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10-27 13:04
[한국사] 수(隋) 임유관(臨渝關, 臨榆關) 추적 01
 글쓴이 : 감방친구
조회 : 1,509  

05. 임유현의 위치에 대한 여러 기술(記述)과 그 분석 및 검증

06. 임유현의 위치 추적을 중심으 한 북평군의 연혁 고찰




가. 기술 교차를 통한 자료 분석의 빠른 이해를 위한 사전 설명


① 임유현은 臨楡縣, 臨渝縣, 林渝縣,  林楡縣등으로 혼용 표기돼 왔다

② 유관과 임유관은 같은 말이자 곳으로 유관은 임유관의 준말이다

③ 임유현과 임유관을 다른 곳으로 생각할 수 있으나 역대 사서와 현 통설에서는 임유관을 임유현과 동일 위치로 기술하고 있으며 임유진 역시 동일 위치로 기술하고 있다 즉 임유관은 임유현, 또는 임유현이 있던 곳에 설치된 관문이고 임유진은 임유현, 또는 임유현이 있던 곳에 설치된 진인 것이다 그러나 또한 후대 사서일수록 임유현과 임유관을 분리하여 임유관을 임유현의 동부 해안으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④ 임유관은 역대 사서에서 임유관(臨渝闗), 임유관(臨楡闗),또는 임여관(臨閭闗)으로 표기돼 나타나며 준말로 유관(渝闗), 유관(楡闗) 등으로 표기돼 나타나며 또한 임유진(臨渝鎭)으로서 그 위치가 기술되기도 하였다

⑤ 또한 임유현에 임유궁(臨渝宮)이 있었다고 기술돼 왔는데 611년 수 양제가 고구려 대침공을 준비하며 도착해 머문 임삭궁(臨朔宮)이 임유궁(臨渝宮)으로 인식되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임유궁은 북평군에 있었고 수 양제의 임삭궁은 탁군(涿郡)에 있었다  임유궁과 임삭궁 시비는 이 고찰에서는 제외한다

⑥ 또한 임유현은 임유산(臨餘山), 임유산(臨渝山) 등과 관련돼 기술되다가 임유산의 기술 중심이 노룡현으로 옮겨가는 모습이 관찰된다

⑦ 그밖에 임유현/임유관 등이 유관수착(渝關守捉)으로 표기돼 나타나기도 한다




나. 한중 학계 통설에서 말하는 유관, 즉 임유관의 위치


1. 중국역사지도집으로 보는, 중국 학계에서 고증하고 비정한 임유현, 또는 임유관의 위치


① 중국역사지도집 동한


http://blog.naver.com/storyphoto/viewer.jsp?src=https%3A%2F%2Fblogfiles.pstatic.net%2F20111019_135%2Fjhy8365_1319022154201KNPGC_JPEG%2F14.jpg


② 중국역사지도집 삼국시대 원위


http://blog.naver.com/storyphoto/viewer.jsp?src=https%3A%2F%2Fblogfiles.pstatic.net%2F20111020_290%2Fjhy8365_1319106447397wB3MT_JPEG%2F3.jpg


③ 중국역사지도집 삼국시대 서진


http://blog.naver.com/storyphoto/viewer.jsp?src=https%3A%2F%2Fblogfiles.pstatic.net%2F20111020_198%2Fjhy8365_13191064548484k9fL_JPEG%2F17.jpg


④ 중국역사지도집 수


a. 전도


http://blog.naver.com/storyphoto/viewer.jsp?src=https%3A%2F%2Fblogfiles.pstatic.net%2F20111024_52%2Fjhy8365_1319456731091vmp4L_JPEG%2F1.jpg


c. 요서군


http://blog.naver.com/storyphoto/viewer.jsp?src=https%3A%2F%2Fblogfiles.pstatic.net%2F20111024_297%2Fjhy8365_1319456735945HTq4v_JPEG%2F9.jpg


⑤ 중국역사지도집 당


http://blog.naver.com/storyphoto/viewer.jsp?src=https%3A%2F%2Fblogfiles.pstatic.net%2F20111101_234%2Fjhy8365_1320131068711uFWU3_JPEG%2F5.jpg


한국 학계 통설에서 제시하는 위치 역시 중국역사학계와 같아서 임유관을 현 하북성 진황도시 산해관, 또는 대체로 그 서북쪽으로 제시하고 있다. 그 위치는 하기 바이두 백과에서 제시한 현 하북성 진황도시 무령현 동쪽 인근 임유진이다.



