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스포츠
토론장


HOME > 커뮤니티 > 동아시아 게시판
 
작성일 : 17-08-31 15:39
[세계사] 학살자 누르하치
 글쓴이 : 고이왕
조회 : 2,155  

출처 돌베게 출판사, 『누르하치 - 청제국의 건설자』 (원제 노이합적 사진)
천제셴 대만대 역사학과 학과장, 한국 원광대 명예박사 저 pp.354 ~ 359 中




 ……거의 모든 사서(주 : 조선과 명나라 문인들 기록들 외에 청나라 쪽에서 남긴 기록들 포함)에서는 누르하치가 '학살을 즐겼다' 고 기록한다. 그러므로 그에게 이런 기벽이 있었다는 것은 상당히 믿을 만한다. 당시의 명나라와 주변 민족들 역시 이에 대해 하나같이 비슷한 견해를 갖고 있던 것 같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굳이 후금의 '적국' 이었던 명나라의 (편향되었을) 기록을 들 필요조차 없다. 조선 사람들이 친히 보고 들은 기록이나, 누르하치 치하의 칸국에서 관리를 지낸 한족의 기록만 봐도 전체적 상황을 파악 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조선의 서생 이민환은 후금에서 포로로 '죄수' 생활을 했다. 그는 나중에 귀국하여 저술한 『책중일록(柵中日錄)』에서 다음과 같이 말했다.



 「누르하치 추장은 됨됨이가 의심이 많고 사납다. 또 권위적이면서 포악하다. 비록 부인이나 평소 좋아하는 사람일지라도, 조금이라도 순종하지 않으면 바로 살해한다. 두려워하지 않는 이가 없다. 」



 이 때문에 그는 누르하치가 '동생(슈르하치)를 죽이고 그 부대를 합병했다' 고 생각했다. 동시에 큰아들인 '홍파도리(저영)' 도 누르하치가 살해했다고 굳게 믿었다.


 후금에서 관리직을 지낸 한족 유학성의 지적도 참고할 만하다. 천명 11년 누르하치가 영원성 전투에서 패배한 뒤, 그는 누르하치에게 올린 글에서 패전의 원인을 분석하면서 다음과 같이 지적했다.


 「"한족을 마구 살해해서 어찌하려 하십니까? 그들을 살려 남겨두는 편이 여진에게는 훨씬 유리합니다. 영토를 점령한 다음에 옛 모습을 유지하는 것이, 파괴하는 것보다 훨씬 뛰어난 대책일 것입니다."」


 유학성은 누르하치가 병법을 바꾸어 다시는 한족 주민을 살해하지 말기를 건의하며, 그의 버릇이 패배를 가져왔다고 책망한 것이다. 



 한족 출신의 또 다른 관리가 누르하치 사후 신임 대칸인 홍타이지에게 한 말도 있다. 『천총조신신공주의』의 기록에 따르면 그 관리는 은근히 누르하치를 비판하며 이렇게 지적했다.


 「"이전의 대칸께서는 의심이 많아 살인을 너무 많이 저지르셨고, 민심을 얻는다는 것을 모르셨습니다. 하늘이 대칸께 요동의 영토만 허락하신 것은 바로 그런 까닭입니다."」


 이 기록들은 그가 살인을 좋아했다는 것을 어느 정도 드러낸다. 예를 들어, 그가 여진의 여러 부족을 통일한 시대를 보면 이때부터 그의 그러한 성격이 드러난다. 아이혼성 전투에서도 그는 성을 점령한 뒤 그 안의 한족을 거의 다 살해했다. 겨우 살아남은 몇몇 부상자에게는 화살촉으로 상처를 다시 찌르면서, 요동 변방의 명나라 관리들에게 자신의 말을 전하라는 명령을 내리기도 했다. 실로 극도의 잔인함이었다.


 합달 부족을 멸망시키는 과정에서, 누르하치는 성을 함락한 다음 무릎을 꿇고 들어와 자신을 알연한 합달 패륵 맹격포록을 거둬들이고 성채의 항복도 수용했고, 자신의 딸을 시집보냈다. 그러난 나중에는 맹격포록을 채 안에 안치한 후 죄를 뒤집어씌어 죽였다. 투항한 자신의 사위도 죽인 것이다.


