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생이닷컴-해외 네티즌 반응 커뮤니티


HOME

 - 커뮤니티>잡담 게시판
메뉴보기
  • 해외반응 -
  • 뉴스 -
  • 영상자료 -
  • 유머/엽기 -
  • 커뮤니티 -
  • 팬빌리지 -

회원

로그인

06월 14일 (금)

태권도가 가라데를 기원으로 한다

감방친구 조회 : 1,836
검색목록 목록
하면 태권도를 까는 것이라고 여기며 삐딱하게 대하는 분들이 종종 있습니다

저는 이곳 가생이 잡게에 2012~2013년도부터 태권도 관련 글을 종종 게시해 왔습니다

어찌된 일인지 구) 잡담게시판이 완전히 닫혀버려서 제 예전 태권도 관련 글에 접근이 불가능한 상태입니다

저는 태권도를 우리 근대문화유산으로 지정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며

태권도가 몇 사람이 아니라 우리 대한인들의 수십 년 체육문화활동이 반영돼 그 고유성과 특질을 갖췄다고 여기고 있습니다

따라서 1950 년대부터 1990 년대까지의 태권도를
근대문화유산으로서의 태권도의 정체성의 범주로 삼고
그 고유성과 배탕성을 분별하여 다시금 종합적이고 입체접으로 태권도 기술을 집대성하여 멀티미디어와 서지를 통해 교범을 만들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태권도는 쇼토칸 가라데를 기원으로 했으되
이 땅에서 저 1940 년대부터 우리 공동체의 전통과 체육역량 및 민족적 특질에 따라서 새로운 정체성을 늦어도 1960 년대에는 획득하였습니다

가라데는
일본 무술이 아닙니다
제가 무수히, 이곳 가생이 잡게에서 수년 동안, 아니 근 이십 년 동안 특히 인터넷 공간에서 역설한 바 대로

류쿠의 항일무술입니다

일본에는 입식타격, 맨손타격무술의 전통이 없읍니다

오키나와테는 1910년대 말에 오키나와인들에 의해 일본에 전해졌으며
일본인들의 멸시를 받으며 소그룹으로 전수되었고
이에 비슷한 처지의 조선인들이 다수 수련을 하였고
이에 가라테의 초기 수련자, 초기 지도자들에 조선인들이 많았습니다

가라데가 일본무술협회에 등록된 것이 1940년을 전후한 시기입니다

이 시기는 한국에 가라데가 소개된 시기입니다

즉 오키나와 무술인 오키나와데가 일본과 한국에 거의 비슷한 시기에 전파가 되었고
서로 다른 길을 걸으며 다른 정체성을 띠게 되었으며

특히 태권도는 무술로서 기술과 그 공방의 이해와 원리에 있어서 전례 없는 독자성과 고유성을 획득하게 된 것입니다

가라데를 일본무술이라고 말하면
항일무술로서의 가라데의 정체성을 욕보이는 것입니다

갈바마리 18-11-01 10:58
그렇군요. 류큐쪽에서 전해진건지는 지금 알았습니다.
다만, 현재 오키나와를 일본이 아니라 할 수는 없으니 일본에서 전해졌다 할 수 밖에 없겠군요.
감방친구 18-11-01 11:00
//현재 오키나와를 일본이 아니라 할 수는 없으니 일본에서 전해졌다 할 수 밖에 없겠군요.//

ㅡ 이 거를 트집 삼아서 태권도 뿐만 아니라 류쿠까지 업신 여기는 게 작금의 보편화법입니다
세상속의… 18-11-01 11:01
사실 일본 류큐쪽 가라테도 중국의 남권에서 발원을 했지요.
따지면 중국->일본->한국으로 전파된 거라고 볼 수 있죠.
거기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극진가라테는 우리가 잘 아는 최배달이 창시하였고.
감방친구 18-11-01 11:09
제가 언젠가 여기에서 관련 글을 쓴 적이 있는데

남권의 관념성을 탈피한 것이 오키나와데

오키나와데를 근대화 하는 과정에서 남권을 다시금 연구하며 그 관념성에 다시 붙들린 게 가라데

이것을 과감히 탈피하여 새로운 무술로서의 정체성을 획득한 게
ㅡ 극진 가라데
ㅡ 태권도

태권도 창안자(저는 창시자가 아니라 창안자로 일컫습니다) 최홍희 장군과 최배달 사이의 통합 논의가 진척됐다면 어찌됐을까 안타깝습니다

다만 그것이 다소 기형적으로 실현된 것이 1960년대의
태권도의 킹투기와 극진 가라데의 키쿠복싱이 통합돼 나타난 "킥복싱"

그런데 한국 측이 지리멸렬하면서 일본 기쿠복싱에 흡수된 꼴이 되었고
키구복싱, 즉 킥복싱은 무에타이화해버림

한국 측은 다시 킹투기가 격투기라는 이름으로 부활
그러나 2천 년대 들어서 점차 무에타이화 + 이종격투기화
jennnny 18-11-01 11:05
<무술로서 기술과 그 공방의 이해와 원리에 있어서 전례 없는 독자성과 고유성을 획득...>

하였는데 가라데랑 뭔 상관 일까요

가라데가 사회적인 형태를 갖추었다는 것은 이해가 갑니다.
어떤 형태 즉, 무술로서의 사회 문화적인 체계화 과정을 만들었고
태권도가 고유성과 독자성을 갖고 있음에도 어떤 형태를 갖추기 위한 체계성을
가라데에서 차용하였다는 것은 당연 한 거 아닌가요?