2. 임유현의 위치를 난하 동쪽, 즉 현 하북성 진황도시 무령현 임유진, 또는 산해관으로 비정하는 학계통설의 근거가 되거나 학계통설을 반영한 여러 기술(記述)


1) 바이두 백과


임유현(临渝县)


서한에서 처음 설치 했으며 옛 치소가 현 요양시 경내에 있는데 요서군에 속했다.

동한에서 치소를 현 하북성 무녕현 임유진으로 옮겼다.

서진 초에 땅이 해양현에 편입됐다.


西汉初置,故治在今辽阳市境内,属辽西郡。东汉移治今河北抚宁县榆关镇。西晋初省入阳乐县。


# 임유진

Yuguanzhen
중국 허베이 성 친황다오 시 푸닝 현
https://maps.google.com/?q=Yuguanzhen%2C+%ED%91%B8%EB%8B%9D+%ED%98%84+%EC%B9%9C%ED%99%A9%EB%8B%A4%EC%98%A4+%EC%8B%9C+%ED%97%88%EB%B2%A0%EC%9D%B4+%EC%84%B1+%EC%A4%91%EA%B5%AD&ftid=0x358b7e47c9fb79e3:0x60726152b0cfaaca



2) 중국고금지명대사전


① 臨楡縣


한나라 양락현과 해양현이 있던 곳으로 수나라 노룡현 땅이다. 요나라에서 천민현을 두었으며 금나라가 폐지하고 천민진을 두었다. 명나라가 산해위를 설치했으며 청나라가 산해위를 임유현으로 고쳐서 영평부에 속하게 했다.

漢陽樂海陽二縣地。隋盧龍縣地。遼置遷民縣。金廢爲遷民鎭。明置山海衛。清改衞爲臨楡縣。屬直隸永平府。民國初屬直隸津海道。今屬河北省。北寧鐵路經之。


# 중국역사지도집 요 ㅡ 지도상에서 현 진황도시 산해관 인근에 천민현이 있다

http://blog.naver.com/storyphoto/viewer.jsp?src=https%3A%2F%2Fblogfiles.pstatic.net%2F20111102_183%2Fjhy8365_1320215525003x6oln_JPEG%2F14.jpg


② 臨渝縣


한에서 설치했는데 역시 임유라 이름 지었다. 후한이 이었는데 지금 요녕성 심양현 서쪽 경계에 있었다.

漢置。亦作臨楡。後漢因之。在今寧遼瀋陽縣西境。


③ 渝關


유관(楡關)이라 적기도 한다. 즉 (지금의) 산해관이다.
一作楡關。即山海關。


④ 山海關


임유현의 동쪽 관문이다. 본래 옛 임유현 땅이었다. 또 임여관이라 하기도 한다. 역시 임유관이라 하기도 한다. 관문이 동쪽으로 바다에 임하여 있다.
在直隸臨楡縣東門。本古渝關地也。又名臨閭關。亦名臨渝關。關東臨海。北有免耳、覆舟山。山皆陡絶並海。東北有路。狹僅通車。其旁地可以耕種。爲長城極東盡處。今京奉鐵路通過之。自古視爲要隘。有天下第一關之稱。今亦築有礮台。舊時出關者皆以爲苦。關外有悽惶嶺。一名歡喜嶺。蓋東行者至此悽惶。西行者至此歡喜也。明置山海衞於此。清廢。


3) 독사방여기요


① 북직 8


영평부 동쪽으로 산해관까지 180리

(영평부는 오늘날 하북성 진황도시 노룡현에 그 치소가 있었다. 新昌城即今府治。漢置新昌縣,屬遼東郡。後漢因之。晉屬遼東國,在今遼東海州衛境。後魏僑置於此,屬北平郡。後齊為郡治。隋改曰盧龍縣。북직 8)

