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8-04-21 01:12
[일본] 일본의 천황제 1
 글쓴이 : 히스토리2
조회 : 1,497  

일본 천황(天皇 てんのう 덴노) 또는 일왕(日王), 일황(日皇)은 일본 황실의 대표로, 주권을 가진 일본 국민의 총의에 기한 일본의 상징이자 일본 국민통합의 상징이며, 일정 부분의 외교관계에서 국가를 대표하는 지위에 있다. 지위로서 천황의 기능에 대해서는 일본국 헌법 제1조부터 제7조에 명시되어 있다. 천황은 일본국의 상징이고, 일본 국민 통합의 상징”(1)으로 규정되어, 내각의 조언과 승인에 의해 법률이나 조약의 공포, 국회가 지명한 내각총리대신의 임명, 국회의 소집 등의 국사행위로 제한된 권한(7)을 가진다.


images.jpg


 

일본에는 비리법권천”(非理法權天)이라는 격언이 있는데, 이는 천황의 절대권을 의미한다. 일본 황실의 계보가 한 번도 끊어지지 않고 존속되었다고 주장하는 의미로 만세일계(萬世一系)라는 말이 있다. 일본 제국 때에는 세계의 만방이 모두 천황의 지배하에 있다는 팔굉일우(八紘一宇)라는 이념이 천황제 파시즘과 황국사관의 근본사상이 되었다. 한편 천황이 국가원수의 지위를 갖느냐와 관련하여서는 헌법에 명시되어 있지 않아서, 국가 원수라고 보는 견해와 반대하는 견해가 대립된다. 현재는 제125대 천황인 아키히토가 황위에 있다.


images (2).jpg



2012052506017364.jpg


 

천황제의 유래

 

1. 고대 일왕들은 백제왕족이었다. 일왕의 이 고백은 극히 일부만을 말했을 뿐이다.

 

천황가의 유래는 나라 시대(710~794)에 편찬된 고지키, 일본서기등의 역사서에 따르면 초대 진무 천황이 기원전 660년에 즉위했다고 추정된다. 이에 대해 여러 학설이 있으나, 주로 중국이나 한반도의 왕조와 비교하여 천황의 역사를 정당화하고자 후대에 연대를 올려 고쳤다는 설이 유력하다.

 

고대에는 오키미(大君)라 불렸다. 1192년 이후는 가마쿠라 막부의 미나모토노 요리토모가 세이이타이 쇼군에 임명되면서 정치적 실권을 잃었다. 다만 쇼군 등의 관위는 형식상으로는 천황이 임명하는 것이었다. 근대 이전에는 연호가 국가적인 경조사 또는 재해에 의한 피해가 있을 때마다 바뀌어, 지금의 일세일원(一世一元)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제국 시대(1868~1945)에는 일본제국 헌법에는 대일본제국은 만세일계의 천황이 통치한다.”라고 규정되었다. 1947년에 제정된 일본국 헌법부터는 천황은 일본국의 상징이고 일본 국민통합의 상징이며, 이 지위는 주권을 가진 일본 국민의 총의에 기한다.”라고 규정되었다.

 

2. 일본에서의 호칭

 

헤이안 시대 이전

천황이라는 칭호가 생기기 이전에 일본에서는 천황에 해당하는 지위를 가리켜 오키미(大君)라고 불렀으며, 대외적으로는 왜왕(倭王), 왜국왕(倭國王), 대왜왕(大倭王) 등으로 칭했다.

 

가마쿠라 막부에서 에도 막부까지

천황이라는 칭호는 율령에 규정되어, 제사에서는 천자(天子), 조서에서는 천황, 대외적으로는 황제, 신하가 직접 주달할 때에는 폐하, 황태자 등 후계자에게 양위한 경우에는 태상천황(太上天皇), 외출 시에는 승여(乘輿), 행행 시에는 거가(車駕) 등으로 부르는 7개의 호칭이 정해져 있었지만, 이러한 표현은 표기 시에만 사용할 뿐 어떻게 쓰더라도 읽는 것은 당시의 풍속을 따라 스메미마노미코토(すめみまのみこと)나 스메라미코토(すめらみこと) 등으로 칭한다. 사망한 경우에는 붕어(崩御)라고 칭하며, 재위 중인 천황은 금상천황(今上天皇)이라고 부르며, 사망한 뒤에 시호가 정해질 때까지는 대행천황(大行天皇)으로 불린다. 배우자는 황후(皇后), 자칭은 짐(), 신하에게는 지존(至尊) 등으로도 불렸다.

 

나라 시대

오미노 미후네가 진무 천황에서부터 지토 천황 까지의 41대와 겐메이 천황·겐쇼 천황의 칭호를 일괄하여 찬진(撰進)한 것이 속일본기에 기술되어 있지만, 이는 당대의 칭호와는 관계없는 시호일 뿐이다.