그런데 태권도가 가라데가 원형이라고 말하는 것은 가라데의 무술 폼이나
정신을 모방 했다는 것 처럼 들립니다.
감방친구 18-11-01 11:11
품새와 기본 수련 과정에 잔존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것을 태권도에 맞게 과감히 청산해야 한다고 봅니다
감방친구 18-11-01 11:16
//그런데 태권도가 가라데가 원형이라고 말하는 것은 가라데의 무술 폼이나
정신을 모방 했다는 것 처럼 들립니다.//

원형이나 기원이니 하는 말이 어느 때부터인가 우리 사회에서는

진짜배기라는 개념으로 쓰이면서 감정이 섞인 것이죠

가라데가 원형, 가라데가 기원이니
가라데는 진짜, 태권도는 가짜
가라데는 진짜배기, 태권도는 엉터리

이런 식이면
가라데 기원이 중국남권인데
중국 우슈는 진짜, 가라데는 가짜, 모방

이런 말을 해야 하는데
또 이런 말은 전혀 안 하죠

즉 오직 태권도를 흠집내고
근현대 무술사의 본질을 흐리는 데에 악의적으로 이용되어 온 것이죠
휴꿈 18-11-01 11:09
전 짬뽕 된거로 알아요. 비빔. 믹스. 택견이나 기타 고전무술. 등등 참고해 섞어 만든.
운영 시스템도 이곳저곳 참고 하고 만들었다는데 요걸 가라데  어디쪽에서 보고 배웠다고 본...
중사의몰… 18-11-01 11:13
그런건 그냥 가라데랑 선긋기하려고 수박이니 뭐니 나중에 가져다 붙인거고

태권도 만든 사람들이 거의가 가라데 사범들.
듀랑고 18-11-01 11:12
내용을 떠나서
님은 기래기들
제목가지고 낚시질한다고
절대로 욕하고 살면 안되겠네요
감방친구 18-11-01 11:18
미안합니다
시간이 없어서 일하다 말고 담배 태우는 시간에 급히 쓴 것으로 고의는 아닙니다
뜨악 18-11-01 11:13
택견 있는데 뭐하러 수입한 태권도를 근대문화유산으로 지정합니까?
택견이 하마트면 대가 끊길뻔한게 일제시대때 우리것 못배우게 하고 들여와서 억지로 보급했던 가라데 (후에 태권도로 간판 바꿔달았던 그것) 때문 아니었던가요?
저 역시 태권도 배웠고, 태권도는 한국화된 우리 무술이라 생각하지만 근대문화유산요?
말도 안되네요.
감방친구 18-11-01 11:16
근대문화유산과 전통문화유산을 구분하셔야죠
뜨악 18-11-01 12:01
감방친구님 말씀처럼 구분하자면 택견은 전통문화에 가깝긴 한데
그렇다고 해도 태권도가 근대문화라고 볼수는 없어요.

정확하게 하자면 애초에 태권도는 근대에 이루어진게 아니거든요.
태권도가 자기 정체성을 재정립하던 시기는 해방이후로 엄연히 근대가 아니라 현대입니다.

태권도는 택견하고 조금도 연관이 없다보니, 그 이전인 근대까지 소급할수 있는 뿌리가 없어요.
애초에 태권도를 근대라는 시기와 연관시킬만한 근거가 없다는거죠.
근대로 끌고 가려면 가라데였던 시절까지 언급해야 하는데 그건 태권도 입장에선 그닥 바라는게 아니죠.
뚜리뚜바 18-11-01 11:17
제가 보기엔 사람들이 우선적으로 알아야할건 가라데가 일본 전통무술 기원이 아닌 류큐 항일무술이라는게 먼저 알려져야 태권도를 유산으로 정하는데 무엇보다 도움이 될듯합니다. 대중의 인식이라는건 불가능도 가능하게 만든 무수한 사례가 있기에...
감방친구 18-11-01 11:22
네, 그 말씀도 옳습니다

오키나와데를 체계화 한 이토쓰 야쓰쯔네는 우리로 치면 옥니나와인들의 안창호 선생과 같은 분으로 류쿠의 국권회복은 교육의 힘에서 나온다 여겼고 그 중심에 가라데가 있었습니다
뜨악 18-11-01 12:19
기원이 류쿠 항일무술이든 뭐든 그게 무슨 상관인가요?
달갑진 않지만 일본에서 기원한게 우리땅에 뿌리내려 독자성을 갖게되면 그건 우리 문화로 봐야죠.

그리고 애시당초 태권도가 유산으로 정할만한 가치가 있는지부터 공감대를 얻을 생각을 하시는게 낫겠네요.
전 지금도 애들 호신을 위해서라면 태권도 가르치느니 복싱이나 무에타이 가르치다 좀 크면 이종격투기 배우게 해주는게 훨씬 낫다 싶은데요.
유연성 길러주려면 필라테스나 요가 가르치고,
그냥 운동시킬거면 수영 가르치는게 낫죠.

어차피 외래종 무술인데 이종이나 태권도나 다를게 뭐가 있나요?
토착화 했는가 아닌가 차이뿐인데요.
어차피 배울거면 더 실용적인걸 배우는게 낫죠.
문화적인 면을 고려한다면 그냥 택견 배우는게 낫구요.
새콤한농… 18-11-01 11:21
가라데가 일본 전통무술은 아닌걸로 아는데...
감방친구 18-11-01 11:22
일본 게 아닙니다
비오는새… 18-11-01 11:33
일본은 가라데가 실제로는 류쿠의 항일무술이란건 절대 인정을 안하겠군요
mymiky 18-11-01 11:42
가라데보다 태권도의 발차기가
더 박력있고 멋있다고 생각함.
쥬라기 18-11-01 11:44
쓸대 없는것 가지고 와서 또  싸움 붙이네요, 이분은 뭘 노리는걸까?  분명 이유가 있을탠대,

목록 PC버전 위로

Copyright © gasengi.com