# 노룡현

루룽 현
중국 허베이 성 친황다오 시
https://maps.google.com/?q=%EC%A4%91%EA%B5%AD+%ED%97%88%EB%B2%A0%EC%9D%B4+%EC%84%B1+%EC%B9%9C%ED%99%A9%EB%8B%A4%EC%98%A4+%EC%8B%9C+%EB%A3%A8%EB%A3%BD+%ED%98%84&ftid=0x358ca143fc5aaf09:0x249aefc8de3a7851


永平府東至山海關一百八十里,南至海岸百六十里,西至順天府薊州三百里,北至桃林口六十里,東北至廢營州六百九十里。自府治至京師五百五十里,至南京三千一百五十里。


영평부는 서쪽으로 계문(북경시 일원을 가리킴)에 접하고, 동쪽으로 유관에 이르며 산과 바다에 둘러싸여 사방이 험고하다

府西接薊門,東達渝關,負山阻海,四塞險固。


무령현은 영평부 동쪽 80리에 있다. 무령현 남쪽으로 창려현까지 40리이다.

무령현은 한나라 임유현이 있던 곳이다.

撫寧縣府東八十里。南至昌黎縣四十里,東至遼東廣寧前屯衛百七十里。漢臨渝縣地。後漢省。遼置新安鎮於此。金大定末,改置撫寧縣。元至元初,省入昌黎縣。尋復置,屬永平路。今編戶十七里。


# 무령현

푸닝 현
중국 허베이 성 친황다오 시
https://maps.google.com/?q=%EC%A4%91%EA%B5%AD+%ED%97%88%EB%B2%A0%EC%9D%B4+%EC%84%B1+%EC%B9%9C%ED%99%A9%EB%8B%A4%EC%98%A4+%EC%8B%9C+%ED%91%B8%EB%8B%9D+%ED%98%84&ftid=0x358b77fde129c8b3:0xb71214760711ac48


임유(현)성이 무령현 동북쪽에 있다. 임유현은 한나라 시대 요서군에 속했던 현이다.
臨渝城在縣東北。漢縣,屬遼西郡。後漢因之。晉省縣,而城如故。義熙十年,北燕褚匡言於其主跋曰:章武臨海,舟楫可通,出於遼西臨渝。謂此也。隋開皇初,營州刺史高保寧與突厥沙缽略,合軍攻陷臨渝鎮。大業中,置臨渝宮於此。十年,復議伐高麗,自涿郡幸臨渝。是也。《隋志》:北平郡盧龍縣有臨渝宮。蓋於故城置宮雲。


ㅡ 수 양제가 행차한 곳은 탁군의 임삭궁이다. 임삭궁이 임유궁을 가리킨다 할지라도 임유궁은 탁군이 아니라 북평군에 있었다. 수 양제가 행차하겠다 한 곳은 탁군이며, 실제 행차한 곳 역시 탁군의 임삭궁이다


② 역대주역형세 5


유관, 또는 임유라 하는데 즉 산해관이다

平盧節度使治營州,天寶初,分範陽節度置鎮撫室韋、靺鞨統盧龍軍一,渝關等守捉十一。盧龍軍,在平州城內。渝關,亦曰臨渝,即山海關也。


③ 북직 1


유관, 일명 임유관, 또한 임여관(신당서 지리지 임여관)이라고도 하는데 지금의 산해관이다

영평부 무령현 동쪽 100 리에 있다


渝關,一名臨渝關《漢志》注:渝,音喻,亦曰臨閭關《唐志》:渝關,一名臨閭關,今名山海關。在永平府撫寧縣東百里,遼東廣寧前屯衛西七十里按



4) 요사  지리지 중경도


渝州(榆州)


본래 한나라 임유현 땅이었는데 후에 우북평 려성현(驪城縣)에 예속되었다.