 

헤이안 시대부터 도쿠가와 시대까지

미카도(御門,)라거나 긴리(禁裏), 다이리(内裏), 긴주(禁中) 등의 여러 표현으로 칭해졌다. 미카도는 원래 어소(천황의 거처)에서 천황이 드나드는 문을 가리키며, 긴리·다이리·긴주는 그 어소를 가리키는 말이다. 이러한 표현은 천황을 직접 지칭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표현이다. 폐하도 마찬가지다. 또한 주상(主上,오카미,슈조)라는 표현도 이용되었다. 천조(天朝,덴초)는 일본의 왕조를 가리키는 말이지만, 조정이나 국가 또는 천황을 가리킬 때도 사용되었다. 스메라미코토, 스메로기, 스베라키 등 또한 사용되었다.

 

황후는 중궁(中宮)이라고도 불렸으며, 금상천황 또한 당금의 제(當今,도긴노미카도) 등으로 불리기도 했다. 태상천황은 상황(上皇), 선동(仙洞), ()으로 불리기도 했으며, 출가한 경우에는 법황(法皇)이라고도 불렸다. 태상천황은 고카쿠 천황이 닌코 천황에게 양위한 이후에는 사실상 사라진 표현이며, 제국 시대 이후에는 제도적으로도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황실전범이 퇴위에 대한 규정 없이, 천황의 붕어를 통해 황태자가 즉위한다고 규정하고 있기 때문이다.



2012052509003917.jpg


 

일본 제국

일본제국 헌법에서 처음으로 천황의 호칭이 천황으로 통일되었다. 그러나 외교 문서 등에서는 일본국 황제가 많이 이용되었으며 국내에서의 공문서에서도 종종 사용되었다. 표기는 통일되어 있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민간에서는 천자님(天子様)으로 불리기도 한 것으로 보인다. .해군의 통수권을 가졌다는 의미에서 대원수라고도 불렸다.

 

현대 일본

일반적으로는 일본 내의 각종 보도 등에서 천황의 경칭은 황실전범에 규정된 폐하를 채용하여 천황폐하로 칭한다. 궁내청 등의 공문서에서는 다른 천황과의 혼동을 막기 위해 금상폐하로 칭하기도 한다. 3인칭으로 경칭 없이 지금 천황(天皇)이나 현재 천황(現在天皇), 금상 천황(今上天皇) 등으로 불리는 경우도 있지만 근래에는 완곡한 표현을 이용하는 것은 드물다.


87106392.1.jpg

images (1).jpg


 


 

3. 한국에서의 호칭


역사적으로 한국에서는 에도 막부까지는 천황에 대한 인식이 없었다. 그러나 쇼군은 자신을 일본 국왕이 아니라 일본국 상국(日本國相國)으로 칭했으며, 조선 또한 국왕으로 부르지는 않았다. 1407년 이후에는 쇼군을 일본의 최고 실권자로 인식하고 국왕으로 호칭하였으며, 천황의 계보를 서술한 신숙주의 해동제국기와 같은 경우에는 쇼군을 국왕으로 호칭하고 천황은 국정과 무관한 존재로 이름만 기록하고 있다.

 

임진왜란 직전인 1590년에 일본에 파견된 통신사의 부사였던 학봉 김성일은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대한 알현형식에 대한 논의에서 관백(關白)위황(僞皇)의 정승으로 칭하고, 천황을 일본의 최고통치자로 인식하였다. 다만 일본의 입장에서 천황을 지칭할 때는 천황이라고 지칭하여 호칭을 다르게 사용하고 있다.

 

다운로드.jpg


그러나 대체적으로는 조선 중기 이후에는 천황이라는 호칭을 사용하여, 종교적·의례적인 존재로 파악하고 자리만 있을 뿐 정사에는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있다. 이와 함께 쇼군에 대한 호칭도 관백으로 변화하였다.

 

국립국어원의 표준국어대사전에는 천황(天皇)일본에서 그 왕을 이르는 말로 설명되어 있으며, 국사편찬위원회에서 출간된 한국사에는 덴노로 표기되었다. 대한민국에서는 천황이라는 호칭을 인정하지 않으며 일왕(日王)이라는 호칭을 사용하고 있다. 종종 일황(日皇)이라는 말도 쓰이기도 하지만 거의 쓰이지 않는 편이다.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낮추어 부르는 말로 왜왕(倭王)이라고도 한다. 이같은 조치는 천황이라는 호칭이 굉장히 오만한 칭호이므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논리에 따른 것이다. 그러나 일본 측은 일왕(日王) 또는 왜왕(倭王)등의 호칭은 절대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Total 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게시물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