거리


가 있었다.





그러나 해방군으로서 진주한 소련군은 그들의 「비밀의 대안 김


일성」과 그의 빨찌산조직을 통해 북한의 장악에 나섰지만 이미


조만식은 주민들의 절대적 후광 속에서 독립국가 건설을 위한


준비를 하고 있었다.





그래서 한반도의 운명을 가르는 신탁통치문제가 제기될 때까지


소련군정과 조만식은 협력과 갈등의 복잡한 정치방정식을 연출


해갔다.





소련군 정치사령관 레베데프 소장은 8월 29일 평양주둔 소련군


25군사령부에서 조만식과 처음 대좌했다. 조만식은 그에 앞서


26일 치스차코프 사령관(작고)과 만났다. 소련군정과의 관계정립


을 위한 것이었다.





조만식은 치스차코프에게 『소련군은 점령군이냐, 해방군이냐』


고 물었다. 당시 소련군의 행패나 약탈행위는 해방군으로서의 소


련의 체면을 깎아 내리고 있었다.



 

그러나 치스차코프는 『나는 순수한 군인일 뿐』이라며 정치문


제는 레베데프 정치사령관에게 물어보라고 미뤘다.





조만식과 김일성의 역량差(차)





레베데프는 조만식이 북한 내에서 어떤 위치에 있는지 이미 잘


알고 있었다. 그는 『조만식이 인민들로부터 추앙을 받고있다는


정보를 부임전부터 갖고 있었다』며 당시 상황을 이렇게 회고했


다.





『먼저 북조선의 전반적인 상황에 대해 얘기해달라며 말을 꺼냈


습니다. 그랬더니 그는 「친일파의 준동, 산업활동의 중단, 식량


부족, 토지제도 미비, 그리고 문맹자 문제 등이 산적해 있다」고


설명하더군요.』





레베데프는 이 민족주의자와의 만남을 아직도 잊지 않고 있었다.




『그의 말을 듣고 「어떻게 했으면 좋겠는가」라고 물었더니 거


침없이 대답하더군요. 기본정치노선은 민주주의여야 하고 자


본주의에 입각한 경제제도를 채택해야 하며 교육을 통해 인


민을 깨우쳐야 하고 피압박민족의 한을 자주독립국가로 풀어


야 하고, 이 모든 것을 위해서는 언론·집회·결사의 자유 등이


보장돼야 한다고 말입니다.』





레베데프는 『당시 조만식의 말을 듣고 깜짝 놀랐었다』고 회고


하면서 『그는 정치적 식견이 있는 인물이라는 느낌을 받았다』


고 술회했다.





레베데프는 증언이 끝날 무력, 왼손을 머리 위로 올리고 오른손


으로 허리부분을 가리키면서 조만식이 왼손의 위치라면 김일성


은 오른손 위치라고 비유해 가며 두 사람의 인물 역량을 비교까


지 했다.





그러나 레베데프와는 달리 蘇25軍 사령관 치스차코프 대장은 76


년 소련과학아카데미 동방학연구소에서 발행한 자신의 회고록에


서 조만식에 대한 첫 인상을 이렇게 회고했다.





『레베데프 사령관이 인민위원회 대표들과 가진 회담에서 조만


식은 반동적인 견해를 피력했지만, 새 조선의 정권에는 참가할


수 있었다.



 

그는 안락의자에 앉아 두 눈을 지그시 감고 있으면서 입을 다문


채 이따금 찬성의 뜻으로 고개를 끄덕이기도 하고 반대의 표시로


고개를 옆으로 젓기도 했다.



 

그는 말을 적게 할수록 권위가 있는 것으로 믿고 있는 듯 허세를


보이면서 참석자들 중 가장 나이 많은 사람으로 처신했다. 이 회


담에서 통역은 준비된 정치활동가 박정애가 맡았다.』





그러면 조만식의 소군정에 대한 기본인식은 무엇이었을까. 해방


당시 조만식선생의 측근으로 활동했던 박재창씨(77·고당 조만식


선생기념사업회 상임이사장)는 조심스럽게 자신의 견해를 피력


했다.





『고당선생님의 꼭 그렇게 생각하셨다는 것은 아닙니다만, 당시


소련에 대해 절망적으로는 보지 않았던 게 전반적인 분위기였습


니다.』





박씨의 증언은 계속된다.