榆州 高平軍,下,刺史。本漢臨渝縣地,後隸有北平驪城縣。唐載初二年,析慎州置黎州,處靺鞨部落,後為奚人所據。太宗南征,橫帳解里以所俘鎮州民置州。開泰中沒人。屬中京。


http://blog.naver.com/storyphoto/viewer.jsp?src=https%3A%2F%2Fblogfiles.pstatic.net%2F20111102_183%2Fjhy8365_1320215525003x6oln_JPEG%2F14.jpg


ㅡ 현 하북성 승덕시 동북 방면에 있던 유주를 수나라 임유궁지로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곳은 수나라 임유궁지, 즉 임유현 고처가 될 수 없다 이는 아래에 별도로 설명하겠다



5) 무경총요


① 평주 노룡군


남쪽으로 바다까지 2백 리, 동북쪽으로 유관수착까지 190리


平川盧龍郡

西至冀州三百里,南至海二百里,北至上谷口八十里,東北至渝關守捉百九十里,西北至盧龍塞二百里。


② 요주(는 천주州를 가리킨다)


옛 요서(군)의 북쪽 땅이다. 임유관이 주치소(천민현)의 동북쪽 5 리에 있다.


遼州,古遼西北之地,臨渝關在州東北五里。先是平渤海,遷其民置州以居之,仍名其邑曰遷民。東至來州七十里,西至閏州四十里,南至海州三十里,北至利州四百五十里。


③ 윤주


노룡새가 있으며, 동북쪽으로 요동의 습지/늪지와 접한다. 동쪽으로 요주까지 40 리, 서쪽으로 유관까지 40 리, 남쪽으로 바다까지 30 리, 북쪽으로 (거란) 중경까지 550 리이다.


潤州,盧龍塞,東北接遼東澤,唐光啟中,契丹有營平之地,因渤海之叛,既討平,遷其部落,置州以居之,取潤水為名。東至遼州四十里,西至渝關四十里,南至海三十里,北至中京五百五十里。


ㅡ 윤주는 요주의 서쪽에 있다 학계 통설에서 윤주를 진황도시에, 요주(천주)를 산해관에 비정한다. 그렇다면 무령현 방면에 있는 임유진은 당연히 윤주와 요주의 서북쪽에 위치한다고 기술해야 하는데 보는 것과 같이 방향과 거리, 기술 내용이 서로 이격되어 있다. 이는 이 지역의 거란의 영토가 들고 남에 따라 생긴 오차인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윤주를 기술하며 노룡새를 거명하는 것 역시 이런 의혹을 낳는다


④ 유주(투주)


수나라 임유궁이 있던 곳이다. 서북쪽으로 (거란) 중경까지 170 리이다.


渝州,隋臨渝宮之地,北控營平,歷代置關戍守,今陷胡中置州,東至北海州,西北至中京百七十里,西至招延州四十里。


http://blog.naver.com/storyphoto/viewer.jsp?src=https%3A%2F%2Fblogfiles.pstatic.net%2F20111102_183%2Fjhy8365_1320215525003x6oln_JPEG%2F14.jpg


ㅡ 상기한 후대의 요사 지리지 중경도 기술과 마찬가지로 무경총요 역시 현 하북성 승덕시 동북 방면에 있던 유주를 수나라 임유궁지로 기술하고 있다 그러나 이곳은 수나라 임유궁지, 즉 임유현 고처가 될 수 없다 이는 아래에 별도로 설명하겠다


6) 태평환우기


① 평주


평주(노룡현)에서 동북쪽 유관수착까지 190 리, 유관수착에서 동북쪽으로 영주까지 500 리이다.


平州。北平郡,今理盧龍縣。

戰國時斯地屬燕,秦兼天下,為右北平及遼西二郡之境。漢因之,為遼西郡之肥如縣。後漢末,公孫度自號平州牧,擅據,及子康、康子淵,俱得遼東之地,東夷九種皆伏焉。晉屬遼西郡,後魏亦然。隋開皇初為右北平郡,十年改為平州。煬帝即位,又廢州,複為郡。唐武德二年廢郡,為平州,領臨渝、肥如二縣,其年自臨渝移治肥如,仍改肥如為盧龍縣,更治撫寧縣。七年省臨渝、撫寧二縣。天寶元年改為北平郡,乾元元年複為平州。

元領縣三:盧龍。石城。馬城。
四至八到:南至東京。缺。西南至西京二千一百九十五里。西南至長安三千五十五里。東北至榆關守捉一百九十里,自關東北至營州五百里。南至海二百里。西至薊州三百里。北至上谷八十里。西南至馬城縣一百八十里。西北至石城縣一百四十里。西北至盧龍塞二百里。東北至營州七里。


② 노룡현


임여산, 본래 이름은 임유산인데 음이 여로 변했다. 관문이 있는데 오랑캐와 통하는 길로 지금 노룡현 동쪽 180 리에 있다.