 엽혁 부족을 소멸하는 전쟁에서, 서성을 굳게 지키던 엽혁 패륵 포양고는 최후의 결사 항전을 준비했으나, 누르하치의 둘째 아들인 대패륵 대선이 '항복한 당신을 죽이면, 그 화가 나에게까지 미칠 것이다.' 라고 맹세하며 투항을 권고하자 마음을 바꿔 대선과 하늘을 우러러 술을 마신 후 투항했다. 그러나 누르하치는 포양고가 이용 가치가 별로 없다는 이유로 그를 목을 조여 죽였다. 하늘을 우러러 맹세한 것도 아무 소용이 없었다.


 살인을 즐기는 누르하치의 기벽과 천성을 보여주는 사례는 끝이 없다. 청하 전쟁 떄 명나라의 "군민 약 1만 명이 누르하치에 의해 모두 살상되었다." 라는 기록이 사서 곳곳에 등장한다. 개원 공방전에 대해선 조선의 이민환이 남긴 기록이 있다.


 「누르하치가 개원을 함락하고서, 학살한 주민이 무려 6 ~ 7만 여 명에 이른다」


 철령이 점령당한 다음에도 마찬가지였다. 성안의 남녀 주민 다수가 학살당했다. 심양 전쟁에 대한 『만문노당』천명 6년 3월 13일의 기록에 따르면, 팔기군은 성 함락과 동시에 명나라 병사와 주민 7만 명을 살해했다. 서평보 전투에서는 후금 부대의 피해가 막중했던 만큼 처참한 보복성 학살이 진행되었다. 이에 대해선 『명희종실록』 천계 2년 정월 정사의 기록이 있다.


「서평에서 누르하치가 군민을 하나도 남김없이 모두 학살했다.」


 누르하치가 대패를 겪었던 영원성 전투 때는 참패에 따른 수치심과 치밀어오르는 화가 학살의 이유가 되기도 했다. 퇴각하는 길에 순전히 학살 목적으로 명나라 부대 군량미 저장소인 각화도 공격에 나선 것이다. 각화도의 명나라 수군은 후금의 상대가 되지 않는 전력이었으나 팔기군은 섬에 상륙한 후, 수군은 물론이고 상인과 주민 3만 여 명을 영원성 전투 패배에 대한 보복 차원에서 모조리 학살했다


 누르하치는 한족을 통치하다 마음대로 되지 않을 경우 '보이는 한족을 모조리 학살한다' 는 생각을 진지하게 실천했다. 명나라가 완전히 멸망하기 전까지, 요동과 요서의 많은 한족들이 저항 운동에 나서 제법 큰 규모의 무장 항쟁들이 있었다. 누르하치는 이런 무장 세력들에 대해 절대로 관대로 처리대신 모조리 죽이는 쪽을 선택했다.


 철산과 동산의 광부들만 1만 여 명이 살해를 당했다. 특히 탕참보 같은 곳은 무장투행 대신 소극적 도주만 일어난 곳임에도 불구, 1만 여 명이 살해 당했다. 천명 7년에는 대선이 다시 의주에서 한족 3천 여 명을 닥치는 대로 학살했다. 천명 8년 6월, 복주에서 한족 출신 장정의 수를 속여 보고하는 일이 발생하자 누르하치는 장정을 하나도 남기지 않고 모두 죽였다. 이보다 훨씬 격렬한 무장 투쟁이 발생했던 개주, 금주, 해주, 진강의 참상은 말할 것도 없다.


 누르하치 통치기 만년에, 후금은 극도의 정치적 불안과 식량의 절대 부족으로 대단히 심각한 위기에 몰려 있었다. 누르하치는 사태를 해결하는 대신, 이 모든 책임을 한족에게 돌려 불만세력들의 시선을 돌리는 쪽을 택했다. 그는 한족이 적이냐 우군이냐의 기준을 '식량의 유무' 로 규정하도록 했다. 즉 '식량이 없는 한족은 적' 이라 말한 것이다.


후금 관리들은 실제로 이 원칙에 근거해 팔기군이 함락한 지역의 한족을 조사, 식량이 있는 가정과 없는 가정으로 나눴다. 이는 "대여섯 되의 식량과 가축이 있어 생활이 가능한 사람은 식량이 있는 호구에 편입시켜 거주하는 곳에 계속 머무르게 하고, 이에 해당하지 않으면 식량이 없는 호구에 편입해 등록한다." 라는 기록에서 드러난다. 누르하치는 무순과 철령, 개주 등지에서도 이런 조사를 대대적으로 행했다. 식량이 있는 호구는 북으로 이주시켜 땅과 거주할 집을 줄 것이라 했고, 식량이 없는 사람들은 체포해 처분을 기다리도록 했다. 