『일부에서는 고당선생님이 소련군정과 함께 일을 한 것을 놓고


「국제적인 식견이 부족했다」는 지적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그같은 견해는 단견(短見)이라고 봅니다. 막강한 소련군


대에 무력으로 대항할 수는 없는 것이고, 그렇다고 남쪽으로 내


려와 버리면 북한을 그대로 소련에 진상하는 꼴이 돼버린다고 고


당은 판단했던 것입니다.



 

그래서 일단 소군정과 함께 일을 하되 잘못된 점에 대해선 비폭


력으로 저항하자는 것이었죠.』





소군정 요구로 평남인민정치위 개편





이 대목에 대한 북한문제 전문가 김남식씨(67·평화연구원 연구위


원)의 견해.



 


『당시 모든 정치상황이 서울에 집중돼 북한에 있던 민족주의세


력이든 국내파 공산주의자든 서울 동향에 큰 관심을 기울였습니


다.



 

고당은 서울에서 인민공화국을 만든 여운형과 선을 대려는 움직


임을 보인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또 美군정과의 연계 가능성도 있고요. 어쨌든 당시만 해도 분단


가능성은 없다고 생각했으므로 소군정과의 협력은 일시적이라고


판단한 거죠.』





결국 해방 초기 조만식과 소군정 사이에는 함께 일할 수 있는 여


건은 성립된 셈이었다.





고당이 레베데프를 만나기 전까지 북한 정치상황의 핵심은 「평


남인민정치위원회」의 수립이었다. 고당은 해방 이틀 뒤인 17일


민족주의자 18명, 공산주의자 2명으로 「조선건국준비 평남위원


회」(약칭 평남건준)를 구성했다.





이것이 소군정의 요구에 따라 민족주의자와 공산주의자가 각각


16명씩 참여하는 「평남인민정치위원회」로 27일 개편된 것이


다.



 

그러나 민족주의 계열이 추천한 김광진(金洸鎭)이 실제로는 공산


주의자로 판명돼 사실상 전세가 역전된 꼴이 됐다.





고당을 위시한 건준측이, 소군정의 이같은 요구를 받아들인 배경


이나 의도는 정확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다만 고당의 비서로


일했던 오영진(吳泳鎭, 평남건준 부위원장 오윤선장로의 아들·작


고)가 그의 저서 『하나의 증언』에서 실마리를 제공하고 있다.





『합작하지 않을 수 없는 이유 중 하나는 소련 권력 하에 있으면


서 공산당을 보이콧해서는 아무런 일도 할 수 없다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또 하나 중요한 이유는 조선의 장래를 위해서 어느 정도 사회주


의적인 정책이 필요하다고 건준 스스로가 느꼈기 때문이다.



 

또 그때까지는 「볼세비키즘」과 사회주의의 차이를 확실히 인


식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에 「협력하라」고 지시 받은 공산당


에 대해 그다지 심각하게 생각할 것도 없었고 경계할 것도 없었


던 것이다.』





소군정은 특히 일본이 갖고 있던 道행정권을 이양받는데 있어 인


민위같은 조선인 자치단체가 직접 받도록 조치했다. 이같은 조치


는 물론 대내외적인 명분 축적의 일환이었으나 고당의 입장에서


 보면 바람직스러운 일이었을지도 모른다.





蘇軍 약탈에 환멸 느끼는 조만식




소군정은 도에 이어 9월말까지 군 단위로 「인민위원회」라는


명칭의 행정기구를 설치했다. 10월로 들어서자 고당과 소군정은


북한 전역을 관장하는 행정기구를 구성하기 위한 협의에 들어갔


다. 10월 8∼9일 평양에서 열린 이북5도 대표자협의회가 바로 그


것이다.





전 북한노동당 간부 서용규씨의 증언.



 


『5도대표자협의회는 소련군사령부가 소집한 것이 아니라 조만


식이 주동이 돼 평남인민정치위원회가 소집한 것입니다.



 

여기서 약 한달 뒤에 만들어지는 5도행정국을 위한 연락기구로


「5도인민위원회협의회」가 조직됩니다. 물론 소군정과 협의해


결정한 것이고 위원장은 조만식이었습니다. 이런 점을 볼 때 조


만식과 소군정 관계는 원활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고당이 위원장이던 5도인민위원회협의회는 그 뒤 11월 19일 5도


행정국으로 확대, 발족된다. 이로써 고당과 소군정은 북한을 통


치하는 행정기구 정비를 끝낸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고당과 소군정 사이에는 갈등이 하나 하나씩


쌓여가기 시작했다. 고당이 소군정과 국내 공산주의자들의 실상


에 대해 인식하기 시작한 것이다.