盧龍縣。五鄉。本漢肥如縣也,屬遼西郡。應劭曰:「肥子奔燕,封於此。」唐武德三年省臨渝,移平州置此,仍改肥如縣為盧龍縣,複隋開皇之舊名。藍山,後魏《輿地風土記》云:「盧龍西四十九里有藍山,其色藍翠重壘,故名之。」碣石山,《山海經》云:「碣石之山,繩水出焉。」在縣南 二十三里,碣然而立,在海傍,故以為名。《晉太康地志》云:「秦築長城,起自碣石。」在今高麗舊界,非此碣石也。臨餘山,本名臨渝山,音訛為餘,有關,通胡之路,在今縣東一百八十里。新婦山,《九州島要記》云:「盧龍柳羌城南有新婦山。」盧水,一名大沮水,今名小濡水,北自營州柳城縣界流入,《水經注》云:「玄水出肥如縣北,一名玄子溪。」黃洛水,《水經注》云:「水出盧龍山南,流入於濡水。」卑耳溪,《隋圖經》:「按管子云:『齊桓公北征孤竹,未至卑耳之溪,見一人,長尺,人物具馬冠,右袪衣,走馬疾前,管仲曰:『登山之神有俞兒,霸王之君興,而登山之神見,且走馬前導也,袪衣示前有水也,右袪衣示從右方涉也。』至卑耳之溪,有贊水者,曰:「從左方涉,其深及冠;右方涉,其深至膝。」已涉,桓公拜曰:「仲父之聖至此。」素河水,《水經注》云:「素河水,出令音零支音歧縣藍山南,與新河合。」黃洛城,殷諸侯之國。令支城,漢縣,屬遼西郡,廢城在今縣界。孤竹城,在今縣東,殷之諸侯,即伯夷、叔齊之國,又按《縣道記》云:「孤竹城,在肥如縣南十二里。」《史記》謂:「齊桓公伐山戎,北至孤竹。」又《隋圖經》云:「孤竹城,漢靈帝時,遼西太守廉翻夢人曰:『孤竹君之子,伯夷之弟,遼海漂吾棺,聞君仁善,願見蔵覆。』明日,水際見浮棺於津,收之,乃為改葬,吏人嗤笑者,皆無疾而死。」今改葬所尚存,祠在山下極岩。朝鮮城,即殷箕子受封之地,今有廢城。遼西城,漢為都 於此,廢城在今郡東。秦長城,秦使蒙恬輔其子扶蘇之所築,東西長萬里。杞梁妻哭,城崩,得夫骨,即此城也。盧龍道,《魏志》云:「曹公北征烏丸,田疇自盧龍道引軍出盧龍塞,塹山堙谷五百餘里,經 檀,曆平岡,登白狼,望柳城,即此道也。一謂之盧龍塞,在今郡城西北二百里。望海台,漢武所立,登之以望海。



7) 통전


① 북평군

동쪽으로 유성군까지 700 리, 남쪽으로 바다까지 100 리, 서쪽으로 어양군까지 300 리, 북쪽으로 (노룡)새까지 180 리, 동남쪽으로 임유관까지 180 리, 서남쪽으로 마성현까지 180 리이다


北平郡

東至柳城郡七百里南至海一百里西至漁陽郡三百里北至塞百八十里東南到臨榆闗一百八十里西南到馬城縣一百八十里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감방친구 18-10-27 13:09
   
글이 끊기는 관계로 댓글로 이어서 게시하려 했으나 강조 표시와 내용 구분을 위한 다소의 편집이 무야되므로 새 게시글을 열어 이어서 붙이고로 한다
감방친구 18-10-31 04:15
   