 결과적으로, 식량이 없는 가정의 장정들은 모조리 학살되었다. 식량이 있는 사람들이 북으로 이주하는 일도 없었다.


 천명 10년 10월, 누르하치는 '살려둬서는 안 될 한족' 을 가려내라는 명령을 하달했고, 직접 총병관 이하의 관원이 자기 관할의 촌과 진으로 가서 직접 학살 대상자를 선발하라고 지시했다. 이렇게 해서 명나라의 전직 관리, 수재, 대부호와 후금에 복종하지 않는 독신 남자를 비롯해 의심스러운 이들은 모조리 학살했다.


 누르하치는 한족에 대해 씻을 수 없는 확실한 원한이 있었다. 한족 학살이 그에게 있어 불변의 정책이었던 것이 이해의 소지가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누르하치는 자신이 아끼던 주변 사람들조차 어렵지 않게 죽이곤 했고, 친인척에게도 사정이 없었다. 주지하다시피 그는 동생과 큰아들을 죽였다. 만주문자 창제를 비롯해 여러 공이 혁혁한 창업 동지이자 신하인 갈개와 파극십액이더니 역시 좋은 최후를 보지 못했다. 갈개는 반란을 꾸몄다는 죄를 뒤집어쓴 채 처형 당했고, 파극십핵이더니 '뇌물을 받았다는 판결을 받고 사형 당했다.


그 뿐만 아니라, 조선의 병사들 역시 학살당했다. 사르후 전투에서 투항했던 조선 군인 3 ~ 4천 명 중에 1천 명은 조선 정부가 동맹 제의에 즉각 화답하지 않자, 반란을 일으킬 위험이 있다는 명목으로 학살되었다. 이런 사례를 보았을때, 누르하치는 '학살광' 이라는 평가를 피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출처 : 해외 네티즌 반응 - 가생이닷컴https://www.gasengi.com




가생이닷컴 운영원칙
알림:공격적인 댓글이나 욕설, 인종차별적인 글, 무분별한 특정국가 비난글등 절대 삼가 바랍니다.
Hiryu 17-08-31 16:24
   
자국민들을 수백~수천만 학살한 만주와 몽고를 자국의 역사에 포함 시키려는 정신나간 지나인들... 청나라 시절 만주족들이 한족을 어찌 취급했는지 알아도 저짓 할수 있을까나... 만약 중일전쟁에서 일본이 이겼다면 일본도 지나인이라 우겼겠지...
mymiky 17-08-31 16:56
   
일단,, 인권 개념이 없던 시대이고,
누르하치가 아니라도,, 봉건시대 제왕들 모습이란건, 거의 비슷비슷 했을겁니다.
촐라롱콘 17-08-31 17:50
   
사르후전투에서 포로가 된 조선군들가운데 누르하치에게 한꺼번에 학살된 인원은
600여 명 규모로 알고 있습니다.

1,000여 명이라는 숫자는 600여 명에 더하여 + 후금에서 조선으로 도주하다가 발각되어
살해되거나, 도주과정에서의 굶주림-질병 등의 이유로 노상에서 병사-아사하여 시신이 확인된
인원들까지 포함한 숫자입니다.

물론 사르후전투(부차전투)에서 총 1만 3천명 규모의 조선군 가운데 도원수-부원수가 있는 중영을
제외한 조선군 좌영과 우영 7~8천여명의 병력이 이민환의 책중일록의 표현대로라면 순식간에
사라지고 말았지만..... 

누르하치의 명에 의해 학살된 600여 명의 조선군들은 양반-중인 출신의 중하급 장교가 상당수를
차지했습니다. 학살된 배경으로는 고이왕님이 언급하신 당시 조선조정의 무성의가 근원적인 배경이지만...

학살의 직접적인 명분은 조선군포로를 수용한 후금가호에서의 조선군에 의한 후금부녀자 겁탈사건
+ 포로들을 수용한 주인격인 후금인을 살해하고 포로들이 도주한 사건들이 몇 차례 누적되었고....
결정적인 이유는 조선군포로의 수중에서 후금군의 수급 3개가 발견된 점이 결정적이었습니다.

따라서 수 천에 달하는 조선군 포로가운데 만일의 경우 반란의 주도세력의 위험이 될
중하급 장교-군관들을 제거함으로써 이후 발생할지도 모를 조선군 포로들에 의한 소요를
미연에 방지하려는 목적이 컸습니다.