서씨의 증언.



 


『조만식이 소군정과 마찰을 빚은 것은 무엇보다도 소련군의 약


탈행위 때문이었지요. 특히 문제가 됐던 것은 9월에 벌어진 평양


고무공장의 기계탈취사건과 10월에 있은 수풍발전소의 발전기를


뜯어간 사건이었습니다.



 

수풍발전소에서는 한 조선인기술자가 발전기를 못 뜯게 막았다


가 총까지 맞은 일이 있었습니다.』





서씨의 증언은 계속된다.




『9월말에 불붙기 시작한 소작료 문제도 갈등요인이었습니다.


고당은 당시 대세였던 지주 3, 소작인 7의 3 : 7제가 지주에게 너


무 가혹한 것이라고 생각해 4 : 6제를 주장했죠.



 

그러나 일부 공산주의자들이 2 : 8제를 주장해 심각한 논쟁이 벌


어졌습니다. 고당은 그러자 「너희들 마음대로 하려면 해보아


라」며 이틀 동안 평남인민정치위원회에 참석치 않은 적도 있었


습니다.』



이같은 갈등 속에서도 고당은 소군정의 요청 등에 따라 정당을


만들었다. 조선민주당 창당을 둘러싸고 조만식과 소군정, 조만식


과 김일성이 본격적으로 접촉을 벌이게 된다. 


 

   제 8편에서 ~~  계속..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아마르칸 19-10-08 23:16
   
음............
 
 
Total 51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79 [북한] 전두환의 김일성에 대한 찬양 친서.. 돌통 07-08 1053
378 [북한] 동아일보 취재단이 북에 선물로준 보천보전투금인쇄… 돌통 07-08 862
377 [북한] 한반도의 비핵화는 누가 깨뜨렸나? 비핵화역사.01편.. (1) 돌통 07-07 732
376 [북한] 북한에서 성매매를 없앴다고.? 05편.. 돌통 07-07 911
375 [북한] [북,러] 스탈린은 한국전쟁에서 왜 소극적이었나.? 돌통 07-07 1261
374 [북한] 위대한 정신. 징기스칸의 명언.. (5) 돌통 07-06 1572
373 [북한] 북한에서 성매매를 없앴다고.? 04편.. 돌통 07-06 987
372 [북한] 북한에서 성매매를 없앴다고.? 03편. 돌통 07-05 849
371 [북한] 북한에서 성매매를 없앴다고.? 02편. 돌통 07-05 701
370 [북한] 북한에서 성매매를 없앴다고.? 01편. 돌통 07-05 879
369 [북한] 북한이 6.25를 조국해방전쟁 이라고 하는이유? 02편. 돌통 07-05 727
368 [북한] 밝혀지는 6.25전쟁 북침설..한국전쟁의 확실한 팩트.… (2) 돌통 06-29 1703
367 [북한] 북한은 왜 6.25전쟁을'조국해방전쟁'이라고 부… 돌통 06-28 803
366 [북한] 내가 아는만큼(북한 역사 스토리) 10편. 돌통 06-28 768
365 [북한] 플라톤의 주장하는 5가지 행복.. 돌통 06-28 726
364 [북한] 김정은 건재에도 반성없는 스토커종족들. (1) 돌통 06-28 769
363 [북한] 내가 아는 만큼(북한 역사 스토리) 09편.. 돌통 06-25 636
362 [북한] 내가 아는 만큼(북한 역사 스토리) 08편.. 돌통 06-24 669
361 [북한] 내가 아는 만큼(북한 역사 스토리) 07편.. 돌통 06-24 695
360 [북한] '북한 핵 공격으로 300만 명 사망'시뮬레이션&#… (3) 돌통 06-23 1376
359 [북한] 김일성의 항일투쟁중 올기강 전투.. 돌통 06-23 1195
358 [북한] 김일성은 '가짜'도, '원흉'도 아니다.? (2) 돌통 06-22 1239
357 [북한] 내가 아는 만큼(북한 역사 스토리) 06편.북한은 친일… 돌통 06-19 822
356 [북한] 내가 아는만큼(북한 역사 스토리) 05편. 돌통 06-17 745
355 [북한] 내가 아는 만큼(북한 역사 스토리) 04편. 돌통 06-16 791
354 [북한] 내가 아는 만큼(북한 역사 스토리) 03편. 돌통 06-15 718
353 [북한] 내가 아는 만큼(북한 역사 스토리) 02편. 돌통 06-15 682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