거란 중경도 투주(유주) 문제는 일단 보류한다
유수(渝水)는 한서 지리지에서 교려현에서 바다로 들어가는데 이 유수의 상류에 임유현이 위치했으며 교려현 동부도위가 다스렸으므로

1) 서한 때의 임유현은 바닷가가 아니며
2) 요서군의 중부, 또는 동부 쪽에 위치

를 추정할 수 있다

임유현은 루/누/류현 방면으로 교치되었고
후에 이 루현을 흡수한다

그러다가 어느 때에 우북평 려성현 방면으로 교치 된 후
다시 려성현을 흡수한다

이 때가 늦어도 북위 때로
임유현은 북위ㅡ북제ㅡ북주ㅡ수ㅡ당초에 이르기까지 현 당산시 동북, 난하 서쪽에 위치한다
 
 
Total 19,966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공지 [공지] 게시물 제목에 성적,욕설등 기재하지 마세요. (11) 가생이 08-20 85121
18994 [한국사] (재업) 고조선의 고고학적 검토를 위한 연습 (5) 감방친구 05-29 1504
18993 [한국사] 한국의 신석기 문화? (2) 엄근진 05-28 1072
18992 [한국사] 만주와 한반도 후기 구석기시대 년대기 2. 기후와 지… 지누짱 05-27 1223
18991 [한국사] 만주와 한반도에서의 후기구석기문화 관련 연구 소… (5) 지누짱 05-26 1476
18990 [기타] 동아게에 오는 일본 넷우익들 (3) 감방친구 05-25 1664
18989 [일본] 한국 일본 vs 영국 아일랜드 어디가 더 앙숙인가요? (4) 몬스트레치 05-25 1497
18988 [한국사] 진국의 정체는? (30) 엄근진 05-25 1825
18987 [기타] 여기는 올 때마다 느끼는 건데 도서관 같아유 (3) 양산한주먹 05-25 961
18986 [기타] 인도문화,풍습, 음악 동일,유사하다. (ft.단동십훈_고… (4) 조지아나 05-25 1162
18985 [기타] 터키어와 한국어 비슷한 어휘 _ 만두, 보자기, 부엌,… (4) 조지아나 05-24 1707
18984 [기타] 고려·조선에 정착한 중국의 왕족들, 한국 성씨의 시… (4) 관심병자 05-23 2063
18983 [한국사] 칠지도에 적힌 왜왕은 왜인이 아니라 백제인 (4) 일서박사 05-16 3935
18982 [한국사] 황하 요동군 (1) 몬스트레치 05-13 1871
18981 [한국사] # 굴곡지수(김종서)와 한사군 감방친구 05-11 1578
18980 [한국사] 김용만선생의 유투브를 소개합니다 (1) 지누짱 05-10 1479
18979 [중국] 중국 바이두 내용을 인용할때는 조심해야한다는 생… (40) Marauder 05-09 2263
18978 [기타] 100 리 거리 감각 (1) 감방친구 05-08 1707
18977 [한국사] (5-2-2) 후한서 군국지(장백산과 압록수 연구 일부 발… (5) 감방친구 05-08 1407
18976 [한국사] (5-2-1) 후한서 군국지(장백산과 압록수 연구 일부 발… 감방친구 05-08 1254
18975 [한국사] 요, 동경 요양부 명왕산 -->동명왕 장사지낸 곳 (1) 영종햇살 05-08 1119
18974 [기타] 이덕일에 대한 비판이 재야에서도 나와야 합니다 감방친구 05-08 1515
18973 [기타] 만약 중국이 사라진다면? (15) 비안테스 05-07 1978
18972 [한국사] 로하潞河는 산서성에 있다-신당서 지리지 영종햇살 05-06 1097
18971 [기타] 고구려_수나라 전쟁 (1) 관심병자 05-05 1709
18970 [기타] 한강문명설 , 하버드대 - 우랄알타이어 기원 한국어 … (8) 조지아나 05-05 2671
18969 [기타] 개인적으로 역사 탐구를 그만두게된게 (4) Marauder 05-05 1178
18968 [기타] 커뮤니티의 최선가치는 상호교류와 동반성장입니다 (5) 감방친구 05-04 1176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