그런데 누르하치의 조선인 대량학살사건은 위의 경우가 거의 유일한 케이스이며
그가 저지른 여타 여진제부족들과 요동한인들에 대한 학살에 비하면 상대적으로 조선에 대해서는
유화적인 태도를 일정하게 유지했습니다.

오히려 아버지 누르하치와는 달리 요동한인들과 몽골부족을 비롯한 후금-청의 주변부족-민족들을
적극 포섭하고 유화적인 태도를 보였던 아들 홍타이치가 조선에 대해서는 아버지보다 오히려 더욱 강경한
자세를 보였습니다.
정욱 17-08-31 17:54
   
죽임을 많이 당할수록 노예정신승리로 가는 지나족 과 닙뽕족.ㅋ
강철백제 17-08-31 18:02
   
유독 북방계 유목민족들이 엄청나게 잔인함.. ㄷㄷ
고구려의혼 17-08-31 20:01
   
북방민족의 노예족 출신이 지금의 짱꿔들인데.. 자신들을 처참하게 지배한 북방민족를 자국 역사에 포함시키고 또 이걸 자랑스럽게 여기는  짱궈들이 당췌 이해가 안가네..
 
 
Total 54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28 [세계사] 확실히 중앙아시아가 우리나라랑 연관이 있네요. (6) 아스카라스 01-23 2026
327 [세계사] 민족주의 부정은 원래 좌파의 이론입니다. (11) 송구리 01-13 1074
326 [세계사] 러시아의 시베리아 소총병 연대와 시베리아. 사샤임 01-06 2301
325 [세계사] 대마도는 코리아땅 1655년 고지도 (3) 도배시러 01-06 3601
324 [세계사] 홍산문명 유물영상 (9) 도배시러 12-28 1971
323 [세계사] 기후사/잘나가던 국가들, 왜 갑자기 흔들렸을까? 러키가이 12-24 1404
322 [세계사] 대피라미드의 내부 구조 – 입구 (1) 옐로우황 12-17 2072
321 [세계사] 정말 한국이란 나란 미래에 사라질까요 (30) 샤넬코코 12-15 3206
320 [세계사] 기마민족이 흥하던 시기가 기후와 관련있나요? (7) 아스카라스 12-07 1800
319 [세계사] 1848년 혁명 옐로우황 12-04 1274
318 [세계사] 중세 이슬람 과학과 문화의 전신이 그리스로마인가… (1) 아스카라스 11-29 1024
317 [세계사] 일본 기토라 고분 천문도에 대한 새 연구 결과 (5) 감방친구 11-29 2286
316 [세계사] 동유럽 슬라브의 역사는 어떻게 되나요? (16) 아스카라스 11-28 2034
315 [세계사] 세계 역사지도 1950년을 완성했습니다. (4) 옐로우황 11-25 2096
314 [세계사] 古語재구영상을 올리면서 의문점이 드는데... (17) Ichbin타냐 11-24 1226
313 [세계사] [희귀]서하어를 재구한 영상. (2) Ichbin타냐 11-23 1508
312 [세계사] 터키 호수 아래서 3000년前 고대 요새 발견 (2) 레스토랑스 11-23 3069
311 [세계사] [과거 유럽 사람들의 위생관념] (7) 레스토랑스 11-21 1751
310 [세계사] 인도, 동남아 등 제3세계의 역대 왕조의 영토 지도를 … (6) 아스카라스 11-17 3320
309 [세계사] 만주와 몽골이 척박해진 게 언제부터죠? (11) 아스카라스 11-10 1754
308 [세계사] 유튜브 역사지도 제작에 대해서 (3) 감방친구 11-09 1036
307 [세계사] 세계 고인돌 dolmen 모음 (1) 도배시러 11-09 1511
306 [세계사] 역사 속 도시 복원도 (8) 레스토랑스 11-07 2986
305 [세계사] 유대인의 유랑과 부의 이동 (4) 옐로우황 11-06 1330
304 [세계사] 대청제국이라는 용어가 없었다고 거짓말하는 사람은… (42) 고이왕 11-04 2099
303 [세계사] 서양강대국들의 식민지 역사 (9) 국산아몬드 11-03 1233
302 [세계사] 네덜란드 동인도회사에 대한 다큐를 보는데 (4) 화톳불 11-01 1158
 1  2  3  4  5  6  7  8  9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